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풍당당개청춘>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위풍당당 개청춘 - 대한민국 이십대 사회생활 초년병의 말단노동 잔혹사
유재인 지음 / 이순(웅진)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한국 전통의 해학을 흔히 '웃음으로 눈물 닦기'라고 한다. 현실의 고단함을 웃음으로 해소하고자 하는 우리만의 방식이다. <위풍당당 개청춘>은 참으로 각박한 청춘의 사는 모습을 무척이나 유쾌한 언어로 풀어낸 에세이다.

모든 세대가 그 시대 안에서 나름의 고민을 떠 안고 살아왔지만, 오늘날을 살아가는 이십대만큼 각박한 청춘을 보낸 세대는 드물 것이다. 요컨대, 그간의 세대들이 겪는 청춘의 고뇌가 '무언가를 하는' 것에서 오는 고뇌였다면, 지금의 이십대들은 '아무 것도 하지 못하는' 것에서 오는 고뇌로 시름하고 있기 때문이다. 언론고시를 준비하며 대학 졸업 후 3년을 백수로 지낸 저자의 고뇌 속에서 오늘날의 청년 실업자의 현 주소가 보인다. 일터가 아닌 도서관으로 향하는 매일매일, 아픈 것조차 사치가 되는 미취업자의 비정한 현실을 젊은이답게 통통 튀는 말로 써내려가고 있다.

책은 실상 저자의 백수시절보다 사회 입문기의 해프닝들이 대부분을 이룬다. 사회의 부름을 받은 날의 환희와 직장 생활의 권태로움, 직장 생활을 해나가는 동안 깨우친 요령들을 자신의 체험에 근거해 기록하고 있다. 저자는 이런 것들을 기록함에 있어 많은 인용을 도입하는데, 특히 쇼팬하우어의 <인생론>에서 언급된 '고뇌'와 '권태'를 '미취업'과 '취업' 상태에 빗대 풀어낸 것은 꽤 공감이 갔다.

그러나 자신의 '직장체험기'를 풀어낸 부분에 이르러서는 직업적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한 터라 개인적인 이야기에 그치고 말았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사실 뒤로 갈 수록 책의 정체성이 모호해진다. 사회 보편의 이야기로 시작해 블로그에 남긴 개인적 일상으로 흘러간다. 단지 그 배경이 직장일 뿐.

전체적으로 20대의 보편적인 삶의 방식을 유쾌하게 풀어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전 사회 풍토를 조망하고 대안을 제시하기보다 한 개인의 직장 체험기에 그친 감이 있어 아쉽다. 일례로 '노력해도 바꿀 수 없는 것들이 있다'라는 현실적이고 냉정한 주장이 책의 초반에 등장하는데, 여기에 대한 대안을 찾지 못한다면 상당히 위험한 주장이 될 수 있다. 그것이 많은 청년 실업자들에게 푸념의 근거로, 혹은 변명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 세대의 특징을 반영한 가벼운 책들이 많이 쏟아지고 있지만, 많은 이들이 갖는 책의 효용성에 대한 믿음은 여전하다. 책은 친구들과 하는 잡담이나 개인 블로그에서 내뱉는 푸념과는 분명 달라야 한다. 가벼운 글쓰기에도 최소한의 책임감은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