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지면 시든다네
박 남준
늦게 깍은 곶감
조금 위태위태하기는 했으나
그나마 며칠 날이 춥고 햇볕이 나서 겨우겨우 말라간다
남들은 깍은 곶감이 다 내려앉아버리기도 하고
태반이 푸른 곰팡이가 나고 색이 검게 변해버려서
다 내다 버렸다고 한다
때깔 곱고 곰팡이 피지 말라고
곶감 건조장 문 닫아걸고 황산 피우는 사람들 많지만
내가 아는 사람들 내다 버리면 버렸지 그런 짓 당최 안 한다
감식초로 만들지 그랬느냐고 조언을 했는데
식초도 만들어본 사람이 해야하는데 경험도 없고
항아리를 또 사야 하지 않느냐고
이래저래 그 친구들의 경제가 빠듯해졌을 것이다
나야 뭐, 인테리어 개념의 곶감깍기라서
쪼물락 쪼물락
단단하던 감들이 만지면 만져줄수록
쪼글쪼글 시들어간다
축축 늘어진다
사람의 모난 마음도 쓰다듬고 어루만져주면
둥글게 두리동동 동그래질것 이다
감을 깍다가 익거나 으깨져서 물러진 부분들
서걱 베어낸 곶감이 있다
그 베어진 상처 쪼물락 쭈물럭 조심스럽게 만져주었더니
그러니까 상처가 씻기고 치유되어서
동글동글~
햐-
만져줄수록 때깔도 곱다
아닌게 아니라
주홍빛 알전구를 켜놓은 것 같네
아침에 일어나서 몇 개 만졌더니 금세 손가락이 시려서
오후 햇살에 다시 시작 쪼몰락 쭈물럭~
한 보름쯤 후면 곶감도 맛 볼 수 있겠다
곶감 딱 한 개만
맛보러 오셨다는데 내가 뭐 어쩌겠는가
있는 것 알고 달라는데
걸려 있는 것 빤히 보고 입맛 다시는데 우짜든동
시인의 밥상에 담겨진 시중 하나
감 사진은 있는데 곶감 사진은 없는것이 아쉽다
버들치 시인은 여러번 들었지만 그 시까지 관심이 생기는 것은 아니었는데 이렇게 산문 속에 들어 있으니 글과 시가 그리고 사진이 하나가 되어 더 깊이 들어오는듯 하다
아직 시를 이해하기에는 많이 멀구나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