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나는 바깥으로 들어갔다, 1인용 식탁>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1인용 식탁
윤고은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윤고은의 처녀작 <무중력증후군>은 좋은 작품과 작가를 많이 배출해 기본적으로 신뢰하고 있는 한겨레 문학상의 질적 수준을 떨어뜨리지 않을 만큼의 적당한 재미와 문학성을 보여주었다. 아직 신인이며 잘 알려진 작가는 아니지만 젊은 작가 치고는 힘 있고 탄탄한 내공을 갖추고 있다고 느꼈던 윤고은의 신작 소설집 <1인용 식탁>에도 전작의 잔영은 많이 묻어난다. 전작과 유사하게  9편의 단편을 묶은 이 소설집의 테마는 환상을 좇는 현대인의 공허함쯤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 같다.

이 소설집에 실린 대부분의 작품들은 철저하게 현실 세상을 기반으로 펼쳐지는 이야기들이다. 그것도 몹시 구차하리만큼 사실적인 현실이다. 왠지 모르게 소외되어 혼자 점심을 먹을 처지에 놓인 직장인, 신춘문예를 통해 화려하게 등단 했음에도 실업자로 불리는 일이 잦은 소설가, 빈대에 대한 강박관념에 신음하는 현대인 등이 소설의 주인공들이다. 작가는 이처럼 필부필부라 할 만한 면면을 놓고 하나의 주제 속으로 집요하게 파고들기 시작한다. 이들이 파고들어가는 세계는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공간이기도 하고(1인용 식탁), 강박에서 벗어나려는 탈출구이기도 하며(달콤한 휴가, 인베이더 그래픽), 현실도피를 위한 이상향이 되기도 한다(아이슬란드).

이 소설집 속에는 지극히 평범한 일상에 달이 번식하는 황당한 사건이 벌어지는 것과 같이, 황당한 일들이 그럴 수 있다는 듯이 능청스럽게 벌어진다. 혼자 먹는 법을 알려주는 학원이니, 빈대 퇴치를 위한 모임이니, 꿈을 파는 철학관이니 하는 것이 현실의 세계에서 존재할 법한 것들은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에 소속된 인물들은 진심으로 진지하게 그 공간에서 추구하는 목적을 향해 투신한다. 작가는 철저한 현실적 인물을 등장시켜 그들에게 환상을 보게 하는 것이다. 철저한 현실 속에 마련된 환상의 공간을 통해 환상에 맹목적으로 투신하는 현대인의 공허함을 그려낸다.

표제작인 <1인용 식탁>은 직장인의 점심식사라는 사소하다면 사소할 수 있는 소재를 들고 왔지만, 군중 속의 소외를 효과적으로 형상화하고 있어 많은 공감을 준다. <달콤한 휴가>는 빈대의 번식이라는 기발한 상상력을 통해 현대인의 강박관념을 세밀하게 묘사해내고 있다. <인베이더 그래픽>이나 <아이슬란드>는 현실 세계의 핍진한 묘사로 인해 현대인의 고단함을 묘사함과 동시에 여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꾸준한 이상향 지향을 보여준다. 현대인의 불안의식을 가시화시켜 이를 상업화하는 세태를 꼬집는 <박현몽 꿈 철학관>은 <무중력증후군>과 상당히 유사한 서사구조를 보여준다. 그밖에 기계 문명에 잠식당해 인간성을 상실해 버린 세태를 우화적으로 그린 <로드킬>이나, 부패한 타임캡슐의 복원 과정을 통해 내면의 심리를 들춰내는 <타임캡슐 1994>도 독특한 발상이 두드러지는 작품이다. <홍도야 울지마라>는 이 소설집에서 이례적으로 성장소설의 구조를 하고 있는데, 유기농 식품과 솜사탕의 대비를 통해 현실의 세계와 유년의 추억 사이를 오가는 한 소녀의 성장담을 잔잔하게 들려준다.

<무중력증후군>에서 보여주었던 해학성은 많이 완화되었지만, 문체 곳곳에 스며있는 유머와 상황의 아이러니는 여전히 유쾌하게 다가온다. 능청스러운 화법으로 현실 세태를 꼬집는 방식도 여전하다. 9개의 작품 모두 뛰어난 작품성을 보이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한결 같이 젊은 작가의 무한한 가능성과 패기가 느껴지는 작품들로 일정 수준의 재미를 보장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