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겐슈타인의 조카]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비트겐슈타인의 조카
토마스 베른하르트 지음, 배수아 옮김 / 필로소픽 / 201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우정이라는 것은 시대와 공간이 주는 의미에 따라 다르겠지만, 문학 작품에서 그려지는 우정의 모습은 대체로 정신적 교감을 우선시한다. 오스트리아 작가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소설 <비트겐슈타인의 조카>도 두 남자의 우정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그들의 정신적 교감의 구체적인 형상을 세밀하게 그려내고 있다.

 

소설의 서술자이자 작가의 페르소나임이 분명한 베른하르트의 이 기나긴 독백은 파울 비트겐슈타인과의 우정이 시작된 시점부터 파울의 죽음으로 우정이 끝나는 순간까지를 아우른다. 물론 소설의 시작은 우정의 시발점이 아닌 병원에서다. 베른하르트와 비트겐슈타인은 정신병과 폐병이라는 어울리지 않는 전혀 다른 병으로 다른 병동에 입원해 있지만 베른하르트는 그들의 병이 똑같이 자제력을 잃어서 생겨난 근본적으로 같은 성질의 병임을 강조한다. 이런 파울과의 동질성은 실로 억측에 가까운 것이지만, 아픈 육체를 이끌고 그에게 다가가려는 힘겨운 발걸음은 둘 사이의 지극한 우정을 보여주기에 모자람이 없다.

 

친구가 함께 놀고, 공부하고, 이야기하는 사람으로 단순하게 정의되는 세상에서 베른하르트와 파울의 우정은 보다 형이상학적인 방식으로 우정의 본질을 상기시키는 듯 하다. 같은 공연을 보고 같은 감동을 느꼈다는 것에서 시작된 이들의 우정은 예술과 철학, 정치를 아우르며 끊임없이 교감하는 과정에서 굳건해진다. 파울의 정신병을 예외적으로 보고 있지 않음으로써 베른하르트는 그의 광기를 순순히 받아들인다. 그러나 이 기나긴 우정에 대한 장광설은 뜻밖의 냉소로 치닫는다. 파울과의 기나긴 우정에 대해 회상하고 변명하고 분석했던 베른하르트의 태도는 소설의 막바지에 이르러 반전되는 느낌이다. 파울과의 동질성을 끊임없이 강조했던 것과는 달리, 파울의 죽음에 이르러서 베른하르트는 온전한 관찰자에 지나지 않는다. 사람들에게 들었다는 단 몇줄의 요약으로 파울의 죽음은 담담하게 그려진다.

 

베른하르트의 철저한 외면의 이면에 있는 감정의 정체는 설명하기 쉽지 않아보인다. 슬픔이라고 하기에는 지나치게 시니컬하고 두려움이라고 하기에는 감정의 열의가 부족하다. 그러나 이는 결국 파울과의 우정이 지속되는 동안 나눠 가졌던 광기가 파울의 죽음과 함께 일시에 꺼지면서, 베른하르트를 무미건조한 상태로 되돌려 놓은 것처럼 보인다. 이는 파울의 존재가 베른하르트의 삶을 얼마나 크게 지배해 왔는가를 결국에는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