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몬드 (반양장) - 제10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창비청소년문학 78
손원평 지음 / 창비 / 2017년 3월
평점 :
절판


뇌의 문제로 태어날때부터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주인공의 고교시절 이야기를 통해 진정한 소통과 관계에 대해 생각하게 만드는 성장소설.
감정을 느끼는 작용을 주관하는, 마치 아몬드처럼 생긴 뇌의 편도체가 없이 태어난 주인공 윤재는 자신에게 없는 편도체와 비슷하게 생긴 아몬드를
먹으며 다른 사람들처럼 희노애락의 감정을 느끼고 공감하고 싶어하지만 불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이 소설을 읽다보면 감정을 느끼지 못하고 공감도 할 수 없다는 윤재가 오히려 다른 인물들보다 훨씬 더 인간적이고 예민하다는 것을 알게된다.
어린 시절 잃어버렸던 아들을 찾았지만 불량소년이 된 아들에게 실망해 친아들 대신 모범생인 윤재를 잃어버렸던 아들이라고 속여 죽어가는 아내와 만나게 하는 의사 아버지,
크리스마스 이브날 저녁 단지 행복한 표정으로 웃고있다는 이유 때문에 윤재의 눈앞에서 할머니와 엄마를 칼로 찔러버린 불행한 남자,
아직 청소년인 후배에게 자신을 도우러 온 친구 윤재를 찌르라며 칼을 건네는 청년,
편견에 사로잡혀 학생들을 수시로 차별하고 아무렇지 않게 폭력을 휘두르는 교사들과 학생들..
윤재에게 감정도 없는 인간이라며 손가락질 하고
아무렇지 않게 상처를 입히면서도 정작 자신들의 잘못을 반성하긴 커녕 의식하지도 못하는 그들이 윤재보다 훨씬 더 잔인하고 무섭다.
그들과 달리 자신의 결격사유를 너무나 잘 알고 매순간 공감하길 원하고 노력하는 윤재는 불행하게 자랐다는 이유로 친부에게 외면당한 친구를 돕기위해 자신의 목숨까지 기꺼이 위태롭게 만들고,
자신을 편견 없는 대하는 여학생과 순수한 첫사랑을
나누기도 한다.
서툴지만 따뜻한 사람으로 조금씩 성장해가는 윤재의 이야기를 통해 작가가 하고싶었던 이야기는 결국 우리의 인간다움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지와 노력으로 만들어가야 한다는 것이 아닐까?
아직 어떤 나무로 자랄지 모르는 새싹과 같은 청소년들에게 선입견이나 편견의 시선을 거두고, 있는 그대로 그들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 하겠다는 다짐을
다시 하게 해준 좋은 책.
특히 소설 뒤에 평탄하게 살아온 자신의 삶이 소설가로서 결격사유 같아 자격지심을 가졌었지만 이제 그런 생각은 떨쳐버렸다며 평온하게 성장 하게 해주신 부모님께 감사드린다는 작가의 말은 그와 똑같은 감정으로 작가적 열등감을 갖고있던 내게 큰 위로가 되었다.
좋은 성장소설에 나까지 성장 한 기분.
좋은 책과 함께 한 즐거운 독서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