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럽민중사 - 중세의 붕괴부터 현대까지, 보통사람들이 만든 600년의 거대한 변화
윌리엄 A. 펠츠 지음, 장석준 옮김 / 서해문집 / 2018년 3월
평점 :
품절
우리가 어려서부터 지금까지 알고 있는 역사 속 인물들은 대개 왕, 장군, 귀족 등과 같은 상류층 신분들이 대부분이다. 모든 역사 속에서 소수의 특별한 인물들만 중요시 되어 왔고 다수의 국민들의 삶은 기억되지 못한게 사실이다. 과연 역사는 소수의 몇 사람들에 의해서 이루어져 왔을까? 역사 속에서 차지하고있던 다수의 민중들은 그냥 소수가 하라는 대로 이끌리어 왔을까? 그들의 삶은 알 가치가 없는 것일까?
<유럽 민중사>는 제목부터 그 질문에 No라고 외친다. 소수가 만들어낸 역사가 아닌 다수의 민중의 입장에서 역사를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유럽민중사>는 역사의 각 부분을 민중의 입장에서 재해석한다.
많은 기독교인들이 존경하는 루터의 종교 개혁도 여러 기계의 발명으로 진행된 산업혁명이 민중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보통 사람들의 입장에서 설명해준다. 가령 루터의 종교 개혁이 부패한 교회에 개혁을 불러 일으켰지만 그들은 결국 상류층의 후원자들의 테두리안에서 갇혀 있었고 기존의 질서를 넘고자하는 모든 시도는 철저히 진압되었음을 강조한다.
우리가 알지 못했던 종교개혁의 한계와 그림자 속에 감추어져 있던 마녀사냥과 타종교에 대한 핍박 등은 우리가 이제껏 알지 못했던 역사였다.
산업혁명으로 인해 많은 노동자들이 한순간에 일자리를 빼앗기고 인간이 기계의 부속품이 되고 기계를섬기게 되는 슬픈 현상 속에서는 우리 현재의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인해 인간의 일자리를 위협하는 현실과 결코 무관하지 않음을 깨닫게 한다. 인간이 만든 기계는 과연 인간을 위한 것인가.
인간이 만든 인공지능이 과연 인간을 위한 것인가라는 질문 앞에 과연 우리는 뭐라고 대답할 수 있을 것인가?
저자는 여러 민중 봉기 중 굶주림이 가장 큰 분노와 봉기의 원동력이 되어 왔다고 말한다. 특히 18세기 프랑스에서 굶주리는 자식들을 위해 거리에 나선 여성들의 이야기는 광우병 사태 때 유모차를 들고 나와 광화문에 촛불을 피웠던 한국의 엄마들이 오버랩된다.
<유럽 민중사>는 보통 사람들에 주목한 만큼 여성들의 역사에도 관심을 기울인다. 물론 여성에 대한 자료는 많이 나와 있지 않지만 여러 혁명에 여성들이 거리에 나와 투쟁을 이끌고 폭력적인 여성도 많았으며 아델하이트 포프 (Adelheid Popp)와 같은 사회주의자 여성의 이야기도 들려주고 종교개혁 속의 수많은 여성, 특히 홀로 된 과부들이 희생양이 된 슬픈 역사도 들려준다.
중세의 붕괴부터 현대까지 민중의 입장에서 쓴 이 책을 읽다 보면 한국의 4.19 혁명, 6월 항쟁, 광주의5.18혁명, 그리고 최근의 촛불혁명 등을 떠올릴 수 있었다. 모든 혁명들이 소수에게서 시작된 운동이 아닌 아래에서부터 시작된 혁명이었고 그러한 혁명들이 한국 역사의 분기점을 만들어내며 민주주의로 가는 방향을 바꾸어 놓았다. 지도자가 만들어낸 역사가 아니고 많은 민중들이 만들어낸 역사였다.
저자 또한 중세에서부터 인내에 도가 튼 민중들이 지도자에 고분고분하더라도 많은 곳에서 빵을 위해서, 또는 정치적, 사회적 평등을 찾기 위해 일어서 왔음을 강조한다. 그 당시에는 패배한 것 같고 철저히진압되었지만 결국 이 흐름 하나하나가 역사의 진보를 이루었고 현재의 역사를 만들어왔음을 보여주며 결코 헛되지 않았음을 보여 준다.
촛불혁명 역시 국민들의 참여와 관심이 없었다면 결코 성공하지 못했듯 저자 또한 민중의 관심과 의지가 없이는 결국 소수에 의해 끌려갈 것이라고 말한다. 결국 현재와 미래를 열어가는 열쇠는 바로 우리 모두에게 있음을 강조한다. 역사는 지도자들이 만들어가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이러한 수십 년간의 투쟁에서 싸우고 죽고 고통받은 이는 대부분 보통사람이었지만, 승리의 과실은 네덜란드를 다스리는 거대 상업 자본가들 몫이었다."
"버터에 새 세금 물리지 마라. 내 아이들 (먹을) 몫이다."
"이제 도구가 사람을 섬기는 게 아니라 사람이 기계를 섬기게 됐다.
달리 말하면 인간이 기계의 부속품이 됐다.
산업자본주의에서는 기계가 제품을 만들려고 인간을 사용했다. "
"혁명을 만들어낸 이들은 의심할 바 없이 노동 빈민이었다. "
" 많은 경우 보통사람들은 패배했다. 적어도 단기적으로 보면 그랬다. 반동과 잔인한 탄압의 시기도 있었지만, 일단 민중이 투쟁하면 거대한 진보를 이룰 가능성이 열린다. 반면 그들이 무관심과 절망에 빠져들면 아무것도 변화하지 않는다. "
"더 나은 세상이라는 이상과 이를 위해 투쟁하려는 의지가 없다면 민중은 패배한다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