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겨진 뼈, 드러난 뼈 - 뼈의 5억 년 역사에서 최첨단 뼈 수술까지 아름답고 효율적이며 무한한 뼈 이야기
로이 밀스 지음, 양병찬 옮김 / 해나무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숨겨진 뼈, 드러난 뼈>는 뼈를 사랑하는 정형외과 의사 로이 밀스의 열정적이고 유머러스한 뼈 교양서이다. 뼈는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건축 자재다. 뼈는 스스로 자라고 가벼우며 내구성이 좋다. 부러졌을 때 스스로 회복되기까지 한다. 그리고 생명체가 살아 있을 때 숨겨져 있던 뼈는, 주인이 죽은 후에 밖으로 나와 무수히 많은 이야기를 들려준다. 지층 속에 묻힌 뼈는 수백만 년 전의 지구에 대해 말해주고, 동굴 속에서 발견된 뼈는 인류의 기원에 대해서 말해준다. 또한 뼈는 생활용품, 농사도구, 사냥도구, 무기, 장식품, 악기, 놀이기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 책은 인간의 삶과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인 '뼈'의 파란만장한 일생을 이야기한다. 1부에서 저자는 뼈의 생물학적 구성, 뼈가 어떻게 성장하고 부러지고 치유되는지 등의 기본적인 과학 지식부터 의학적 혁명과 최신 정형외과 혁신들까지, 살아 있는 신체 내부의 '숨겨진 뼈'에 대해 소개한다. 2부에서는 화석, 납골당, 도구, 악기 등 신체 외부에 '드러난 뼈'의 역사를 통해 뼈가 지닌 역사적, 종교적, 관용적 의미를 탐구한다. 뼈에 대해 상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측면을 다루는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살아서 만큼이나 죽어서도 흥미로운 비밀을 간직한 뼈의 신비로움을 파헤치고, 그 중요함을 간과했던 뼈를 다시 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뼈는 어디에나 있고 다재다능하지만, 살아 있는 상태에서 포착되는 경우가 드물다 보니 약간 불가사의한 측면이 있다. 주인을 섬기고 보호하는 임무를 완료한 후, 그 경이롭고 불가사의한 물체를 수많은 장소에서 수많은 목적을 위해, 때로는 수억 년 후에 모습을 드러낸다. 벼는 지구의 역사와 지구상에서 동물이 살아온 과정에 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게다가 문명이 탄생한 이후 뼈의 용도는 더 다양해져서, 인류는 뼈를 섬기고 보호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 뼈로부터 즐거움과 영감을 선사받고 있다. 뼈의 내구성과 편재성은 '드러난 상태'를 '숨겨진 상태'만큼이나 흥미롭게 만든다.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독자들은 뼈가 세계 최고의 건축자재 겸 문화재임을 확신하게 될 것이다."



저자는 뼈의 말단에서 연골모 바로 아랫부분을 성장판이라고 부른다고 말한다. 성장판은 호르몬의 자극을 받아 성장기 동안 새로운 뼈세포를 신속히 만들어내며 연골모를 앞으로 밀고 나간다. 저자는 성장판은 궁극적으로 소진되어 청소년기 말이 되면 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소년보다는 소녀들의 성장판이 더 일찍 사라진다고 이야기한다.

저자는 전문가들이 운동을 권하는 이유는 신체활동이 빗발치는 듯한 암전력을 생성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설사 가벼운 산책을 하더라도 다리, 골반, 척추에서 암전력이 생성되도록 가극할 수 있다. 저자는 커팅콘이 그 전기적 메시지를 감지하고 '저 뼈가 걷기의 시계적 외력에 저항할 필요가 있겠구나'라고 인지하면, 반복적 부하를 경험하는 뼈를 강화하게 된다고 이야기한다. 뿐만 아니라 저자는 수산화인희석이 압전력을 생성하려면 약간의 강항 충격이 필요한데, 조깅이나 활보 같은 적당한 충격을 주는 활동이면 된다고 말한다. 그리고 저자는 수영과 사이클링은 여러 면에서 건강에 이롭지만 뼈의 커팅콘을 자극할 정도의 충격을 주지는 않는다는 이야기한다.

저자는 치아와 뼈는 모두 단단하고 고밀도의 칼슘을 포함하고 있지만 화학성분과 구조가 전혀 다르다고 말한다. 전신의 뼈 개수에 치아가 포함되지 않는 건 바로 그 때문이다. 저자는 코끼리의 앞니에서 지속적으로 자라는 상아도 마찬가지라고 이야기한다. 뿐만 아니라 저자는 동물의 발굼과 발톱, 우리의 손톱은 위험한 무기가 될 수 있고 방어적 가치가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뼈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말한다. 그것들은 모두 각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질은 콜라겐과 유사한 또 하나의 섬유단백질이다. 각질의 경우에는 섬유 그물 위에 칼슘 결정이 축적되어 있지 않으므로 뼈보다 탄력적이고 가볍다. 우리의 피부도 섬세한 각질 그물로 덮인 채 우리의 귀중한 뼈를 보호해준다. 거북의 껍데기, 새의 뿌리, 소의 뿔은 더욱 두꺼운 각질층으로 뒤덮여 있다는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는 저자의 글이 흥미롭다.

저자는 만약 커팅콘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반복적인 압박을 가한다면 뼈가 강화되기는커녕 점차 약화될 것이라고 말한다. 특히 격렬한 운동은 실금과 국지적 통증 및 압통을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저자는 우리 몸에서 흉터 없이 치유될 수 있는 조직은 뼈와 각만 뿐이라고 이야기한다.

저자는 티타늄은 스테인리스강과 마찬가지로 내식성이 있는 데다 스테인리스강보다 탄력성이 높아 뼈에 두르기에 유용하다고 말한다. 만약 판이 부드럽고 쉽게 구부러진다면 골절 부위를 안정화할 수가 없다. 그와 반대로 만약에 판이 완전히 뻣뻣해서 골절 부위를 꽉 잡아준다면 수산화인희석 결정이 기계적으로 변형되지 않으므로 칼슘 결정이 압전력을 생성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판이 부하를 감당하게 되는데, 나중에 판이 제거되기 전에는 별 문제가 없지만 판이 제거되었을 때 한동안 일손을 놨던 커팅콘이 제대로 일을 하지 못한다. 그러면 뼈가 약해져 다시 부러진다. 저자는 커팅콘을 오래 놀리는 것을 전문용어로 응력 차단이라고 하는데, 티타늄은 스테인리스강보다 탄력성이 약간 높아 응력 차단 효과가 작다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저자는 골절 치료의 목표는 뼈의 말단을 안정화하는 것이지만, 그 정도가 지나쳐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골정 부위의 정렬을 유지할 정도로만 안정화하고 약간의 미세한 움직임을 허용하여, 커팅콘을 왠만하면 놀리지 말아야 한다.

저자는 매장은 질병과 악취의 확산을 줄이고 일부 문화권에서는 죽은 사람이 사후 세계로 갈 수 있도록 배려해주는 수단이라고 말한다. 토양 조건이 괜찮으면 매장된 뼈는 화석화되어 그 후로도 수천 년 동안 발견과 분석의 대상으로 남게 된다. 저자는 팔찌, 구슬, 도자기 등의 부장품이 유골과 함께 발견되면 학자들은 그에 기반하여 뼈 임자의 사회경제적 신분과 그가 속한 문화권의 신념 및 의례를 유추하지만 발굴된 골격 자체에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은 최근까지 대체로 간과되었던 윤리적 이슈만큼이나 심오하다고 이야기한다.

저자는 뼈를 영적, 실용적, 기분 전환용 목적으로 변형하기도 했지만, 오로지 미적 쾌락을 추구하기 위해 공예품으로 빚어내기도 했다고 말한다. 뼈의 단단하고 차갑고 창백한 표면은 시각과 촉각을 사로잡는 묘한 매력을 발산한다. 나무와 돌의 중간쯤 되는 굳기 덕분에, 가공하기가 비교적 쉬우면서도 수 세기 동안 견뎌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자는 예술가들은 초자연적 존재에 대한 경의, 배우자에 대한 사랑, 심지어 주름이 잘 잡힌 파이에 대한 기쁨 등 모종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로 뼈를 사용해왔다고 이야기한다. 이밖에도 저자는 에스파냐의 안토니 가우디는 포물선 아치를 자신의 경이로운 건축에 도입했을 뿐 아니라, 뼈의 매끄러운 윤곽을 자신의 기발한 건축물인 카사바트요의 외장에 광범위하게 도입했다고 말한다.

첫 번째 삶을 영위하는 뼈는 숨겨진 상태를 유지하고, 임자가 죽은 후 부여받은 제2의 삶에서, 드러난 뼈는 지구의 역사와 인류의 활동에 대해 우리가 미처 몰랐던 많은 것을 드러내 보인다는 저자의 글이 인상적이다. 뼈는 인류의 유산인 동시에 전설이며, 세계 최고의 건축자재라는 저자의 글이 여운을 남긴다.




이 포스팅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