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의 물고기>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4월의 물고기
권지예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소설을 읽을 때, 활자보다는 영상에 더 어울리는 내용이라는 생각이 드는 작품을 만날 때가 있다. 기욤 뮈소의 작품들이 그러했고, 다수의 일본소설과 장르소설들이 그러했다. 이러한 작품들은 재미는 있을지 모르나 활자 읽는 특유의 맛을 느낄 수 없다. 활자로 표현되는 내용은 보다 이지적이고 세밀하고 개연성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남녀의 사랑과 같은 이제는 한물 간 통속적인 이야기라도 마찬가지다. 아름다운 남녀의 운명적 사랑 이야기를 다루면서 보다 세밀하고 이지적으로 풀어낸 소설은 얼마든지 있다. 사랑을 주제로 한 소설로 니콜 크라우스의 <사랑의 역사>나 카를로스 루이스 사폰의 <바람의 그림자>가 내게는 그런 작품들이다.

권지예의 신작 <4월의 물고기>는 두 남녀의 운명적인 사랑을 그린 이야기이다. 그런데 그 사랑은 지나치게 감상적이다. 남녀 주인공은 예외 없이 아름답고 고독하며 마음 깊이 아픔을 안고 사는 인물이며, 우연한 만남을 통해 운명과도 같은 떨림을 느낀다. 서인과 선우가 만나고 사랑에 빠지게 되는 작품 초반은 이처럼 특별할 것도 없이 흘러간다. 이러한 사랑 이야기는 갤러리, 카페, 펜션, 시나몬 파우더와 같이 90년대 초반에나 먹히던 도시적 감수성과 버무려져, 입맛에 맞지도 않는 에스프레소를 뽐내며 마셔야 할 때처럼 썩 유쾌하지 못한 기분에 젖게한다. 잔뜩 멋부린 흔적이 드러나지만 활자보다는 감각적인 영상미로 표현해 내는 편이 훨씬 좋았을 그런 기교로 가득 차 있다.

운명적인 이끌림이라는 케케묵은 주제를 들고와 통속적이지 않게 풀어내기란 사실 어려운 일이다. 권지예는 이를 위해 소설에 스릴러를 가미하는 색다른 시도를 보여준다. 남녀의 사랑과 이별에 대한 단조로운 이야기가 될 것 같았던 소설은 중반을 넘어가면서 묘한 긴장감에 휩싸인다. 주위에서 벌어지는 예기치 못한 사건들이 사랑의 방해물로 등장하고, 이해하지 못할 선우의 행동들이 숱한 수수께끼를 남기는 것이다. 이 수수께끼에 대한 실마리를 찾아가는 과정은 분명 흥미진진하고 몰입이 쉽다. 그러나 정통 스릴러 수준의 서스펜스를 기대했다가는 결말에 이르러 실망하기 십상이다.

<4월의 물고기>는 연애물로 보기에는 지나치게 통속적이고 스릴러로 보기에는 너무 뻔하다. 이 소설에 대해 가능한 최대의 찬사는 '흡인력 있다'는 점일 것이다. 그런데 그 흡인력의 정체가 조금 다르다. 독자들의 뻔한 추측을 보란듯이 뒤엎는 작가의 멋진 한방을 기대하는 마음에서 오는 그런 흡인력이다. 너무 일찍 드러나 버리는 실마리가 혹시나 트릭이 아닐까 기대하는 마음이 책장 넘기는 속도를 더해준다. 그러나 아쉽게도 결말은 이러한 기대를 좌절시킨다. 소설의 중반에서부터 이미 누구나 예측 가능한 실마리를 던져주더니 그 실마리는 전복되는 법 없이 마무리된다. 작품 후반에 이르러서는 그간 깔아두었던 복선을 주워담기에 급급하여, 띄엄 띄엄 떨어진 사건들이 억지로 의미를 부여받고 허겁지겁 마무리된다. 서인과 선우의 시각이 교차되며 일관성 있게 진행되던 초점화 방식도 막바지에 이르러서는 흐트러져 버린다. 무언가 다른 효과를 노렸다기보다 작가 스스로 선택한 초점화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소설을 읽는 재미는 여러 차원에서 나온다. '영화로 만들면 더 좋을텐데'라는 생각이 들게하는 작품은 다시 말해 '소설적'재미를 완벽하게 구현하지 못한 작품이라는 말이다. 이야기라는 측면에서는 소설과 영화가 다르지 않지만, 그것을 표현해내는 방식에 있어서는 분명 차이가 있어야 한다. <4월의 물고기>는 스릴러에서 맛볼 수 있는 재미치고는 끝까지 미적지근하고 연애소설로 보기에는 작품이 기대고 있는 정서가 지나치게 감상적이다. 서술방식 또한 화끈거릴 정도로 감상적인 수사로 가득차 있다. 독창적인 수사는 기대하지 않지만 '숨은 소설제목 찾기'도 아니고 형용사 대신 갖다 쓴 소설제목들이 얼마나 많은지 청소년기 습작 소설의 문체같은 느낌마저 든다. 그러나 특유의 몽환적인 분위기를 획득하는 데는 성공했고 세련된 영상미를 갖추고 있음은 분명하다. 연애를 풀어나가는 구태의연한 발상이나 다소 김빠지는 서스펜스지만 영상화되어 보다 감각적으로 표현된다면 꽤 볼만한 작품이 나올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