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디의 우산 - 황정은 연작소설
황정은 지음 / 창비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토리 중심의 독서방법에 변화가 필요하다.
이런 책을 읽을 때마다 그런 생각이 든다.
2014년 4월 16일 온국민이 목도한 그 참혹한 비극의 순간은 우리 모두의 마음 속에 영원히 지워지지 않을,
지워서도 안되는 상처를 남겼다.
그래서 누군가는 모른척 외면하고,
또다른 이들은 씻을 수 없는 부채감으로 그래도 뭔가 하려고 광화문으로 국회로 나가고,
작가라는 직업을 가진 이들은 자신들의 천형인 글쓰기 라는 도구로 쓸 수밖에 없는 뭔가를 쓴다.
스토리는 그닥 새롭지도, 이해하기 어렵지도 않지만 사건 위주의 에피소드보다 주인공의 사유를 통해 천천히 흘러가는 이야기는 읽는 내내 어딘지 답답하고 우울하게 느껴져서 쉽진않다.
이 소설은 연인이자 동거인이던 dd를 사고로 잃은 뒤 무력감에 젖어 살다 우연히 발견한 오디오를 들으며 조금씩 일상으로 돌아오는 d, 대학교 시절 점거농성을 하다 받았던 성적 모멸과 무력감으로 각자 트라우마를 갖게되어 누구에게도 커밍아웃 하지 못한채로 함께 사는 동성 커플이 세월호 시위에 참여하기 위해 매주 광화문으로 나가는 두편의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다.
이 두 이야기를 통해 작가가 하고픈 이야기는 결국 갑자기 닥친 불행을 피할 능력이 없는 것이 인간의 숙명일지라도 포기하지 말고 같은 약자들과 연대를 통해 조금씩 앞으로 나가야한다는 것이 아닐까?
버스 사고로 갑자기 세상에서 사라져버린 dd를 기다리는 것밖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d의 이야기에서,
매주 추위를 뚫고 광화문으로 나갈 수밖에 없는 성소수자 커플의 이야기에선 바다 속으로 가라앉던 배를 지켜보는 것밖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그날의 처참함이 고스란히 느껴지지만 그래도 그들은 음악으로 스스로를 치유하며, 다른 이의 상처를 위로하고 함께 싸우기 위해 손 잡고 걸어가는 동안
조금씩 나아질 내일을 기대하며 희망을 꿈꿀 수 있게
될 것이란 믿음을 갖게된다.

독자가 돈을 지불하고 책을 구입해야 살 수 있는 작가로서, 다시 돌이키기 싫은 아픈 이야기를 쓴다는 건 쉽지않은 일일텐데 그래도 그 이야기를 쓰지 않으면 자신만의 글쓰기가 되지않을 것 같아 쓸 수밖에 없었다는 작가의 변이 그래서 더 안쓰럽고 공감이 되었다.
삶의 희망과 밝은 미래를 이야기 하는 작가도 필요하지만, 아프다 해도 외면하고 모른척 해선 안되는 이야기를 하는 작가도 필요하지 않을까?
굳이 자신이 아니어도 되는 이야기를 꺼내주는 작가들이 있어 고맙다.
그러니 읽는동안 그날이 떠올라 아프더라도,
그날 이후 아무것도 하지못한 우리를 자책하며 멍하니 살았던 시간이 생생히 기억나 괴롭더라도 이런 책 한권 읽는 시간 정도는 할애하자.
그리고 없던 일처럼 사는것을 선택하기보다 다신 그런 어처구니 없는 비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나라를
만드는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는 어른으로 살기를 결심하자.
그런 반성의 깨달음을 얻은 것만으로도 값진 독서였다.
독서에 대한 취향과 고집이 일면 나와 비슷한 작가를 만난 반가움과 책정리의 팁을 얻은것은 예상치 못했던 보너스.
한동안은 빨간 표지의 이 책이 내 책장에 계속 남아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