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싫어서 오늘의 젊은 작가 7
장강명 지음 / 민음사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속도감 있는 재미있는 책이었다. 요즘 유행하는 '헬조선'에 딱 맞는 소설이다. 하지만 아쉬움도 많은 소설이다. 신랄하지만 애정이 없고 통찰력 있지만 깊이가 없다. 기자 출신 작가라는 편견이 있어서인지 [한국이 싫어서]는 논리적이고 군더더기 없는 문장이 매력이지만 반대로 무미 건조하고 평이한 문장은 독자의 미적 상상력의 재미를 반감시키기도 한다. 거기다가 공대 출신이라니......

 

하지만 작가의 한국 사회에 대한 진단은 날카롭고 정확하다. 항상 만나면 시어머니 욕을 해대는 친구 은혜나 IT회사에 다니면서 컴맹인 것을 들통날까봐 전전 긍긍하는 친구 미연과 같이 본인 자신을 변화시키거나, 환경을 변화 시키려는 시도는 해보지도 않는 그들의 안정감과 예측 가능성에 안주하는 모습은 현재 한국인들의 부끄러운 민낯이다. 

 

또한 작가가 제시하는 자산성 행복과 현금 흐름성 행복의 상쇄적 개념은 한국 사회의 유용한 분석 도구로 생각 된다. 자산성 행복은 학벌, 직업과 같이 개인에게 금욕과 희생을 요구하는 유보된 행복으로 일단 목표가 달성되면 성취한 기억으로 조금씩 오랫동안 느껴지는 행복이며 현금흐름성 행복은 말 그대로 순간 순간을 즐기는 행복이다. 한국 사회는 전통적으로 현금흐름성 행복을 쾌락이나 게으름으로 금기시하고 자산성 행복을 노력과 끈기의 결실로 신성화 해왔지만 작가가 보기에 한국사회, 아니 '헬조선'의 근본적인 잘못은 바로 현금 흐름성 행복의 부족에서 온다는 것이다. 자산성 행복이라는 신기루를 부질없이 좇거나, 설사 달성했다고 하더라도 성취 기억만으로 행복을 연명하기 위해 현금흐름성 행복을 포기하는 것이 우리가 행복하지 않은 이유라는 것이다.

 

생각 해 보자. 고등학교 3년 안자고 안놀고 공부해서 간신히 서울 4년제 대학가면 또 취업하기 위해 4년 - 군대까지 더하면 6년 - 죽어라 공부해서 대기업 들어가고, 또 애들 뒷바라지 하려고 자존심 던지고 아둥바둥 일하다 50살도 안되서 회사에서 나가라고 하면 우린 도데체 언제 행복해 진단 말인가? 자산성 행복의 함정은 끝이 없고 만족이 없다는 것이다.

 

신문 인터뷰를 보니 작가는 직설적이고 솔직하면서 자존감이 강해 보였다. 와이프한테 딱 2년 정도 전업 작가를 해보고 안되면 다시 기자로 돌아 오겠다는 조건으로 소설을 하루에 8시간 이상 쓰기 시작했고 생계를 위해서 각종 공모전에 음모했다는 고백은 당당하다 못해 뻔뻔해(?) 보일 정도였다. 이런 솔직함과 당당함이 작가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제부터는 이름도 알렸고 먹고 살기에 좀 여유를 가진 것 같으니 이제는 명성에 어울리는 깊이와 애정을 가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리고 그의 바램대로 조지 오웰의 [위건 부두로 가는길] - [카탈로니아 찬가] 역시 최고다!!!!!! - 과 같은 인간과 사회의 객관적인 관찰, 통찰과 동시에 뜨거운 애정과 비판이 묻어나는 르뽀 문학을 조만간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