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론의 화가, 겸재 정선 - 다시 읽어내는 겸재의 진경산수화
이성현 지음 / 들녘 / 2020년 4월
평점 :
품절


전문적이고 독창적인 평론이다. 동양의 화론과 고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저자는 진경산수화와 정선의 그림에 대한 정설들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다. 동양에서 산수화는 이상적 정치체제를 시각적으로 구현해내기 위한 것이라는 저자의 말이 매우 설득력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피엔스 (무선본) - 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인류 3부작 시리즈
유발 하라리 지음, 조현욱 옮김, 이태수 감수 / 김영사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시종일관 너무나 충격적이다. 저자는 인류의 과거와 현재를 적나라한 시선으로 분석한다. 브레이크가 고장난 자동차처럼 질주하는 호모 사피엔스는 이제 어디를 향하고 있나? 유발 하라리의 어깨 위에 올라서서 미래의 지평선을 더 명료하게 보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욕심을 잊으면 새들의 친구가 되네 - 이규보 선집 돌베개 우리고전 100선 3
이규보 지음, 김하라 편역 / 돌베개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규보의 글은 인간적이며, 그의 시는 빼어나게 아름답다. 우리가 이렇게 뛰어난 시인을 두었다는 것에 자긍심을 느낀다. 더 많이 알려졌으면 좋겠다. 그의 글을 깊이 음미할 수 있었던 것은 김하라씨의 유려한 번역 덕분이다. 훌륭한 시인에 훌륭한 번역가를 알게 되어 기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울 산수 - 옛 그림과 함께 만나는 서울의 아름다움
이태호 지음 / 월간미술 / 2017년 6월
평점 :
품절


서울의 옛모습을 산수화로 되살려보는 재미가 있다. 옛 지도의 아름다움도 맛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본에 대해 참 모른다는 생각을 최근에 많이 하게 되었다. 우리와 악연으로 맺어진 미운 이웃이라는 것 외에는 학교 국사시간에 배운 대강의 지식 밖에는 없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을 안다'고만 생각했다.


TV에서 드문드문 보고 들은 일본인들의 모습은 정치적인 것을 뺀다면 -이것을 뺀다는 것은 애초애 무리이고 어쩌면 불가능한 것일지 모르겟으나-무척 흥미롭다. 일본과 중국과 한국의 미의식을 분석한 책을 읽고, 일본인들의 의식 속에 죽음이 항상 강하게 자리한다는 사실이 아주 새롭게 다가웠더랬다.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이나 <토토로>의 민담적 이야기도 우리 것과 무척 달랐다. 일본의 정원도 우리의 정원과 다르고, 그들의 문자 체계 역시 한글과 다르다.


그림은 또 어떨까. 우키요에는 우리의 민화와 완전히 다른 스타일이다. 다른 문화를 접할 때 우리는 보통 우리 것과 대응시켜보는 경향이 있다. 그러면 이해하기가 한층 쉽기도 하려니와 인류 문명은 보편성이 있다는 믿음 때문이다. 하지만 세밀하게 들어가면 절대 대응되지 않는 그들만의 특수성이 있어서, 우키요에 역시 우리 문화 속에서는 대응시켜볼 수 있는 그림이 없는 것 같다. 


저자 오쿠보 준이치는 우키요에를 시대별로, 작가별로, 다양한 작품들을 정리해서 설명해준다. 그리고 그것이 시대별로 반영했던 주제와 제작, 판매까지 섭렵한다. 아무튼 무척 잘 읽었고, 이제 좀 우키요에를 알 것 같은 느낌이고, 우키요에를 통해서 일본인들도 살짝 알 것 같은 느낌이다. 


가장 흥미로웠던 몇 가지를 얘기하자면:


우선 작품들이 정말 아름답기도 하고 흥미롭기도 했다. 보통의 일본인들이 우키요에를 집에 붙여놓고 즐겼다는 사실이 무척 재밌다. 생활 속에 그림으로 이야기를 들여놓은 셈이다. 우키요에는 인물과 풍경과 이야기를 묘사하는 경우가 많으니 말이다. 


두번째로는, 그림 속에 주제를 숨겨놓았다(!)는 사실. 정치적으로 금지하는 주제들이 있을 때 우케요에 화가들은 그것을 표현하는 방법을 고안해내었다. 그리고 그림을 보는 사람들은 그것을 해독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서, 일본인들이 사회적 억압을 무조건 수용하지는 않았다는 의미다. 


또 흥미로웠던 점은, 우키요에가 해학성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는 대목이었다. 해학은 왠지 한국인들의 전용어인 것만 같고 해학을 즐길 줄 아는 한국인들의 지성에 대해 자부심을 느꼈던 것도 사실인데, 일본인들에게도 해학이? 우키요에 안에는 여러 흐름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희화'라고 불리는 것들로서, 골계미 즉 해학이 중심이 되는 그림들이다. 책 102쪽과 105쪽의 그림이 참 재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