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토피아 서해클래식 4
토머스 모어 지음, 나종일 옮김 / 서해문집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 다시 읽기로 오랜만에 다시 읽은 책.
영토확장으로 국가의 세력을 확대하기 위해 전쟁이 필수였던 오래전이라는 것을 감안하고 읽지 않으면
많은 부분에 동의하기 어렵고 심지어 반발감도 생긴다.
오래 전이라 해도 ‘대체 어떻게 이런 나라를 유토피아라고 부를 수가 있는거지?‘라는 생각을 수시로 하게된다.
하지만, 전쟁이 당연시 되고 계급사회의 당위성에 누구도 문제를 제기할 생각조차 할 수도 없던 시대에 이상향(유토피아)을 꿈꾸고 정치와 경제, 사회규범과 국가체제 등 다방면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이상적인 모델을 연구하고 제시한 저자 토머스 모어의 통찰력은 놀랍다.
특히 왕족과 종교인들, 귀족들이 평생 일체의 노동은 하지 않으면서도 사치스런 부를 누리고 평민들을 지배하는 것을 당연시 해온 시대에 노동의 가치와 인간의 자유의지를 유토피아의 가장 중요한 조건이라고 한 그의 주장은 가히 획기적이라 할 수 있으니 그 의미가 더욱 특별하다.
저자가 제시한 유토피아는 하루에 여섯시간동안 집중적으로 노동하고 나머지 시간엔 여가시간을 즐기며 휴식을 갖거나 개인적인 흥미와 욕구를 가진 작업에 자유롭게 투자하는 삶을 보장한다.
공평하게 부여된 노동을 통해 국가 유지에 필요한 것들을 얻고 그외의 노동은 개인의 사익을 자유롭게 추구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것.
그가 제시한 공평한 노동에는 하릴 없이 놀며 사치스럽게 돈과 시간을 낭비하며 사는 많은 쓸모없는 인력들, 즉 부자와 귀족들도 포함되어있다.
물론, 종교인들과 왕족, 귀족들은 배려 받아야 할 존재라고 인정하는 것과 노예들은 국민에 속하지 않는
피지배 계층으로 인식해 그들의 착취를 당연시 한 점,
여자나 아동들을 가족에게 종속된 소유물처럼 인식해
그들의 자유의지나 권리보장에 대해서는 아무런 문제의식도 개선 의지도 없었다는 점은 많이 아쉽다.
특히 노동을 가장 중요가치로 여긴 저자가 짐승보다 못한 취급을 당하며 노동력을 착취 당하는 노예들에 대해 아무 의식도 없었다는 점은 이해 되지 않는다.
전쟁으로 주변국을 다스리고 영토를 확장 시키는 것,
자유로운 이동을 통제한 것 등 지금의 기준으로서는
이해가 안되는 제재들도 많지만, 평생 놀고 먹으며 지배계층으로 사는 부자들을 쓸모없는 인간들이라고 거침없이 비난하고, 사익 추구를 존중하지 않는다면
어떤 사람이 열심히 하겠냐며 개인의 자유의지를 보장 해주어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분명 시대를 앞서간 지적 통찰이었다.
그의 주장을 듣다보면 시대의 흐름 속에서 법의 합리성을 앞세운 자본주의에 밀려 사라진 공산주의의
공허한 목표를 그는 이미 그시대에 알고있었다는 놀라움을 갖게되기도 한다.
시대가 바뀌는 역사의 흐름 속에 모든 것들은 변할 수밖에 없고 그런 변화를 인지하고 적응 해나가지 않으면 국가나 개인은 도태될 수밖에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수백년 전의 지금과 너무 다른 환경에서도
지금과 똑같이 가치있게 생각했던 노동의 고귀함과 사적 자유의지의 중요성을 우리는 결코 간과해선 안될 것이다.
아무리 오랜 시간이 지난다 해도 결코 바뀔 수 없는
인간 존재의 가치만큼 중요한 것들은 분명 있을테니까.
그리고, 시대를 막론하고 절대 변하지 않을 공동의 선과 가치를 함께 발견하고 지켜가려는 노력만이 이세상을, 그리고 함께 살아가는 우리 모두를 더 행복하게 할 수 있는 유토피아 건설의 토대가 될것이다.
시대가 변하면서 적용하기 힘들어진 고전의 명서를 그래도 외면하지 않고 읽어야 하는 이유는 바로 그 지점에 있을 것이다.
오래 전 읽었을 때와 전혀 다른 느낌을 준 책,
십년쯤 뒤에 다시 읽으면 그땐 또 어떤 깨달음을 줄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