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의 개좋음
서민 지음 / 골든타임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이번 추석 연휴 때 4일 동안 다른 사람의 강아지를 맡아줬다. 이 강아지는 교육을 잘 받았는지 산책할 때만 배변을 보기에 우리 가족은 아침 6시 반이면 일어나 산책을 나가야 했다. 크림색의 탐스러운 털은 비에 젖은 잔디밭을 걸어다니며 시커멓게 변하고 가끔 자기 몸에 냄새를 묻히면서 한 번도 개를 키워본 적이 없는 나를 당황스럽게 했다. 산책 한 번에 변을 4번이나 보고 중성화를 했는데도 수시로 마킹을 하며 더럽고 냄새나는 곳은 어김없이 가는 그 이쁜 강아지를 30~40분 데리고 다니다 집에 오니 하루 일을 다 한 것처럼 피로했다. 더러워진 발과 털을 닦아 주는 것도 일이었고 젖은 털 말리는 것과 눈 앞에 흘러내린 머리털 묶어 주는 것도 꽤나 인내심을 요구했다.

이런 산책을 하루에 2번은 꼭 해줘야 했고 어떤 날은 3번도 했다. 낯선 곳에 와서 스트레스 받을까봐 해줬지만 배변을 산책할 때만 보기 때문에 안 나갈 수가 없었다.

깔끔했던 거실은 어수선해지고 편하게 쉴 수 있는 분위기가 아니었다. 화초를 물어 뜯기에 모두 방으로 치우고 슬리퍼만 보면 물어서 신고 다닐 수가 없었다. 내가 부엌에만 들어가면 간절한 눈빛으로 내 뒤에 앉아 기다리는 것도 부담스러웠다. 집안이 강아지 위주로 서서히 바뀌면서 스멀스멀 내부에서 짜증이 밀려오기 시작했다.

 

사실 나는 개를 키워 본 적도 없거니와 별로 좋아하지도 않는다. 남편이 너무나 키우고 싶어하지만 나는 강력히 반대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 몰래 사왔다가 한 번 난리가 나서 보낸 강아지가 바로 이 강아지라는 사실!

그래서 이번에 왔을 때 4일만 참으면 된다고 내가 못 키워 보낸 강아지이니 잘 대해 주자고 마음 먹었지만, 내가 이번에 느낀 것은 '아, 정말이지 이건 사랑으로 해야하는 일이구나. 어떤 의무감이나 책임감으로 하는 일이 아니구나' 였다.

외식을 하러 가는 것도 힘들고 무엇을 하든 강아지를 생각안 할 수가 없는 상황과 부딪히자 남편도 뭔가를 느낀 것 같았다. (꼭 이렇게 경험해야만 아는지...) 

'앞으로 강아지 키우자는 말은 안 하겠지...'싶어 내심 잘됐다 싶었다.

 

저자는 말한다. 개는 함께 할 충분한 시간이 있고 언제 어떻게 아플지 모를 개 치료 비용을 감당할 경제적 여유가 있으며 모든 자질구레한 수발(!)을 들 마음가짐이 있는 사람들만 키우라고.

'개의 삶을 감당한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자신이 기르는 6마리 개 소개와 더불어 여러가지 실제 사례를 들어가며 개와 관련된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를 설득력있고 유머러스하게 보여준다.

 

이 책은 반려견 입양을 고민하는 분들이나 또 이미 키우고 있는 분들, 또한 나같이 전혀 키울 의사가 없는데 그 마음을 더 굳히고 싶은 분들이 읽으면 좋을 듯 하다.

사실은 강아지를 너무나 원하는 남편이 읽었으면 해서 도서관에서 빌려온 건데 읽을 필요가 없어졌다. 4일 간 강아지와의 동거로 충분히 느꼈음을 확인했고 결국엔 하루 일찍 주인에게 데려다 줬다. 자기 동네로 차가 들어서자 강아지가 미친 듯이 흥분했다는 말을 듣고 이유도 모른 채 주인과 떨어져있던 강아지가 얼마나 스트레스 받았을까 생각이 들었다.

 

매년 8만 마리의 개들이 버려진다고 하는데, 짧은 4일 간의 시간이었지만 남편과 아이가 잠깐 밖에 나갈 때마다 현관 문 앞에 엎드려 기다리던 강아지가 눈 앞에 아른거린다. (내가 나갈 때는 전혀 기다리지 않았다 한다.)

이런 개를 버린다는 건 한 생명을 죽이는 것이나 마찬가지 아니겠는가.

개를 키우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고 귀찮은 일이며 큰 책임감이 따른다는 사실.

많은 사람이 알아야 할 점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19-09-18 10: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느 기사를 보니 독일에서는 멍멍이를
반려동물로 데려 오기 위해서는 법으로
엄격한 자격 심사를 한다고 하던데 우리
나라에도 도입이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

coolcat329 2019-09-18 11:58   좋아요 0 | URL
네 맞습니다. 이 책에도 독일을 예로 들면서 개를 키우려면 자격증을 따야하고 강아지세도 낸다고 하네요. 세금은 유기동물 보호에 쓰인다니 좋은 제도인거 같아요. 아무나 쉽게 반려견 키우지 못하게 하는 제도 필요합니다.

지금 2019-09-19 08: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얼마전에 유기견 입양해서 키우고 있는데 구구절절 동감입니다..
산책하고 들어오면 널브러지기도 하고
비 쫄딱 맞으며 산책하며 다른 견주들과 동변상련의 마음을 느끼기고 하고요 ㅎ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가족이 되어준 ‘로니‘에게 고맙더라구요..
저도 사실은 강아지 기를 마음이 1도 없던 사람입니다^^;;;

coolcat329 2019-09-19 09:08   좋아요 0 | URL
로니가 좋은 반려인을 만났네요^^ 유기견 입양해서 키우시는 분들 존경합니다. 로니가 건강하게 자라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