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량한 차별주의자 (리커버)
김지혜 지음 / 창비 / 2019년 7월
평점 :
품절


프롤로그의 첫 이야기를 읽는 순간부터 뜨끔하는 자각과 함께 부끄러움을 느꼈다.
결정장애라는 말.
스스로 어떤 것에서든 절대 차별주의자가 아니라고 자부하는 나 역시 식사 메뉴를 고를때나 쇼핑 할때, 일의 순서를 정하고 작업을 할때 걸핏하면 입에 올리던 단어였다.
그렇게 프롤로그만으로도 이미 부끄러운 자기성찰을 하게 만든 이 책은, 역시나 나 역시 ‘선량한 차별주의자‘중 한사람이었음을 깨닫게 해주었고,
아픈 반성과 함께 차별을 없애고 진정한 평등을 이루어 가는 것의 가치와 목표, 구체적인 실현 내용과 방안으로까지 나의 생각을 확장시켜주었다.
얼핏 떠올려도 여자, 지방대 졸업생, 프리랜서 등등 불리한 차별요소를 여럿 지닌 나이기에 차별에 꽤나 민감하게 반응하며 살았고, 절대 차별로 누군가를 아프게 하진 않겠다는 의지를 제법 잘 지키며 잘 살아왔다고 생각 했었다.
그런데 외국인, 이주 노동자와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 혼혈인, 동성애자 트렌스젠더 등의 성소수자들..
늘 차별받고 오해 받고 심지어 모욕을 당하며 사는 것에 익숙해진 사람들에 비해 내가 누려온 것이 아주 많았으며, 그런 차별의 부당함을 그다지 심각하게 인식하지 못한 채 살아왔음을 깨달았다.
노동자 문제나 다문화 가정, 장애인 인권등에 대한 문제는 인식하고 있었다 해도 실질적으로 어떤 연대와 협력으로 그들과 함께 평등을 이룩해나가야할까 라는 고민도 노력도 해보질 않았던 게 사실이다.
어쩌면 마음 속 응원만으로 충분하다고 믿으며 짐짓 이정도면 좋은 사람이라 자부하며 산 건 아닐까?
지금 당장 중요한 미팅 자리에 가기위해 탄 지하철이 장애인들의 인권시위로 한없이 지체 된다면, 나는
왜 하필 이런 방식이냐고 그들에게 짜증 내는 대신 기꺼이 불편함을 견디면서 그들의 구호와 입장에 공감하고 마음을 모아줄 수 있을까?
제주도의 예맨 난민들 수용 문제가 시끄러울때 그들을 내쫓아야한다는 입장은 아니었지만 나역시 책에서 저자가 지적 한대로 여자를 무시하는 이슬람 남성들의 문화 때문에 우려가 되었음은 부인하지 못하겠다.
그렇게 나도 모르게 무의식 중에 나의 이익과 결부된 차별에서 혹은 무조건 똑같은 평등의 구호 뒤에 숨겨진 차별 등에 대해 조금 더 깊이 생각하고 고민하지 않으면 나 역시 차별주의자가 될 수 있음을 이 책에선 알려주고 있다.
다르다와 틀리다는 같은 뜻으로 쓰일 수 없는 것처럼 인간 개개인이 모두 다르다는 점이 차별의 정당성이 되어선 안된다.
안타깝게도 차별금지법은 10년동안 계류된 채 여전히 미완 상태이며,
여당 대표라는 분이 장애인을 비하하는 말을 습관처럼 하면서도 자신이 무슨 잘못을 한 건지도 느끼지 못할 정도로 사회 곳곳에서 부당한 인식으로 인한 차별이 여전히 벌어지고 있는 오늘의 대한민국.
그저 마음으로만 응원 하면서 나의 일은 아니니까 하는 생각으로 무심히 지나쳤던 모든 차별의 부당함을 이제는 절대 그냥 넘기지 않으리라 다짐한다.
싸울수 없다면 적어도 저자의 글처럼 정색하며 잘못 되었다는 표시라도 함으로써 각성을 촉구하는 작은 노력이라도 반드시 하리라.
진정한 평등은 한쪽이 얻음으로 반대쪽이 잃게되는 제로섬 게임이 아니라 모두가 더 나은 세상에서 더 큰 자유와 행복을 누리는 윈 윈의 승리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