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의 침팬지
재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 문학사상사 / 199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역시 제레드 다이아몬드다.

 

[총, 균, 쇠] 와 마찬가지로 그의 방대한 자료에 바탕을 둔 학자로서의 해박한 지식과 이론, 그리고 어렵고 복잡한 과학적 이론을 일반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쓰는 저술가로서의 능력에 질투(?)를 넘어 존경심이 들 정도다.다. 설사 내가 그의 가설, 주장, 이론에 동의 할 수 없다고 해도 별 도리가 없다. 나에게는 그의 방대한 자료를 반박할 자료도 지식도 전무 하기 때문에 반박할 논리 자체가 성립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제3의 침팬지]를 요약하는 것은 나의 능력을 넘어서는 일일 뿐만 아니라 별 소득 없는 허사일 뿐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제3의 침팬지]는 인류의 과거와 미래에 대한 방대한 진화론 교과서라고 생각하고 필요한 부분을 그냥 외워두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내용을 전부 외울 수는 없는 일이므로 백과사전처럼 서재에 꽂아 두었다가 두고두고 긴요할때 찾아 보면 될일이다. 혹자는 내 생각을 과장이 심하다거나 비약이 도를 넘는다고 비판 할 수 도 있겠지만 나로서는 다른 방도가 없다. 그래서 나의 느낌의 짤막한 글로 서평 - 물론 "주제넘는 시답지 않은 괜한짓" 과 동일어다 - 을 갈음하고자 한다.

 

1. 우리 인류가 침팬지와 공동 조상에서 분류 된 시점이 700만년 전이라고 한다. 언뜻 상상도 할 수 없는 긴 세월로 느껴지지만 사실 지구 나이 50억살을 감안해 보면 화장실에서 큰 일 보기에도 부족한 짦은 시간이다. 하루 24시간으로 환산 해보면 겨우 2분에 해당하는 시간에 불과하니 말이다. (물론 내 계산을 확신 할수 없으니 의심가는 분은 직접 계산하는 것이 좋을듯 싶다). 침팬지와 우리 인간이 98% 이상의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는 과학적 증거이다. 그러므로 우리 졸렬하게 동물원 우리에 있는 침팬지나 좀 더 먼 친척뻘인 고릴라나 오랑우탄을 못 살게 굴거나 비웃지 말기로 하자. 우리가 입장 바꿔 우리 안에 갇혀 있어도 별반 다를 게 없을 것이다.  

 

"오랜 역사 속에서 인간은 위대한 수렵인이 아니라, 식물성 음식이나 소형 동물을 얻기 위해 석기를 사용하는 약삭빠른 침팬지였던 것이다" p80

 

2. 저자 말대로 DNA 1.6%의 다름이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특수성, 즉 언어의 사용, 예술, 도구를 사용하는 기술, 농업 - 화학 물질남용은 빼기로 하자 - 의 결과를 가져왔다고 치자. 좀 뭐라고 반박을 하고 싶지만... 위에서도 밝혔듯이 그의 방대한 자료와 막힘없는 논증에 딱히 할 말이 없다. 과학적으로 98% 이상의 유전자가 동일한 유인원과 인간에게 나타나는 문명의 큰 간극을 1.6%의 DNA에서 찾는 것은 진화생물학자인 저자에게는 이상할 게 없는 일이다. 하지만 솔직히 그 1.6%의 DNA가 정확히 어떤 DNA이고 정확히 어떤 역할을 수행 하는 지는 저자도 알지 못한다. 앞으로 과학이 아무리 발전해도 그 원인을 정확히 알아내지는 못 할 것이다. 아니 알아내지 못했으면 한다. 무지하고 사악한 인간에게 과학은 때로는 괴물이며 고통이다. 의도했던 의도하지 않았던 간에 진화론이 우생학이라는 괴물을 잉태했음을 잊어서는 안된다.   

 

3. 성 선택 - 도태라는 말보다는 요즘 학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어휘로 생각한다. - 설 (섹스, 배우자 찾기,혼외정사 등등) 에 대한 여러 실례와 가설이 매우 흥미롭다. 남사스러운 19금 내용이 많이 담아 있어 여기에 다 옮길 수는 없지만 남자들은 꼭 참고할 내용만 짧게 언급하겠다.

 

사람(4분)

고릴라(1분)

피그미침팬지(15초)

침팬지(7초)

오랑우탄(15분)

 

4. 화학 물질 남용이라는 부정적인 인간만의 특징을 성선택설 관점에서 풀어낸 저자의 분석이 흥미롭다. 저자에 의하면 담배, 알코올, 마약등의 남용은 공작의 화려한 꼬리털과 같은 것으로, 비록 자신의 생존에는 오히려 독이 되는 특징이 미래의 배우자한테 본인의 우월한 유전자를 과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특히 출산을 담당하는 여성들이 자신의 번식 능력에 해가 되는 화학 물질에 중독되는 것을 저자가 진화론적 관점에서 어떻게 설명 해 낼 수 있을 지 궁금하다.

 

이 말고도 느낀 점이 많지만 더 이상은 무리다. 하지만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인류의 미래에 대해, 나는 저자와 생각이 다르다.  인간은 지구의 오랜 역사에서 다른 종은 물론 같은 종인 인간들까지도 멸종하려고 했던 제노사이드 홀릭이다. 과거 우리 수렵, 채집민 조상에게 멸종이 무지에서 비롯되고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측면이 없지 않았던 반면, 현재 우리 인류에게게 멸종 행동은 의도적인 탐욕의 결과일 뿐이다. 그러므로 현 인류는 위험한 존재임에 틀림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