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날씨가 좋으면 찾아가겠어요
이도우 지음 / 시공사 / 201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의 전작인 ‘사서함 110호의 우편물‘을 우연히 읽고 내가 읽고싶었던 로맨스를 만났다며 흥분해서 주변 지인들에게 한동안 그 책을 권하고 다녔었다.
오랜만에 작가의 신작(그것도 작가의 장기인 로맨스!)이 출간되었다니 안 읽을수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전작인 ‘사서함~‘ 보다는 로맨스 소설로서의 만족감이 적어 아쉬웠지만, 전작에선 주인공 남녀 두사람의 사랑을 밀도 높게 그렸다면, 이번 작품은 주인공들 뿐 아니라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서로의 상처를 보듬고 응원하는 ‘관계‘의 이야기로서 따뜻한 기분을 느낄수 있었다.
주인공 해원은 미술학원에서 가르치던 학생의 태도에 상처를 받고 고향인 북현리로 내려가 펜션을 운영하는 이모 집에서 함께 지내게 된다.
어느날 마을의 노부부가 살던 집이 ‘굿나잇 책방‘이라는 작은 동네서점이 되어있는 것을 발견한 해원은 호기심에 기웃거리다가 서점 주인인 은섭과 마주치는데,
사실 은섭은 해원이 기억하지 못하는 중고등학교 동창이었고, 몇년전 해원과의 인상적인 만남을 은섭은 아직도 기억하고 있었다.
이모 대신 펜션을 운영하려는 해원은 겨울동안 은섭을 도와 굿나잇 책방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기로 하고, 매주 한번씩 책방에서 열리는 북클럽에도 참여하게 된다.
자격제한이 없는 북클럽은 조금씩 인원이 늘어나고,
해원과 북클럽 회원들은 자신이 읽은 책을 함께 나누며 어느새 서로에게 위로가 되고 격려를 나누는
사이가 된다.
그리고 그런 시간들 속에서 옆집에 사는 해원과 은섭은 조금씩 서로에게 마음을 열고 사랑하는 사이가 된다.
전작인 ‘사서함 110호의 우편물‘도 그랬지만 이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로맨스 소설이라면 대부분 등장하기 마련인 사랑의 라이벌이 없다는 것이다.
전작도 그랬지만 해원과 은섭의 사랑에 장애물로 등장하는 것은 끔찍한 과거로 인해 마음을 닫게된
해원의 흔들리는 마음 뿐.
하지만, 개인적으로 바로 그 점이 이 작가의 놀라운 점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사실 현실적으로 보자면 연인들의 관계를 흔드는 것은 강력한 라이벌보다 일상의 작은 균열이나 소통의 부재, 각자의 피치 못할 상황들에서 기인한 갈등인 경우가 훨씬 더 많지 않을까?
나 아닌 한사람을 온전히 사랑함으로써 내게 오는 그의 세계를 완벽하게 받아들이는 일은 그 자체로 엄청난 노력과 이해가 필요하며, 성숙한 자세로 사랑을 하기위해 우리는 무엇보다 먼저 나 스스로가 단단하게 설 수 있어야하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은섭은 잔잔한 호수처럼 해원의 모든것을 다 품으려 하지만, 상처와 두려움이 많은 해원은 자꾸만 고슴도치처럼 몸을 웅크린채 가시를 세운다.
개인적으로 이 소설에서 가장 좋았던 부분은 주인공 해원과 은섭의 로맨스가 아니라, 굿나잇 책방에 모인
북클럽 회원들이 서로를 향해 마음을 열고 친구가 되는 모습이었다.
할아버지 손에 키워진 외로운 아이 승호,
겉으로는 퉁명스럽지만 누구보다 의리 있고 정 많은
그야말로 츤데레 여고생 현지,
소녀같은 미소로 누구에게나 따뜻하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전해주는 수정 이모...
나이나 성별, 가정환경, 직업등 이 사회에서 내세우는
어떤 기준도 없이 오로지 책 이야기로 만나 서로의 친구가 되고, 진심으로 서로를 응원하게 된 이들의 모습을 통해 나 역시 위로와 격려를 받은 느낌이었다.
우리가 살고있는 이 세상은 착한 사람들로만 이루어져 있지 않다는 걸 잘 알기에, 이렇게 온통 선한 인물들로만 가득한 동화같은 마을과 사람들이 더 사랑스럽게 느껴졌는지도 모르지만..
어딘가 이렇게 착하고 예쁜 마음으로 소박하게 살아가는 사람들만 모인 북현리같은 작은 마을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기대로 그들을 응원하는 것도 괜찮겠다 싶은 마음.
은섭과 해원도, 북클럽 회원들도 명여 이모도 모두
어딘가에서 행복하게 살고 있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