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고 공부를 시작하면서 많은 사람들을 만난다.
함께 하는 사람들 중 나와 다른 길을 가는 사람들을 대하기 쉽다.
하지만 나와 같이 소설을 좋아하고 책을 좋아하며 비슷한 길을 가는 사람들을 볼 때는 마음이 다소 힘들다.
책을 좋아한다는 공통점이 있어 반갑지만 금새 나만의 경쟁 심리로 비교하게 되기 때문이다.
저 사람은 저렇게 책도 쓰고 잘 나가는데...
저 사람은 북클럽 모집해도 모객도 잘 되고 흥하는데..
왜 나는 그럴까..
왜 나는 이리 부족할까..
그 마음에 지쳐 포기하고 싶은 마음이 치밀어 오른다.
정지우 작가의 책 《사람을 남기는 사람》이라는 책에서 정지우 작가의 첫 제목이 나를 뜨끔하게 했다.

정지우 작가는 타인을 경쟁자로 보는 것들이 오히려 자신의 삶을 복잡하게 한다고 말한다.
자신에게 집중해야 하는데 타인과 비교하느라 오히려 자기만의 것을 쌓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그 말을 들으며 내가 포기하고 싶을 때가 남과 비교할 때 였음을 알 수 있었다.
나는 분명 작년보다 더 성장했는데..
나는 분명 헛발질을 하지 않았는데..
남의 떡만 보느라 정작 내 것은 보지 못하고 있었다.
남의 떡만 커 보이니 내 것은 한심해 보이고 내 것은 너무 작아보였다.
그리고 더 부끄러웠던 건 내가 경쟁자로 생각했던 사람들은 정작 나를 경쟁자가 아닌 동지로 생각하며 응원해준다는 것이었다.
나 혼자 경쟁자로 인식하고 비교하니 나 혼자 그 벗에게 일종의 벽을 세우고 있었다.
내가 자리에서 내려오지 않기 위해선 함께 가며 응원하는 것이라는 걸 정지우 작가는 말해주고 있었다.
결국 나의 경쟁자는 어제의 '나'여야만 한다.
내가 나의 경쟁자가 될 때 나는 어제보다 더 나아지고 내일 더 나아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경쟁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나 혼자 하는 경쟁'이 아닌 김민섭 작가가 말한 '다정한 경쟁'을 할 것이다.
김민섭 작가는 《우리는 조금 더 다정해도 됩니다》에서 '다정한 경쟁'에 대해 말한다.

자신의 능력이 나 혼자 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
자신의 현실에 누군가의 도움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라는 것을 아는 사람.
그걸 아는 사람은 겸손할 수 밖에 없고 패자에게도 잘난 체하지 않는다.
그런 다정한 태도를 가진 사람은 '다정한 경쟁'을 하게 된다.
나 역시 내가 뒤쳐지나에 관심있었고 내가 앞서나가는 것 같을 때만 만족해했다.
하지만 그런 사고방식은 나 홀로 포기하게 만든다는 것을 안다.
2025년도 함께 하는 사람들에게 다정한 경쟁자가 되고 싶다.
다른 무엇도 아닌 끝까지 응원꾼으로서 함께 하는 사람들의 페이스 메이커로 뛰고 싶다.
내가 누군가의 페이스 메이커가 되면 또 다른 누군가도 나에게 페이스 메이커가 되어 줄테니.
나 자신에게는 냉정한 경쟁자가 되고
타인에게는 다정한 경쟁자가 되어 길고 오래가는 사람이 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