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8 제너시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2058 제너시스 내인생의책 푸른봄 문학 (돌멩이 문고) 7
버나드 베켓 지음, 김현우 옮김 / 내인생의책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세기에 관한 이야기가 이토록 오래동안 인간의 관심사가 될 수 있는 것은 아직까지도 밝혀지지 않은 인류의 기원에 대한 사람들의 호기심을 반영하는 것이라 하겠다. 뉴질랜드의 작가 버나드 베켓의 <2058 제너시스>는 인류의 현재 역사를 창세기 이전으로 되돌린다는 점에서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파피용>을 떠올리게 하는 소설이다. 과학적 상상력을 통해 인류에 대한 물음에 접근해간다는 점에서 작가 자신의 과학적 전문인으로서의 이력의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이런 류의 소설이 던져주는 기발한 상상의 이면에는 과학 테크놀로지가 잠식해가는 오늘날과 앞으로의 사회에서 인간 존재에 대한 꾸준한 물음이 불가피하다는 사실이 전제되어 있다. 과학적 상상력과 창세기 신화의 조합은 결국 인류의 미래와 과거가 교차하는 오늘날의 인류에게 그 본질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한다.

오랫동안 공상과학 소설에서는 로봇을 통해 역설적으로 인간의 이야기를 해오곤 했다. 아무리 과학 기술이 발달해도 본질적으로 기계에게는 주어지지 않는 그 어떤 인간만의 특성이 있다면 그것은 마땅히 지켜져야 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물음은 여전히 유효하다. <2058 제너시스>에서는 인간인 아담과 안드로이드인 아트의 끝없는 논쟁을 통해 이 물음에 대한 답을 탐색해 나간다. 고대 플라톤의 시대로부터 인간만이 가진 특질이자 세계를 이해하는 틀이 되어왔던 '관념'이 인간의 본질이라는 아담의 주장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것은 오래된 신념이고 누구나 본능적으로 깨닫고 있는 인간만의 특질이라 할 만하다. 그러나 인간이 '관념'과 똑같은 것이 부여된 기계가 존재한다면 그것을 인간만의 특질로 볼 수 있을까? 이 소설은 오랫동안 철학자들의 주된 관심사였던 인간 존재에 대한 여러 답변들을 안드로이드인 아트를 통해 꾸준히 반박한다. 결국 로봇에 의해 인간의 사유와 감성은 부정되고 인간은 광물의 진화 과정에서 발생한 변종에 불과하다는 차가운 결론에 이른다.

<2058 제너시스>는 완전한 허구이며 그 무엇보다 상상의 여지가 개입하기 쉬운 SF임에도 불구하고 대단히 논리적이다. 작가가 구상한 창조적 세계는 현재의 역사를 그대로 잇는다. 즉 이 소설 속 미래 사회는 막연한 상상의 공간이 아니라 지금으로부터 약 50년 후인 2058년을 기점으로 새롭게 창조된 세계다. 현재의 역사를 넘어 허구적인 미래의 세계로 접어드는 과정에서 현 국제 정세와 이해관계에 따른 인과성을 고려했으며, 새로운 국가가 세워지고 국가주의 정책이 펼쳐지는 과정에서도 치밀함을 잃지 않는다. 로봇과 인간의 논쟁도 과학적 지식과 철학적 사유가 어우러지며 한 치의 빈틈도 없이 전개된다.

이 소설은 전체적으로 창세기에 대한 재해석을 바탕으로 고대 아테네 폴리스를 모방한 미래적 국가를 등장시킨다. 인간은 관념에 종속된 존재라는 세계관이나 귀족적인 계급 의식, 문답법을 통해 지식을 이끌어내는 방식 등이 그렇다. 철저한 국가주의 사회의 모습 또한 고대 그리스 폴리스 사회의 재현으로 보인다. 비정한 미래의 사회의 모델을 고대 사회에서 찾아낸 것은 아이러니하다.

앉은 자리에서 짧은 시간에 뚝딱 읽을 수 있는 가벼운 분량과 뛰어난 가독성을 지닌 책이지만 그 속에는 과학, 철학, 종교, 역사를 아우르는 방대한 지식을 담고 있다. 그러나 표면적으로는 지성에 호소하는 차가운 소설이지만 그 속에서 뜨거운 것을 찾으려는 시도를 간과해선 안 된다. 작가는 치밀한 논리를 펼치면서도 인간을 인간답게 해주는 본질에 대한 탐색을 계속해 나간다. 풍부한 서사를 담고 있지는 않지만 예상을 뒤엎는 발상의 전복과 방심을 허락하지 않는 놀라운 결말은 소설의 매력을 더해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