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 이혼 시키기
이화열 지음 / 앤의서재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재 이혼 시키기>는 <지지 않는 하루>, <배를 놓치고 기차에서 내리다>를 쓴 이화열 작가의 닮음과 다름, 독립과 의존에 관한 아주 특별한 이야기를 담은 에세이다. 이화열 작가는 결혼 25년 만에 남편과 서재를 나누며 '닮음'의 열망 때문에 '다름'이라는 현실을 간과하고 살았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리고 책 <서재 이혼 시키기>에 타인과 더불어 살지만 궁극적으로 자아를 잃지 않는, 독립적인 삶의 태도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독립적인 삶의 태도는 기질과 취향이 다른 영원한 타인인 배우자와 고군분투하는 결혼생활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아이들의 성장과 독립을 겪으면서 따뜻한 애착의 습관, 정신적인 탯줄을 끊고 함께 성장해야 하는 부모에게도 꼭 필요하다. 나아가서 단단하고 영리하게 행복한 삶을 살아가야 하는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미덕이다. 작가 이화열은 배우자 올비, 자녀 단비와 현비, 부모, 그리고 매일 마주치는 사람들과의 따뜻하고 소소한 하루하루를 통해 나를 온전히 발견하고 타인 대신 '자신'으로 채우는 삶에 대해 이야기한다.

"만약 자신을 제대로 소유하는 법을 알지 못한다면, 타인을 통해서 행복을 찾는다는 것을 불가능하다. 결혼에서 독립은 상대와 연결되었다는 것을 알면서 자기 인생의 주도권을 놓치지 않고 스스로의 욕망과 행복을 타인이 결정하게 내버려 두지 않는 것이다."

<서재 이혼 시키기>는 배우자와 부모, 자녀와 건강한 관계를 맺고 싶은 사람들, 관계 때문에 힘들고 지친 사람들, 자기 인생에 '자신'이 빠져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읽기를 추천한다. 사랑하는 사람들과 더불어 살면서도 의존적이지 않은, 자아를 잃지 않고 사는 법을 배울 수 있다.



저자는 사랑은 결코 두 영혼을 하나로 결합시켜 주지 않는다고 말한다. 불완전한 반쪽이 자신에게서 도망쳐 다른 반쪽을 통해 완벽함을 추구하는 것도 아니다. 저자는 독서가 자신을 들여다보게 하듯, 결혼은 타자가 비춰주는 자신을 통해 온전한 반쪽으로 성숙하는 진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고 이야기한다.

"서재를 결혼 시키든 서재를 이혼 시키든, 취향과 기질이 다른 두 존재의 우여곡절이 동반된 여정에서 우리는 닮음과 다름, 독립과 의존 사이에 결국 각자의 적당한 함숫값을 찾게 된다."

저자는 사람은 자신이 왜 배신당했는지에 대한 답을 찾지 못하거나, 자신을 속인 상대를 이해하지 못할 때 복수심에 사로잡힌다고 말한다. 그것이 자신의 정체성과 자존감을 지키기 위한 것으로 생각하지만 결국 자신에게 더 큰 고통과 상처를 준다는 저자의 글이 눈길을 끈다.

"불행으로 끝나는 결별에서 배워야 하는 것이 있다면 스스로 자신감을 획득하는 것이다. 우린 타인의 행동에 아무런 통제력이 없지만, 적어도 자신의 인생을 통제하고 집중할 수 있다. 니체의 말대로 자신에게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은 끊임없이 복수할 준비가 되어 있다. 하지만, 가장 훌륭한 복수는 상대에게서 완벽하게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저자는 자식과 부모의 정신적인 거리두기는 매번 산고처럼 고통이 따른다고 말한다. 부모에게 자신의 독립은 포근하게 덮고 있던 이불이 젖혀지는 순간이라는 저자의 글에 공감한다. 뿐만 아니라 저자는 거리를 존중하지 않는 사랑은 대상을 고유하고 자신을 채우려는 욕망이며, 부모는 탯줄을 자르고 나온 자식이 자기 몸의 일부가 아닌 다른 세계라는 사실을 하루에 열두 번 아로새겨도 결코 모자르지 않는다고 이야기한다.

저자는 살아봐야 아는 것들이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성장하고 독립하는 건 아이들만이 아니며, 우리도 더 이상 같은 존재가 아니라고 이야기한다. 또한 줄 수 잇는 것을 아낌없이 주었고, 받을 수 있는 것을 충분히 받는 행복하고 공정한 거래였으며, 자신을 애착의 습관에 붙들어놓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는 저자의 글이 인상적이다.

이 책에서 저자가 자녀 단비를 향해 여행지에서 만난 할아버지가 안뜰을 열어 정원의 체리를 건네준 일에 대해 이야기하는 모습이 흥미롭다. 또한 저자는 자신에게 여행은 아름다운 풍경에 대한 찬사보다, 펼쳐진 시간 여행에서 의미 있는 순간을 낚는 낚시꾼의 즐거움에 가깝다고 말한다.

"너 아니? 사람들은 부탁하는 것만 해주라고 말해. 먼저 해줄 필요가 없다고. 한국말로 그렇지 않은 사람을 가리켜 '오지랖'이라고 해. 그런데 살면서 기분 좋은 사건은 말이지. 대부분 누군가의 오지랖 넘치는 행동 덕분이야."

저자는 느긋함은 현명함이라고 말한다. 바쁨에서 멈춰 서서 나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느끼고, 주위에 일어나는 아름다움을 깨닫는 것이며, 내면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이라는 저자의 글에 공감한다.

"나는 시간을 쪼개는 것보다 시간을 보태는 것이 좋다. 친구와 시간을 보낼 때는 느긋하게 대화에 집중하고, 좋아하는 요리를 할 때는 색깔과 냄새, 요리하는 시간에 집중한다. 맛은 거기서 나온다. 인생도 비슷하다. 집중한다는 건, 현재의 순간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습관이다."

"가끔 잘사는 것이 무엇인지 조금 알 수 있을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이를테면, 아이의 긴 손가락을 내 손가락에 깍지 끼고 바닷가를 산책하는 것, 발밑으로 부드러운 모래 감촉을 느끼며 바닷바람에 섞인 행복의 입자를 천천히 들이마시는 것."

저자는 고통을 전면으로 마주하고 자신을 들여다봐야 한다고 말한다. 온전한 자기 자신으로 절망을 겪는다면 죽음에서조차 자신만의 의미를 발견해낼 수 있으며, 결국은 자신을 찾는 일이라는 저자의 글이 깊은 여운을 남긴다.

"비극의 서사는 자신을 맡아주거나 책임져줄 타인을 기대하는 것이다. 자신은 벗어던져야 할 무거운 짐가방이 아니다. 신을 비롯해서 타인이란 구원이 아닌 위로일 뿐, '자신'을 위탁할 곳은 세상에서 오로지 자신뿐이다. 어떤 사람은 용기 없이 도망치거나 모호한 희망을 가지고 살면서, 타인들의 시선으로 절망한다."




이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