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 교양을 읽는다 - 인문고전 읽기의 첫걸음
오가와 히토시 지음, 홍지영 옮김 / 북로드 / 2013년 9월
평점 :
절판


 

 

 

책 <철학의 교양을 읽는다>는 저자인 오가와 히토시가 어떻게 하면 어려운 철학 고전을 쉽게 배울 수 있을까라는 문제의식을 가지면서 기획되었다. 저자는 책의 내용과 구성은 물론 저자의 생애와 인감됨, 집필 동시와 배경, 당대 또는 후세에 미친 영향 등을 해설함으로써 해당 고전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했다. 이 책은 더 나은 삶을 위한 철학,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철학, 나를 발견하기 위한 철학, 올바른 판단을 위한 철학,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철학, 인간 사회의 발전을 생각하기 위한 철학이라는 목차로 구성되어 있다.

 

철학자 알랭이 쓴 <행복론>에 관한 이야기가 인상적이었다. 알랭은 과거를 응시함으로써 생겨나는 슬픔과 절망의 무익함, 해로움을 호소한다. 알랭은 행복해지고 싶어 하는 사람이 가장 해서는 안 될 것이 아무것도 안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알랭은 왜 사람이 행복해지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라고 이야기했을까? 알랭은 행복이 타인에 대한 의미이기도 하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행복해진 사람은 훌륭한 모범을 보여준 사람이니 크게 칭찬 받아 마땅하다고 말한다.

 

"사람은 바로 자신이 있는 곳에 있는 것이다. 시간이라는 길 위에서는 되돌아가는 것도, 같은 길을 두 번 걷는 것도 불가능한 법이다. 그러므로 강인한 정신을 지닌 인간이란 자신이 지금 어디에 있는지, 무엇이 일어났는지, 무엇을 되돌릴 수 없는지를 스스로 생각하고, 거기서부터 미래를 향해 출발하는 자라고 나는 생각한다."

 

저자는 철학자 샤르트르의 책 <존재와 무>를 소개한다. <존재와 무>는 스스로 인생을 개척하고자 하는 사상인 실존주의 붐을 선도한 샤르트르의 주요 저작이라 할 수 있다. 샤르트르는 인간은 자유의 형벌에 처해졌다고 부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자유는 인간을 불안하게 하는 요소를 갖고 있으로 인간은 그 불안을 감추려 한다. 즉 자신이 자유롭다는 것을 자기 자신에 대해 속이려 드는 것이다.

 

"샤르트르는 다시 한 번 자유의 의의에 관해 논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자유란 무엇이든 할 수 있음을 뜻하는 게 아닙니다. 그게 아니라, 언제나 무엇가의 상황에 얽매여 잇는 인간에게는 무엇인가를 하려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자유라는 것입니다. 실은 이는 주어진 상황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스스로 적극적으로 행동한다는 의미로서의 '내던짐'에 의해, 세계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 인간에 있어서의 자유란 것입니다."

 

책 <철학의 교양을 읽는다>는 철학 고전의 다양한 작품들을 좀 더 쉽게 대중에게 접근하려는 노력이 보이는 인문서이다. 인문학의 기초인 철학 고전에 관심있는 분들이라면 읽어보면 좋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