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깥은 여름
김애란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깥은 여름.. 이면 실내는 봄일까, 가을일까, 겨울일까?
어쩌면 가을과 겨울과 봄 그 어딘가, 여름이 아닌 그 시간일까?
모든 생명력이 최고치로 부풀어 올라 찬란한 햇살 아래 온통 초록으로 싱그럽게 빛나는 여름.
그 계절을 문밖에 둔 채로 가을과 겨울과 봄을 견디며
지나가고 있는 쓸쓸한 이들의 얘기가 소설 속에 가득하다.
소중한 이와의 준비되지 않은 이별,
한때 너무나 소중했으나 아무것도 아닌 그 무엇이 되어버린 존재를 놓아야만 하는 고통,
갑자기 닥쳐온 상실의 허무함을 온 몸과 마음으로 받아내며 견뎌야 하는 그 무용의 시간들...
모두의 아픔이 담담하게 서술 되어 있어서 더 아프고
안쓰럽다.

얼마전 김연수 작가의 글을 읽으면서 거침 없이 흘러가는 물줄기처럼 현란하게 나아가는 문장을 보며 진짜 작가구나, 라는 뜬금 없는 자각을 했었는데,
이 소설집을 읽으며 그것과는 조금 다른 김애란 특유의 소설적 문장들에 반했다.
(두근두근 내인생은 솔직히 별로였는데, 이 책에는 좋은 문장들이 너무 많아서 읽는 내내 감탄 연속.
아무래도 난 단편을 훨씬 좋아하는 성향인 건가?)
아이들의 노래를 아직 맛 경험이 적은, 죽은 동물을 덜 먹어본 맑은 혀로 부른다고 표현하고,
‘타인을 가장 쉬운 방식으로 이해하는, 한 개인의 역사와 무게, 맥락과 분투를 생략하는 너무 예쁜 합리성‘이란 문장으로 상대의 영민한 이해심을 향한 감탄과 반발의 감정을 동시에 담아내고,
‘청결에는 청결의 관성이, 얼룩에는 얼룩의 관성이 있음을 실감했다‘는 문장으로 아이의 마음에 난 상처의 얼룩을 발견한 엄마의 자각을 표현하는
예리한 감각의 필력이 놀라웠다.
‘콩의 고소함이나 깨의 풍미와는 비교가 안되는 포식자의 고소함, 남의 살을 먹고 사는 생물의 깊은 고소함이, 은빛 몸통 주위로 황금빛 공기 방울이 풍요롭게 자글거린다‘ - 갈치가 구워지는 모습을 이런 빛나는 문장으로 표현하는 작가에게 어떻게 감탄 하지 않을 수가 있을까.
이처럼 박제 해두고 빈약한 표현밖에 떠오르지 않을때 꺼내 읽고싶은 문장들이 곳곳에 보석처럼 박혀서 반짝반짝 빛나고 있다.
그래, 이런 게 소설이지.. 라는 새삼스런 깨달음.

마지막 편 거의 마지막에 등장하는 소녀의
편지를 읽다가 결국 터진 눈물로 엄마를 생각하며 울고야 말았다.
마음이든 실체든 내 곁에 있을 것임을 믿었던 사람과의 이별은 우리의 모든것을 바꾸어 놓는다.
산 사람은 살아야지, 라는 말은 그래서 더없이 잔인하고, 끝이 보이지 않는 터널을 통과하는 막막함으로 그 시간을 오롯이 버텨내는 것밖엔
아무런 방법이 없다.
그런게 삶이라는 걸 상실은 우리에게 가르쳐준다.
그걸 뼈저리게 공감하는 마음으로, 날것의 고통스런 감정은 한번 걸러내어 담담하게 들려주는 이야기들.
그 아픈 마음들이 오래 오래 기억 날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