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 없는 사진가
이용순 지음 / 파람북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이용순은 사진가이다. 미국 시카고의 콜롬비아 칼리지와 뉴욕대학원에서 사진을 전공한 정통 포토그래퍼이며, 미국과 서울에서 8회의 개인전을 가진 바 있는 중견 작가이다. 이 책의 출간에 즈음해 열리는 아홉 번째 개인전에선 특유의 예민한 감수성으로 내면의 풍경과 문학적 서정의 순간들을 포착해내고 있다.

어느 날 카메라가 들려있어야 마땅할 사진가의 손에 수갑이 채워졌다. 알고 지내던 어떤 이의 부탁을 받고 심부름을 해준 것이 빌미가 되었다. 범죄를 뒤집어씌우기 위해 파놓은 함정에 빠지고 만 것이다. 이 일로 세상 물정에 어두운 이 어리숙한 예술가는 2년여의 수감생활을 하게 된다. 책 <카메라 없는 사진가>는 그 낯선 시간과 공간에 대한 기록이며, 영상에 대한 감각을 문자의 형식으로 풀어낸 또 다른 창작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시와 산문으로 옮겨진 그 결과물이 예사롭지 않다. 무엇보다 탄탄한 문장력과 문학적 안목이 눈길을 잡아끈다. 책에는 짙은 서정성을 바탕으로 내면의 심층에 다가가는 깊은 시선이 돋보이는 저자의 아름다운 사진 작품 20여 점을 수록하고 있다. 책의 전반에 흐르는 일상과 주변, 인간의 내면에 대한 섬세한 관찰, 따뜻함을 잃지 않으면서도 예리한 감수성이 빛을 발하는 매우 독특하고도 매혹적인 책이다.

이 책은 '1장 슬픔을 공부하는 시간, 2장 카메라가 없는 사진가, 3장 세상의 바닥이라는 교실'이라는 3개의 목차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는 사진은 시간과 공간에 대한 기록이며 이는 시가 가지는 기본 형태와 일치한다고 말한다. 자신의 시가 언젠가는 사진으로 환원되어 보이기를 바란다는 저자의 글이 인상적이다.

"요즘의 나는 종종 시를 쓴다. 나는 결단코 나의 시가 언젠가는, 누구에게는 사진으로 환원되어 보이기를 바란다. 나는 사진가이기 때문이다. 내가 사진가라는 이유로 나는 추상의 단어를 시로 쓰지 못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도 시로 환원시키는 것에 애를 먹는다. 예컨대 사랑, 행복, 슬픔을 바로 시로 쓰지 못하고 대신에 사진이 그러하듯이 다른 대상을 선택하여 그것을 표현해낸다. 예를 들어서 여름 장마철에 드러난 햇살을 통해 슬픔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며 이 표현의 양식은 사진과 시가 동일하다. 그래서 시는 사진이다. 그러므로 카메라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나는 사진가다."

타인의 범죄를 뒤집어쓰고 감옥에 온 저자는 징역에서 살아남기 위해 자신을 버리고 가슴에 붙은 번호로만 살기도 한다고 말한다. 그러다가도 저자는 누군가에게 따스함이 전달되어 오면 자신의 한쪽을 내어주는 것이 감옥에서의 생활방식이라고 이야기한다. 뿐만 아니라 저자는 감옥 안에서 순박하고 어수룩했던 사람의 장점을 많이 보았고, 끝까지 자신을 모른채로 출소하는 사람도 존재한다는 것을 이야기한다.

이 책에서 저자는 감옥에서의 수감 생활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며, 나오지 못하게 가두어놓고 구멍을 통해 먹이를 밀어 넣어주는 배식구의 시스템은 언제부터였는가에 대해 생각한다. 저자는 감옥에서 배식구를 사용하게 되면서, 자신이 예전에는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우리들의 잔임함을 이제는 알 것도 같다고 이야기한다.

"우리에게는 밥상이라는 게 있다. 밥상은 이제 구별의 도구다. 그것은 우리가 인간이라는 소중한 표식이다. 오늘도 배식구를 통해서 우리들의 먹이가 들어온다. 그러니 배식구는 생명이기도 하다. 벽에 뚫린 작은 구멍으로 들어오는 밥을 먹고 하루를 보냈다. 이제 밤이 오기에 그 배식구를 닫는다. 오늘의 용도를 다한 것이다."

저자는 감옥 안의 중앙통로에는 셀 수 없이 많은 문이 나타나고, 초록색 바닥 중앙에 노락새 선이 나 있어 좌우를 가른다고 말한다. 저자는 자신에게 이 노란 선은 사색하는 길이며, 짧은 길을 오가며 좁은 공간에서 드넓은 세상과 우주의 깊이를 걷는 공간이라고 이야기한다.

"노동의 시간이 지나면 우리는 다시 지친 몸을 끌고 그 선을 따라 방으로 들어온다. 같은 선이지만 나갈 때와 들어올 때의 의미는 또 다르다. 들어올 때는 달력에 곱표를 하나 추가할 수 있다는 소소한 즐거움이 덤으로 주어진다. 인간이 죽는 것은 정해져 있지만, 그 날짜가 정해진 것은 아니어서 두려움 없이 사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반대로 이곳에선 나가는 날짜가 정해져 있으므로 두려움 없이 버틸 수 있다. 사람들은 이 생활을 삶의 범주에서 제외하려는 습성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시간이 흐르는 것에 대해 위안을 얻는다. 사실 그것이 가장 큰 즐거움이리도 하다."

저자는 종종 감옥 안에 있는 자신의 상황이 더럽다는 생각을 하지만 자신에게 선택은 주어지지 않는다고 말한다. 또한 저자는 세상을 살아오면서 자신이 얼마나 자유로운 시간을 누렸는지 반추해 본다고 이야기한다. 진정 예술가가 되고 싶었으나 어딘가에 멈춰 서게 된 자신의 심정을 솔직하게 써내려가는 저자의 글이 눈길을 끈다.

"예술은 다분이 위선적이기도 하고 거짓이기도 하다. 내게도 예술은 온전히 머물지 않았으며, 백지에 남긴 타인의 낙서와도 같았다. 사물과 인식의 대상에서 나는 가슴을 다 열어젖힌 것은 아니었다. 이제라도 나의 행로다 내가 꿈꾸던 방향이었으면 좋겠다. 내 예술의 세계가 가슴을 열어젖힌 것이라면 더욱 좋겠다."

저자는 교도소 수감생활을 하면서 사람을 만나고 얻어지는 것들은 교실에서는 불가능한 것이었고, 도서관에서도, 책을 읽어서도 가질 수 없는 그런 귀중한 습득물이었다고 말한다. 교도소의 노역을 선택하면서 살아있는 생명체에서만 뿜어져 나오는 그런 지식들을 하나둘씩 가지게 되었다고 이야기하는 저자의 글이 여운을 남긴다.

"교도소의 노역은 강제규정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아직도 강제인 곳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은 선택에 의함에는 틀림이 없다. 나는 노역을 선택한 곳이고 삶을 선택한 것이며 그로 인해 얻어지는 참지식을 선택했다고 믿는다. 나는 얼마나 이 생활이 남아있는지 모르지만, 나의 완성에 보탬이 되는 시간이라고 빋으며 다시 공장으로 향한다."

저자는 감옥 안에서 버려지는 쓰레기들과 함께 나의 슬픔과 고통의 기억을 버리려 한다고 말한다. 정말로 세상의 이치를 조금 더 이해하게 되었고 나를 알아버렸으며 나의 비워짐이 다시 무언가로 채워져야 함을 알기 때문이다. 이제 이것들의 버려짐으로 내 영혼이 좀 더 자유로워지기를 바란다는 저자의 글이 인상적이다.




이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