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과 바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8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김욱동 옮김 / 민음사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읽고 있는 김연수 작가의 <소설가의 일>에 이런 말이 나온다.

 

"주인공은 어떤 일이 있어도 그 이야기에서 가장 사랑할 만한 사람이어야 한다. 어떤 사람이 '사랑할 만한 사람'인가는 다들 생각이 다르겠지만, 나는 '매력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매력이란 그가 자신의 한계를 온몸으로 껴안는 행동을 할 때, 그걸 지켜보는 사람(작가나 독자)의 내부에서 저절로 일어나는 공감의 감정에서 비롯한다고 생각한다."

 

이 문장을 읽으면서 지난 달에 읽은 헤밍웨이의 마지막 소설, 그에게 퓰리처 상(1953)과 노벨문학상(1954)을 안겨준 작품 <노인과 바다>의 산티아고 노인이 생각 났다. '자신의 한계를 온몸으로 껴안는' 다는 표현은 바로 산티아고 노인이며 이런 그를 사랑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쿠바 멕시코 만류에서 고기를 잡으며 생계를 이어가는 노인 산티아고. 고기를 못 잡은지 84일 째, 같이 고기를 잡던 소년 마놀린도 부모의 만류로 떠나고 홀로 남은 그는 85일 째 되던 날 행운을 비는 마놀린의 배웅을 받으며 넓은 바다로 나간다. 운이 통했는지 첫 날 거대한 청새치가 낚시줄에 걸리고 노인은 망망대해 한 복판에서 물고기와 사투를 벌인 끝에 잡는데 성공한다. 그러나 돌아오는 길에 상어떼에게 습격을 당하고 청새치는 뼈만 남게 되어 돌아온다.

 

드넓은 바다 위 조그만 배안에 홀로 있는 노인을 보며 나 또한 아니 우리 모두는 이 세상이라는 바다 위에서 외로운 존재라는 생각이 들었다.

노인은 혼자 배를 타면서부터 혼잣말을 하게 된다. "이번에는 미끼를 물 테지. 하느님, 그놈이 제발 먹게 해 주십시오!" 라며 고기가 잡히길 강렬히 열망한다. "그 애가 옆에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나를 도와줄 수도 있고, 이걸 구경할 수도 있을 텐데." 라며 청새치와의 고독한 싸움에 소년이 함께 해주길 바란다. '늙어서는 어느 누구도 혼자 있어서는 안 돼' 라고 생각하며 늙은 자신에게 연민도 느낀다. '차라리 어부가 되지 말걸 그랬나 보다' 하며 후회하는 모습도 보이지만 어부가 되는게 자신의 운명임을 알고 힘을 내기 위해 다랑어를 먹는다. 육체의 고통 앞에서 '넌 언제까지라도 영원히 저놈과 싸울 수가 있어. 자, 지금 다랑어를 먹어 두자' 며 끊임없이 자신에게 용기를 북돋는 말을 한다. 순간순간을 끊임없이 긍정하며 자신의 할 일을 하려는 노인의 모습이 나에게는 강인하고 아름다운 한 인간을 보는 것 같았다.

 

한 때는 잘나가던 어부였으나 현재는 운이 다한 늙은 어부인 산티아고. 그는 왜 먼 바다까지 나와 이런 고생을 하는 것일까...

 

p.67

난 녀석에게 인간이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또 얼마나 참고 견뎌 낼 수 있는지 보여 줘야겠어.

"나는 그 아이한테 내가 별난 늙은이라고 말했지. 지금이야말로 그 말을 입증해 보일 때야" 그가 말했다.

 

노인은 자신의 어부로서의 정체성을 증명해 보이고 싶어한다. 그는 지금까지 그런 입증을 수천 번 해 보였지만 그런 영광은 시간이 지나면 아무 의미가 없음을 안다. 살아있는 지금 이 순간이 중요할 뿐 과거는 중요하지 않은 것이다. 소년에게 자신이 '별난 늙은이' 임을 보여줌으로써 소년의 믿음이 틀리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싶은 것이다.

 

"인간은 파멸당할 수는 있을지 몰라도 패배할 수는 없어."

너무나 유명한 이 말은 바로 이런 노인의 정신을 보여준다. 인간은 언젠가는 죽기에 파괴당할 수는 있겠지만, 살아있는 순간 인간으로서 할 수 있는 것을 하는 그 정신만큼은 결코 패배하지 않으리라는 것을 노인은 알고 있고 그것을 온몸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인간 정신의 숭고함과 함께 아름다운 것은 함께 나누고 의지하는 인간의 모습이다.

까마득한 바다에서 물고기와 사투를 벌이는 순간마다 소년을 그리워한 노인과 그런 노인을 누구보다 존경하고 믿는 소년. 바다에서 외롭게 혼잣말을 하다가 집으로 돌아왔을 때 대화를 나눌 누군가가 있다는 사실에 노인은 새삼 감사함을 느낀다.

육지로 돌아왔을 때 노인과 소년이 나눈 대화는 마음을 울린다.

 

p.125

"사람들이 나를 찾았니?"

"물론이죠. 해안 경비대랑 비행기까지 동원됐어요."

"바다는 엄청나게 넓고 배는 작으니 찾아내기가 여간 어렵지 않았을 테지." 노인이 말했다. 그는 자기 자신과 바다가 아닌, 이렇게 말 상대가 될 누군가가 있다는 게 얼마나 반가운지 새삼 느꼈다. "네가 보고 싶었단다. 그런데 넌 뭘 잡았니?" 노인이 물었다.

"첫날에는 한 마리 잡았고요, 이튿날에도  한 마리, 그리고 셋째 날엔 두 마리나 잡았어요."

"아주 잘했구나."

"이젠 할아버지하고 같이 나가서 잡기로 해요."

"그건 안 돼. 내겐 운이 없어. 운이 다했거든."

"그런 소리 하지 마세요. 운은 제가 갖고 가면 되잖아요." 소년이 대꾸했다.

 

단순히 큰 물고기를 잡는 것이 목적이 아닌 자신을 극복해 내는 그 과정이 노인에게는 중요하다. 비록 노인은 아무 것도 얻지 못한 채 빈 손으로 돌아왔지만 떠나기 전의 노인과 돌아온 후의 노인은 분명 다른 사람일 것이다. 노인은 분명 평생을 이런 신념으로 살아왔을 것이다. 곁에는 그런 노인을 믿고 존경하는 소년이 있다.

 

앙상한 뼈를 드러낸채 배에 묶여 있는 청새치는 노인이 바다에서 무엇을 했고, 어떤 시련을 견뎌냈는지 보여주는 빛나는 상징이다.

자신의 운명에 당당히 맞서 그 '한계를 온몸으로 껴안는' 산티아고를 보며 그의 말처럼 '하루하루가 새로운 날'임을 마음에 새겨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자냥 2019-07-05 10:2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산티아고 노인 정말 좋아해요. 바다에서 싸우고 터덜터덜 돌아와서 뼈만 남은 청새치와 함께 돌아온 노인이 모습... 그리고 ˝인간은 파멸당할 수는 있을지 몰라도 패배할 수는 없어.˝라는 말... <노인과 바다>는 어릴 때 읽었을 땐 이게 뭐야 싶었는데, 나이 들어 다시 읽으니 헤밍웨이 최고작으로 꼽힐 만 한 작품이에요. 정말.

coolcat329 2019-07-05 12:20   좋아요 0 | URL
네, 20대들은 ‘이게 뭐야?!‘ 할 수도 있을거 같아요. 나이가 들어서 좋은점도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