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사랑이며 싸움이다 - 존엄하게 살기 위한 인문학 강독회
유창선 지음 / 사우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삶은 사랑이며 싸움이다>의 저자 유창선씨는 시사 평론가이다. 노무현정부때까지 언론에서 많은 활동을 하다 언론의 암흑기인 이명박,박근혜 시대를 거치며 많은 프로그램에서 하차하게 되며 강제 휴식을 취해야만 했다. 
그 힘든 시기에 저자는 인문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여러 독서를 통해 저자의 고민들에 대한 성찰과 답을 찾는 과정을 담았다. 

<삶은 사랑이며 싸움이다>에서 저자는 우울한 상황 속에서 만났던 책들을 소개하며 그 책들로부터 얻은 성찰에 대해 말하고 있다. 
프리드리히 니체의 [이 사람을 보라] 부터 헤르만 헤세, 프란츠 카프카, 롤랑 바르트.. 미셀 푸코까지 총 12권의 작품을 소개한다. 

저자가 소개하는 책 중에서 가장 나의 마음에 깊은 공감을 주었던 책은 롤랑 바르트의 [애도일기]이다. 
어머니를 잃은 깊은 슬픔과 괴로움의 기나긴 시간을 통과하는 과정을 담은 일기이다. 이 애도일기에서 충분한  애도의 기간을 거친 사람만이 슬픔을 치유할 수 있다고 한다. 그 애도의 과정을 거쳐 자유로워질 수 있지만 사회는 결코 충분한 시간을 허락하지 않는다고 지적하며 대표적인 사례로 지난 2014년 많은 국민들을 충격에 빠뜨렸던 [세월호]를 지목한다. 


세월호 사건 후 사랑하는 자녀와 가족들을 잃은 유족들은 충분한 애도기간을 보냈을까? 물론 유족들에게 죽은 이에 대한 애도는 평생 이어지겠지만 세월호의 유족들은 애도의 기간보다 지난 박근혜 정권의 무관심과 배척으로 인해 애도보다는 분노와 투쟁의 삶을 살아야만 했다. 
재난의 원인규명을 밝히기 위해 몸부림쳐야 했으며 정치권에 호소해야만 했고 바깥 사회로부터는 "이제 그만 울궈먹어라" "이젠 지겹다", "산 사람은 살아야지"라는 차가운 시선으로 그들은 마음껏 슬퍼하지 못했고 그러하기에 아직도 그들의 슬픔과 애도는 3년이 넘는 지금까지 계속되어 가고 있다. 슬픔 앞에 있는 당사자에게 우리가 해 줄 수 있는 건 함께 애도해 주고 그들이 맘껏 애도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는 트로이 전쟁에서 자신의 아들을 잃은 프리아모스가 아들을 죽인 아킬레우스를 찾아가 눈물로 호소하며 아들의 시신을 돌려주도록 호소한다. 이에 동정과 연민을 느낀 아킬레우스는 프리아모스에게 시신을 곱게 닦고 기름을 발라 아버지에게 돌려 준다. 
아킬레우스를 움직였던 것은 어떠한 협박이나 전략이 아닌 자신의 아버지와 죽은 자신의 전우에 대한 연민을 프리아모스가 자극했기 때문이었다. 
자칫하면 죽음에 이를 수도 있는 전쟁의 한복판에서 칼과 무기가 아닌 인간에 대한 사랑과 연민으로 아킬레우스의 마음이 움직였던 것이다. 

촛불혁명 이후 많은 사람들이 정치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정치가 우리의 삶과 얼마나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게 되었고 무관심해 질 때 어떠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지 알게 되었다. 
하지만 저자는 이러한 이념과 정치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그 이전에 먼저 근본적인 휴머니즘, 인간에 대한 사랑을 회복해야 한다고 말한다. 
공동체 안에 사랑이 전제할 때 변화는 시작된다. 우리 사회는 촛불혁명 이후 우리의 의식은 진전하였지만 보수와 진보 사이의 갈등은 더욱 깊어져 갔다. 태극기 부대와 촛불 집회가 맞붙고 국회에서는 고성이 오간다. 
이념만을 내세우고 정치만을 강조할 때 외형은 바꿀 수 있겠지만 갈등은 사라지지 않는다. 이러한 갈등과 대립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서로에 대한 존중과 사랑이다. 


이 외에도 저자는 여러 책들을 통해 자신의 고민에 대한 답을 찾아간다. 강제 하차 속에서 억눌리고 좌절감을 느꼈을 저자가 선택한 답은 인문학과 독서를 통해 답을 찾아가는 것이었다. 




세상의 풍파 속에서 자신을 잃지 않으려 애썼던 소크라테스처럼 살고자 하는 몸부림이고 주변의 기대와 욕망에 짓밟혀 버린 <수레바퀴 아래서>의 주인공 한스처럼 휘둘리지 않고 자기를 지키기 위한 저자의 고뇌가 담겨 있다. 결국 우리는 살아가는 한 자기 자신과 끊임없이 대화하며 싸워나가야 한다. 자기 자신과 싸우지 않으면 우리는 어느 순간 이 사회의 조류에 휩쓸리게 될 것이다. 저자가 말하고자 한 것은 결국 삶은 자기 자신과의 사랑이며 싸움이라는 것. 그것을 말하는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