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세와 타협 - 임진왜란을 둘러싼 삼국의 협상 동북아역사재단 교양총서 11
김경태 지음 / 동북아역사재단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임진왜란을 기존과 다른 느낌으로 다루는 이야기를 듣고 싶다면 추천하고 싶다.

우리는 임진왜란에서 있었던 일을 너무나 많이 들어 잘 알고 있지 않은가? 어떤 측면에서는. 전쟁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으며 무슨 무슨 전투가 어디서 어떻게 일어났으며 누가누가 활약했는지. 아, 이런 이야기에 조금 지쳤다면.

당시 명, 조선, 일본 사이의 관계가 어떠했고, 서로를 바라보는 관점이 각자 어떠했는지의 이야기가 흥미롭다. 전황을 구체적으로 다루는 내용은 없다. 대신에 이왕에 터져버린 전쟁을 세 나라가 어떻게 풀어나갔고, 어떻게 마무리하려 했는가를 구체적으로 다룬다. 특히 종전 협상을 다루는 대목이 무척 재미있다. 7년을 끌었던 이 전쟁은 흔히 알려진 것과는 다르게 협상이 반 이상이다. 장수들은 싸우면서도 끊임없이 서로 사람을 보내 말을 걸고 이것저것 재본다. 어차피 전쟁이라는 것의 본모습이라는 게 다 거기서 거기다.

책을 다 읽고 나니 당시 세 나라가 각자 가졌던 입장이 선명하게 그려진다. 전쟁을 일으킨 일본은 얼마 지나지 않아 ‘아 이게 아닌데‘하며 쩔쩔매면서도 겉으로는 자기들이 다 이기고 있는 척 뻔뻔하게 큰소리치면서 세게 나온다. 에헴 하며 전쟁에 끼어든 명나라는 대국의 체통을 지키는 동시에 수렁에 빠진 전쟁에서 손해 역시 보지 않는 길을 찾느라 헤맨다. 명나라와 일본이 서로 손익을 따지는 사이 중간에 낀 조선은 자다가 갑자기 얻어맞은 장본인이면서도 가슴만 치고 소리는 내지르지 못하는, 뭔가 짠한 모습이다. 유린 당하는 나라를 지키려고 필사적으로 목소리를 내며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 애잔하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연극배우처럼 과장된 내면과 면모, 고니시 유키나가와 가토 기요마사의 경쟁과 그 후일담, 나름대로 노력하는, 그러면서도 책임 소재는 슬쩍 피해 가고 왕권은 그것대로 챙긴 알뜰살뜰한 선조의 이야기가 소설처럼 펼쳐진다.

조금이라도 쉽게 대중들에게 다가서는 책을 만들려고 고심한 흔적이 보인다. 읽는데 하루도 채 걸리지 않고, 책에서 다루는 내용의 깊이에 비해 문장들이 꽤나 경쾌하게 읽힌다.






**

책을 읽고 문득 든 생각이다. 반도의 조그마한 이 나라는 자의든 타의든 강대국의 다툼에 끼어들어서는 절대 안 된다. 아프고 억울해도 외마디 비명 하나 지를 겨를 도 없이 맷돌에 콩 갈듯 처절하게 갈려나갈 수밖에 없다.



잘 하고 있습니까, 대한민국 정부? 이 양반들이 학습 능력이 있어야 할 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