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력과 인간 - 사도세자의 죽음과 조선 왕실 ㅣ 문학동네 우리 시대의 명강의 2
정병설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은 하루 만에 다 읽을 정도로 재미있었다. 하지만 기억에 남을 만한 새로운 사실이나 주장같은 것은 없었다.
일단 사도세자 죽음의 원인은 자격지심으로 똘똘 뭉쳐 있는 사이코 패스 영조에게 있다고 생각한다. 사도세자의 광증은 영조한테 받은 무시와 멸시, 그리고 공포로 인해 무너져 버린 멘탈의 결과이자 증상 일 뿐이다. 그리고 사도세자가 영조를 죽이고 싶을 정도로 무서위 했다는 것은 사실인 것 같다. 영조가 아무리 권력에 미친 왕이라 하여도 정치적 이유때문에 아들을 죽일 정도로 괴물은 아니었던 것 같고 자신의 알량한 목숨에 위협이 된다고 느겼기 때문에 아들을 뒤주에 담아 죽였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도 끝까지 밝혀 내지 못한 것은 왜 하필이면 '뒤주' 였을까? 하는 의문이다. 사실이라고 믿기에는 너무 잔인하고 엽기적인 극형의 방식인 데 혹시나 하고 기대를 가졌으나 이 책에서도 영조가 '뒤주' 를 사용한 이유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을 주지 못하고 있다.
내가 보기에 진짜 광인은 사도제사가 아닌 영조다. 아들을 뒤주에 가둬놓고 굶겨 죽였다는 이야기는 그 어떤 왕조에서도 들어 본적 없는 광기의 명확한 증거이다. 자신의 보잘 것 없는 출신 배경 - 어미 숙빈 최씨가 후궁도 궁녀도 아닌 궁녀의 종이라는 것이 유력한 설이라 한다 - 의 태생적 약점과 이복 형님 경종의 후계자였으나 끝까지 경종의 독살설의 배후로 의심받아 이인좌의 난이라는 정치적 난관이 영조의 성격적 결함을 가져온 원인은 될 지 언정 아들 사도를 죽인 면죄부가 될 수 없음은 당연한 이치이다.
당쟁 희생설은 사도 세자의 엽기적인 죽음을 더욱 극적으로 만드는 가설일 수 는 있겠지만 개연성은 떨어져 보인다. 죄없는 내관이나 나인들을 잔인하게 죽일 정도로 심한 광증에 시달리고, 공부보다는 사냥이나 여자를 좋하했던 군왕이 되기에는 품성과 자질이 부족했던 사도세자가 노론의 독주를 막기 위해 정치적으로 소론에 기울어져 있었다는 것은 무리한 추론이며 실제로 영조의 꼭두각시나 다름 없었던 대리청정 시절에 사도가 정치적으로 무엇 하나 할 수 있었는가를 생각해 보면 당쟁 희생설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자신만이 옳다는 고집불통에 반대편의 충고나 비판은 무시하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자신의 주장만을 관철시키려는 영조같은 지도자는 지금 시절에는 국가적 재앙이다. 그래도 영조는 치명적인 성격적 결함은 있었지만 좋은 머리와 박학한 지식, 그리고 동물적인 정치적 감각은 있었는데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