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 ㅣ 필립 K. 딕 걸작선 12
필립 K.딕 지음, 박중서 옮김 / 폴라북스(현대문학) / 2013년 9월
평점 :
영화 [블레이드 러너]의
원작으로 더 유명한 소설이다. [블레이드 러너]를 본지가
하도 오래돼서 모든 내용을 기억하지는 못하지만, 어렴풋하게나마 단편 적인 기억의 퍼즐들을 맞춰 보면
영화는 소설에서 소재와 모티브를 차용했을 뿐 내용과 구성은 소설과는 다른 차별성을 보인다.
개인적 취향으로는 영화 [블레이드 러너]가 원작 소설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 – 앞으로 [안드로이드]로
줄여거 표기 - 보다 더 좋다. [안드로이드] 입장에서서는 항상 [블레이드 러너]와
비교되는 것이 억울하고 공정하지 못하다고 생각 할 수도 있겠지만 소설 [안드로이드]는 인류의 디스토피아적 미래의 탁월한 묘사와 인간과 동일한 외모에다 인간보다 더 뛰어난 지능을 가지고 있지만
감정이입 능력이 결여되어 있는 인조인간 ‘안드로이드’라는
탁월한 설정을 빼고는 솔직히 나로서는 높은 점수를 줄 수 없는 소설이다. 영화 [블레이드 러너]가 소설과는 다르게 ‘안드로이드’ 를 인간의 정체성과 혼돈성에 대한 상징물로 재창조하면서
‘안드로이드’에 대한 비중을 높인 것은 탁월한 장르적 해석으로
생각되며 인간의 탐욕과 이기심의 희생물인 ‘안드로이드’의
인간에 대한 복수와 용서는 룻서 하우어가 열연한 로이 바티의 장대빗속에서의 Retirement 명장
면으로 기억된다.
물론 [안드로이드] 대중소설로서
다른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SF소설 장르에 아직도 익숙치 않은 나로서는 필립 K. 딕 걸작선을 11권이나 읽었는데도 이 장르의 매력에 빠지는 것이
말처럼 쉽지가 않다. 이제 한권만 남았는데 다 읽거 나서는 중고서점에 팔아야 할지를 고민해봐야 할 것
같다. 다른 작품에서도 언급한적이 있지만 작가 필립 K. 딕의
상상이나 꿈 장면은 순수한 창조물이라기 보다는 약물에 의지한 환각이라는 인상이 강해 아직도 불편하고 가끔은 역하다. [안드로이드]에서의 감정이입 장치는 마약 및 약물과 다르지 않다. 물론 디스토피아적인 미래에서 인류는 안드로이드와 다름없이 감정이나 공감능력의 부족으로 감정이입 장치 – 마약이 틀림없다 – 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는 묵시론적 세계관으로
[안드로이드]를 해석 하기에는 설정 이외에 다른 소절적 장치
플롯 – 사건의 질서있는 배열과 구성 – 이 빈약하고 아예
없다시피 하다.
만약에 특수인 – 닭 대가리 – 이라는
참신하고 독창적 의미를 가지지만 ‘인간’과 ‘안드로이드’의 중간 어디엔가 존재하는 모호한 위치를 가진 ‘이지도어’ 에게 더 큰 역할을 주었으면 [안드로이드]에서의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비유와 해석이 더 풍성하지
않았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본다. 특수인은 지적 능력이 떨어지는 열성적 인간이지만 반대로 안드로이드에게도
연민을 가지고 기꺼이 도움을 주는 순수한 마음을 가진 우성적 인간이다. 물론 머서교와 융합이라는 환상에
의존하는 나약한 존재이지만 안드로이드의 머서교의 허구성 폭로에도 불구하고 잠시 동안의 혼란감과 자괴감을 극복하고 안드로이드들의 아무런 감정적 동요없이
거미의 다리를 자르는 잔인한 행동을 보고 자신의 위치를 바로 찾아가는 이지도어야말로 매력적이고 개성 있는 캐릭터에 틀림 없다.
하여튼 [안드로이드]는 내 몸에 맞지 않아 다시는 꺼내 입을 것 같지 않지만 그래도 버리기에 뭐한 애매한 옷 같은 소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