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쉬게 하라 - 나를 괴롭히는 집착으로부터 편안해지는 법
시라토리 하루히코 지음, 정은지 옮김 / 토네이도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책 <생각을 쉬게 하라>는 붓다의 경구들을 통해서 우리의 잡다한 생각들을 더 높고 깊고 넓은 생각들로 교체할 수 있는 많은 자극과 단서들을 만나게 해준다. 저자는 쉼이 없는 열정은 브레이크 없는 자동차를 몰로 고속도로를 질주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한다.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생각을 쉬게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바로 생각을 '교체'하는 것이다. 이 책은 끊임없이 더 숭고한 생각으로 갈아타 마침내 자기 삶의 가장 큰 봉우리에 올라선, 그래서 스스로 위대해진 붓다가 남긴 발자취와 문장들과 말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책 <생각을 쉬게 하라>는 감정의 노예가 되지 마라, 묵묵히 한길을 걸어라, 마음을 지배하는 자가 삶을 지배한다, 인생은 곡선이다, 사소한 언쟁에서 벗어나는 법, 내가 행복하지 않으면 상대도 행복하지 않다, 비난에 흔들리지 않는 이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진실을 보는 눈을 키워라, 버리고 비우면 행복해진다라는 10개의 목차로 구성되어 있다.

 

책을 읽으면서 익숙함 속에 고통의 씨앗이 숨어 있다는 글귀가 인상적이었다. 더 옳은 선택을 하는 것, 더 많이 배우는 것, 때로는 더 많이 사랑하는 것조차 고통의 싹이 될 수 있다.

 

"습관에 젖어 살다 보면 많은 일들이 익숙해진다.

그 익숙함 속에 고통의 씨앗이 숨어 있다.

집착과 애착으로 변질된 익숙함은 그것을 잃을까 전전긍긍하는 고통을 낳는다.

또 어느새인가 그곳에 먼지가 쌓이고 결국 당신을 더럽힌다.

그렇게 되지 않도록 항상 주의하라."

 

책을 통해서 감정의 노예가 되지 않는 지혜를 배울 수 있었다. 붓다가 전해주는 이야기를 읽으면서 마음의 중심을 바로 세우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는다.

 

"무심(無心)이란 아무것도 없이 텅 비어 있는 상태가 아니다.

머물러 있기보다 행동하는 것.

이리도 좋다, 저리도 좋다 흔들리기보다

마음의 중심을 바로 세우는 것.

비어 있는 그릇은 아무거나 담아도 좋다고 여기지만

알맞은 음식을 담아야 비로소 그릇이 제대로 쓰이는 법이다."

 

사방이 15km나 되는 커다란 곳간에 겨자씨를 가득 채우고 100년마다 한 알씩 꺼낸다. 이렇게 겨자씨를 모두 꺼낼 동안의 시간이 겁이라고 할 때, 억겁의 세월이 지나고 나서야 만날 수 있는 게 불교에서는 인연이다. 사람이 만나고 헤어지는 일 또한 강가에 흩어진 모래알처럼 헤아릴 수 없는 일이며, 따라서 살아 있는 동안 만나는 모든 인연을 귀하게 여기라는 붓다의 말씀을 명심해야겠다.

 

책 속에 등장하는 다음의 글귀가 기억에 남는다. 현대인들은 특히 불안으로 인한 공포로 두려워한다. 붓다의 이야기처럼 걱정만하고 실천에 옮기려고도 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불안한 것이 아닐까...

 

"마음이 불안한 이유는 생각은 하되 결심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결심은 하되 이를 실천에 옮기지 않기 때문이다.

마음이 곧 실천으로 향한다면

불안이 차지할 자리는 그 어느 곳에도 없다."

 

책에서는 '버리고 비우면 행복해진다'라는 주제로 붓다의 말씀을 전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좋아하는 일을 하면 행복해지고 싫어하는 일을 하면 불행해진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젊음과 사랑을 떠올려보자. 젊음과 사랑을 본질적으로 싫어하는 사람은 드물다. 두 가지 모두 갖고 싶어 하는 가치다. 허나 젊음을 좋아하는 사람은 점차 늙어가는 자신을 보며 괴로워한다. 사랑에 빠진 사람도 비슷하다. 처음에는 상대를 바라보고 애정을 주는 것에 기쁨을 느낀다. 하지만 이도 잠시일 뿐 내가 사랑하는 만큼 상대가 나를 바라봐주지 않으면 금세 괴로워한다. 즉, 고통이란 본질이 가지고 있는 속성에서 비롯되는 게 아니다. 우리 마음속에서 좋다, 싫다는 가르는 순간 괴로움이 찾아오는 것이다. 좋다, 싫다라는 감정을 내려놓으면 괴로움도 함께 사라지게 된다. 

 

책 <생각을 쉬게 하라>를 읽으면서 조금 아쉬웠던 점은, 붓다의 말씀에 대한 저자의 생각을 좀 더 많이 읽을 수 없다는 것이었다. 조금 더 깊이있는 통찰력이 담긴 저자의 생각이 많이 담겨있었으면 좋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