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두 편을 읽었다. 찰스 램의 [굴뚝 청소부 예찬]과 밀란 쿤데라의 [만남]이다.
[굴뚝 청소부 예찬]이 소소한 일상 생활에 대한 기억 및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에세이라면 [만남]은 작가가 프랑스에서 지식인들과의 우연적인 만남과 대담을 통해 문학과 예술의 현대성의 철학적인 사유에 대한 비평 에세이에 가깝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에세이는 나와 잘 맞지 않는다. 에세이는 저자의 타자 – 그 것이 사소한 일상사에 관한 명상이든 예술과 문학에 관한 철학적 사유이든 상관 없이 – 에 대한 분석과 비평이 주가 될 수 밖에 없는 필연적인 운명을 가진 문학 장르로 독자가 이에 공감하지 못할 경우 심각한 부조화를 피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찰스 램은 [굴뚝 청소부 예찬] 구석구석 마다 그리스 신화와 성경의 구절을 인용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생각을 펼치고 있으나 나에게는 이성적으로나 감성적으로나 전혀 울림이 없는 어느 지식인의 자기자랑으로 밖에 느껴지지 않았다. 다시 말해 [굴뚝 청소부 예찬]에서 두 장의 리포트 과제를 위해 한 장 분량의 내용을 글자 크기나 간격을 조절하는 꼼수로 늘려 보려는 듯한 인상을 받았다면 너무 심한 표현일까?
밀란 쿤데라의 [만남]은 여러 작가와의 만남을 통해 그들의 예술적 비평과 소설이 가지는 예술적 가치에 대한 깊은 사고를 보여 주고 있다. 하지만 그가 거론하는 작가들의 대부분을 나는 알지 못하며 그러므로 그의 비평에 대해 뭐라 말할 수 있는 입장이 아니다. 밥에 김치만 먹다가 갑자기 프랑스 풀코스 요리를 먹으려고 하니 영 식욕이 나지 않고 일단 들어간 음식이 소화되지 않는 꼴이다.
그리고 위 두편과는 상관 없는 이야기지만 나는 '격려와 위로' 한 답시고 요즘 쏟아져 나오고 있는 에세이들이 참 불편하고 불만이다. 워낙 그런 부류의 책들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읽지도 않은 책에 대해 이러쿵 저러쿵 하는 것이 적절한 처사일지 모르지만 꼭 이말만은 하고 싶다. 개인적인 정도의 차이는 있을 지언 정, 모든 인생의 상처는 몇 줄의 아름다운 은유나 그럴싸한 아포리즘 따위로 치유될 수 없다. 이런 부류의 책들을 잠시 휴식하는 차원에서 물 한 모금 먹는 정도 이상으로 받아 들이는 것은 위험하며 경계할 일이다.
요즘 게을러져서 책도 읽기 귀찮고 읽은 책도 영 별로다. 장마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슬럼프가 강림하신 것 같다. 그래서 기분 전환 겸 책 몇 권을 아낌없이 질러 버렸다. 도착한지 이틀이나 됐지만 아직 열어 보지도 않았다. 다른 박스들이 기다리고 있어 주저하고 있지만 마냥 저렇게 내버려 둘 수는 없다. 하지만 급할 것은 없다. 이 번에 다시 한번 느끼지 않았나? 내 분수와 능력에 맞지 않는 과욕은 자존심만 상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