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전에 가족여행으로 다녀왔던 한산도. 2021년 오늘은 한산초등학교에 북버스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 다시 왔다.
바람이 불었고 날씨는 흐렸지만 별일없이 도착했다.

배를 타기 위해 새벽부터 하루의 일정이 시작되었다.
초등과 중등 모두전교생이 40여명. 도시에서만 산 나는
출산율이 떨어지고 폐교가 늘어난다는 사실을 오늘 실감한다.
거기다, 작은 배를 타고 어린아이들이 등교를 한다는 사실에
또 한번 놀랐다.

책을 읽고 독후활동을 하며 인연이 된 아이들
이 아이들은 중학교를 졸업하면 섬을 떠나 고등학교에 진학한다.
이렇게 글을 쓰고 있는 지금의 감정을 뭐라고 해야 하나?
코로나라 악수하기도 겁나는 아이들에게 어떠한 말로
작별 인사를 해야 하나? 그래도 의미가 담긴 악수로 마무리 한다.
‘한 명의 아이를 키우기 위해선 온 마을이 필요하다.‘

파도가 밀려온다. 바람이 심하게 분다.
배가 출항할 수 있을지...

제승당에서 대첩을 앞두고 읇었다는 이순신 장군의
시를, 그 혼란스러웠던 마음을 느껴본다.

한산섬 달밝은 밤에 수루에 앉아
큰칼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는 차에
어디서 일성 호가는 남의 애를 끓나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난한 사람들 열린책들 세계문학 117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지음, 석영중 옮김 / 열린책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난한 사람들


유럽이 되고자 했던 황제 표도르 황제는 도시의 입지 조건이 될 수 없는 사람이 별로 살지 않는 네바강 하류의 늪지대에 그의 꿈인 도시 페테르부르크를 건설했다. 20년마다 주기적인 홍수가 일어나는 이 곳에 사람들의 노동을 쥐어 짜내었고 도시와 운하(실패)를 건설 했다.
환상적인 도시 페테르부르크에서 도스토예프스키는 가난과 간질로 고생하며 죽을 각오로 [가난한 사람들을]을 완성했다. 죽을 운명은 피했는지 그는 이 작품으로 당대의 유명 작가들의 찬사를 받았다.
그의 문학의 여정이 시작되었다. [가난한 사람들]의 제부쉬킨과 바르바라는 [분신], [학대받는 사람들]을 거쳐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에 이르는 비극적 인물의 원형으로 자리 잡는다. [가난한 사람들]은 고골의 [외투]의 연장선에 있으며 고골과 달리 작품 속에서 다른 결말을 제시하고 있다. 그가 외투의 결말을 적는다면 아카키 아카키예비치를 유령으로는 만들지 않았을 것이다. 그는 공동의 선을 이끌고 싶었기 때문이다.

가난해서 너무 가난한 연인들의 모든 것들, 내면생활, 사랑과 고통, 몰락에 관한 이야기. 중년의 가난한 하급관리 마칼 제부쉬킨과 가난의 궁핍함을 피하기 위해 마음에도 없는 부유하고 욕심 많은 사내와 결혼하게 되는 병약한 바르바라는 가난속에서도 편지를 주고 받으며 서로를 위로하며 살아간다.
가난속에서 함께한 그들의 사랑은 서로에게 위로가 되지만 절망이 되기도 한다. 너무도 가난해서 그들의 사랑은 불행으로 끝난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은 읽고 또 읽어도 부족하다. 한번의 서평으로는 부족하다. 세번이상은 읽어야. 예전에 근무할 당시 술로 찌든 모습으로 도서관을 방문하던 노인을 기억해 본다. 그가 나타나면 그와 50M는 떨어져야 된다. 씻지 않아도 그렇게 씻지 않아서 나는 찌든 냄새에 직원들은 경악했다. ‘거지’, ‘냄새’ 말고는 생각할 수 없었다. 나와 똑같은 인격을 가진 사람으로 보지 못했다. 나보다 낮은 사람으로 무시했기 때문이었다. 섣불리 다가가기도 힘든 상황이었다. 어느날 그가 술에 취해 도서관 앞 시멘트 바닥에 넘어졌다.
이빨이 뿌리째 뽑혔다. 119를 부르고 연락처를 물어 봤지만 그는 극구 사양하고 갈 길을 가버렸다. 그가 지나간 자리에는 빨갛게 물든 상처만 남았었다. 그랬다. 그도 나처럼 약하고 상처 입는 사람이라는 것을...
도스토예프스키는 [가난한 사람들]에서는 ‘가난’의 모순된 점을 이야기해 주고 있다. 사랑받고 존중해야 할 사람이 ‘가난’이라는 이유로 인격을 무시 당하고 절망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그는 이 책에서 가난의 비참한 모습을 보여 주며 우리가 ‘가난’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공동의 책임이라는 숙제를 주지 않았나 싶다. 가난한 사람들의 삶과 사랑을 복돋울 방법은 무엇일까?
도스토예프스키는 [문제의 러시아적 해결-가난한 사람들을 위하여]라는 글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만일 모든 사람들이 여러분처럼 자기의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준대 해도 만인에게 분배된 이 세상 부유한 사람들의 모든 부는 대해(大海)의 물 한 방울에 지나지 않으리라. 그렇기 때문에 차라리 광명과 교화와 사랑을 증대시키는 데 마음을 써야 한다. 그때 부는 정말로 불어나 참다운 부가 될 것이다. 부는 금식을 아로새긴 의상 따위가 아니라 공동의 화합의 기쁨과 한 사람 한 사람이 불행을 당했을 때 자기 자신은 말할 것도 없고 그 아이들까지도 온 세상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흔들리지 않는 희망이 있기때문이다. (도스토예프스키, 이종진 옮김 [작가의 일기], 벽호, 1995,377-37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친구가 보내준 케익 교환권을 가지고 제과점에 갔다. 코르나
시대지만 케익을 사가는 사람들은 많았으며 원하는 케익은
품절이었다. 크리스마스 이브, 와인과 케익을 들고 집으로
왔다. 파티는 내일로 미루기로...

<가난한 사람들> 을 한장 한장 넘기며 가난의 극치를, 모습을
그려보며 문득 떠오르는 생각.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는
가난한 사람들에게도 크리스마스가 있을까? 코로나 시대라
예전의 구세군도 없고 찾아가는 이도 없을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건지 감자껍질파이 북클럽
메리 앤 섀퍼.애니 배로스 지음, 신선해 옮김 / 이덴슬리벨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지감자껍질파이 북클럽을 읽고

또 한 권의 책. 그 책이 나에게 올 때 작가의 마음과 정성이 함께 찾아온다. 작가의 수고는 알지만 이 책은 나의 취향이 아니다. 
작가는 이 작품에 많은 열정을 쏟아부어 많은 것을 담고 싶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오히려 산만한 느낌을 준다.

전쟁의 상처가 곳곳에 남아있는 영국 런던. 작가로서의 발돋움을 하고 있는 줄리엣에게 건지섬에서 양돈 일을 하고 있는 도시라는 남자가 편지를 보낸다. “당신의 책 찰스 램을 읽었고 지금 건지섬
에 남아있는 서점이 없어 작가의 다른 책을 구해줄 수 있냐고?
도시와 편지를 주고받으며 줄리엣는 독일군 치하에서 먹을 것 하나 제대로 먹지 못하던 때, 얼굴과 이름만 알고 지내던 사람들이 몰래 숨겨둔 돼지고기를 나눠먹기 위해 모였다가 시작된
 ‘건지감자껍질파이 북클럽’의 이야기에 매료된다. 그들의 이야기를 글로 쓰기 위에 줄리엣은 건지 섬으로 가고 줄리엣은 엘리자베스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전쟁이라는 잔인한 시대에 종이로 된 성을 쌓고 책으로 무장했던 사람들을 연결하고 서로의 버팀목이 되게 했던 엘리자베스. 
그녀는 의사 표시가 분명하고 정의감이 넘치는 여인이다. 전쟁 위기 속 영국에서 건지 섬 어린이들을 배로 피난시킬 때 엘리에게 용기를 주고 행진하는 독일군에 고함을 치고 독일군과 사랑을 하고 킷을 출산한다. 어린 딸 킷을 오랜된 남자 친구 도시에게 맡기고 탈출한 포로 소년을 도와주다가 체포되고 결국 수용소에서 총살당한다.

인간역사에서 인간의 탐욕과 이기심은 참혹한 전쟁을 불러일으켜 왔다. 역사상 전쟁이 없었던 시대는 없었다. 그럼에도 지금껏 종족을 번식시키고 생명을 이어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타인의 목숨이 위협을 당할 때 발휘하는 불가사의한 인간의 이타심 때문이 아닐까.
문학회의 회원은 이렇게 묻는다.
“엘리자베스에게 용기가 없는 편이 나았을까요?” “그래요, 하지만 우리 모두에겐 더 나쁜 일이었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맙다. 소리를 내어줘서. 소리내기까지 얼마나 아팠을까?
얼마나 참았을까? 잊지않고 기억해준 너의 과거들
너의 언어가 세상으로 나와 반갑다. 너의 용기를 응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