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Read 히틀러' 를 읽었다. 라캉을 읽고 나서 다음 책으로 푸코, 데리다, 니체, 비트겐슈타을 읽기에는 잠깐 쉼표가 필요한 순간이라고 느꼈다. 책은 역자가 지적 하였듯이 [나의 투쟁]과 [제2권]을 텍스트로 히틀러의 사상을 이해하기 쉽지만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내 개인적으로는 원전 텍스트의 친절한 안내서라는 How to read 시리즈의 의도에 가장 충실한 책이 아닌 가 싶다. 그리고 이는 역자 (안인희)의 군더더기 없는 번역에 크게 기대고 있음에 틀림 없다. 텍스트를 이해하지 못하면 이런 번역이 나오기는 힘들 것이다. 

 

이 책의 요지는 히틀러의 악행을 그가 '악마'나 '똘아이'  였기 때문이라고 단순하게 분석할 수 없다는 것이다. 물론 그의 연설과 글은 대부분 과격하고 폭력적이고 때로는 조잡하지만 인류사에 전례가 없는 족적을 남긴 정치가 - 간혹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는 데 그는 1933년 쿠데타가 아닌 합법적인 선거를 통해 정권을 잡았다. 물론 1923년 뮌헨에서 쿠데타 실패로 감옥살이를 했지만 말이다. - 를 단순히 미치광이 취급을 하는 것은 '게으르고' 무책임한 독해라는 전제가 이 책의 출발점이다.  

 

자세한 내용은 리뷰를 통하겠지만 이 책은 히틀러와 그 당시 시대상황에 대한 길잡이 노릇을 톡톡히 해낸다.

참고로 다음의 책들도 히틀러와 제3제국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참고로 나는 아직 읽지 못했지만 꼭 한번 읽어 보고 싶은 텍스트들이다. 반값 세일을 기다리는 것은 좀 무리겠지만 좀 가격이 착해지면 지를 예정이다.   

-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by 한나 아렌트

- 나치 시대의 일상사 by 데들레프 포이케르트

- 괴벨스, 대중 선동의 심리학 by 랄프 게오르크 로이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