[완득이] 서평단 알림
완득이
김려령 지음 / 창비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나는 무식해서 잘 모르겠다만, 내가 남을 부를 때는 그냥 남만 부르는 게 아니라더라. 남을 통해 나를 부른다는 거야. 남을 부르지 않고 사는 건 결국 나를 부르지 않고 사는 거래. 제 몸 주인이 저를 안 부르는데, 그 몸이 살아 있는 몸이라고 할 수 있겠냐."

 

"흘려보낸 내 하루들. 대단한 거 하나 없는 내 인생, 그렇게 대충 살면 되는 줄 알았다. 하지만 이제 거창하고 대단하지 않아도 좋다. 작은 하루가 모여 큰 하루가 된다. 평범하지만 단단하고 꽉 찬 하루하루를 꿰어 훗날 근사한 인생 목걸이로 완성할 것이다."


만득이? 처음에는 제목을 자세히 안 봐서 만득이인 줄 알았습니다. 소설의 제목은 <완득이>입니다. 완득이는 소설 속 주인공 17세 고등학생의 이름입니다. 난쟁이 아버지와 베트남에서 온 어머니에서 태어난 완득이. 사람들로부터 놀림을 받고, 무시를 당하고, 어려운 가정환경에도 불구하고 밝게 살아가는 완득이. 이 소설은 완득이의 청춘소설이자 성장소설, 또는 가족소설입니다. 처음에 완득이라는 주인공을 보고 그 유명한 이현세의 만화 <까치> 시리즈가 생각나더군요. 까치가 야구를 했다면 우리의 완득이는 킥복싱을 하고, 까치에게 엄지가 있다면 완득이에게는 윤하가 있습니다(당연하게도 윤하의 부모님은 완득이를 만나지 말라고 합니다. 아버지는 난쟁이, 집은 가난하고, 게다가 완득이는 공부도 못하고 싸움만 합니다. 물론 이유 없이 아무나 때리지는 않습니다.). 암튼 그런데 이현세의 만화 <까치> 시리즈가 스포츠, 우정, 사랑, 희망 암튼 이런 것들을 재미있게 그렸다면 이 소설은 그와 함께 이주노동자 문제라든지, 바람직한 교사의 모습, 차별 등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습니다. 그래서 가벼우면서도 이야기가 조금 무겁습니다. 그러나 완득이, 담임선생 똥주, 앞집 아저씨, 완득이의 삼촌 등 재미있는 캐릭터와 대사, 묘사들이 많아서 무척 웃깁니다. 그러니까 이런 류의(가정환경이 어려운 소년이 등장하는 신파조의 소설) 소설에서 흔히 나오는 억지 감동은 없습니다.

 

우선 바람직한 교사의 모습? 이 소설에는 욕을 달고 살면서 학생들에게 공부하지 말라고 하고, 완득이의 옆집에 이사 와서 완득이를 괴롭히면서 거친 행동도 많이 보이고, 소설에서 학생들이 상상하는 딱 조폭의 모습입니다. 행동은 거칠지만 마음은 따듯한 선생이죠. 암튼 이 선생, 이 소설에서 무척 웃깁니다. 그리고 소소한 감동도 주고요. 그리고 차별의 문제도 살짝 건드리고 있습니다. 비장애인(이라고 부르지는 않죠?)의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 그리고 이주노동자에 대한 착취와 편견, 크게는 우리나라 사회제도의 모순과 편견 등을 재미있는 이야기 속에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을 정도로) 잘 녹여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어설픈 희망에 대해 설교하지도 않습니다. 위의 완득이의 생각처럼 그냥 거창하고 대단한 삶을 사는 것만이 중요하지는 않다. 작은 하루가 모여 큰 하루가 된다는 어찌 보면 당연한 진리를 그냥 넌지시 던질 뿐. 청소년이 읽을 만한 소설이 없죠. 사회 문제를 건드리는 소설은 어렵고(개인적으로 청소년기에 사회를 올바르게 바라보는 것은 무척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청춘소설(성장소설)은 다소 지루할 수 있고(그런 소설이나 영화가 너무 많아 식상할 수가 있죠.), 그러면서 웃음을 줄 수 있는 그런 소설이 정말 없죠. 특히 청소년을 위한 소설은요. 개인적으로 10대 청소년들이 꼭 읽었으면 좋겠네요. 절대 유치하지 않습니다. 생각할 거리도 많이 던져주고요. 그리고 무엇보다 웃음이 있습니다. 그리고 왠지 모르게 행복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