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고 공부를 시작하면서 많은 사람들을 만난다.

함께 하는 사람들 중 나와 다른 길을 가는 사람들을 대하기 쉽다.

하지만 나와 같이 소설을 좋아하고 책을 좋아하며 비슷한 길을 가는 사람들을 볼 때는 마음이 다소 힘들다.

책을 좋아한다는 공통점이 있어 반갑지만 금새 나만의 경쟁 심리로 비교하게 되기 때문이다.

저 사람은 저렇게 책도 쓰고 잘 나가는데...

저 사람은 북클럽 모집해도 모객도 잘 되고 흥하는데..

왜 나는 그럴까..

왜 나는 이리 부족할까..

그 마음에 지쳐 포기하고 싶은 마음이 치밀어 오른다.


정지우 작가의 책 《사람을 남기는 사람》이라는 책에서 정지우 작가의 첫 제목이 나를 뜨끔하게 했다.















나에게는 경쟁자가 없다.


정지우 작가는 타인을 경쟁자로 보는 것들이 오히려 자신의 삶을 복잡하게 한다고 말한다.

자신에게 집중해야 하는데 타인과 비교하느라 오히려 자기만의 것을 쌓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그 말을 들으며 내가 포기하고 싶을 때가 남과 비교할 때 였음을 알 수 있었다.

나는 분명 작년보다 더 성장했는데..

나는 분명 헛발질을 하지 않았는데..

남의 떡만 보느라 정작 내 것은 보지 못하고 있었다.

남의 떡만 커 보이니 내 것은 한심해 보이고 내 것은 너무 작아보였다.

그리고 더 부끄러웠던 건 내가 경쟁자로 생각했던 사람들은 정작 나를 경쟁자가 아닌 동지로 생각하며 응원해준다는 것이었다.

나 혼자 경쟁자로 인식하고 비교하니 나 혼자 그 벗에게 일종의 벽을 세우고 있었다.

내가 자리에서 내려오지 않기 위해선 함께 가며 응원하는 것이라는 걸 정지우 작가는 말해주고 있었다.

결국 나의 경쟁자는 어제의 '나'여야만 한다.

내가 나의 경쟁자가 될 때 나는 어제보다 더 나아지고 내일 더 나아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경쟁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나 혼자 하는 경쟁'이 아닌 김민섭 작가가 말한 '다정한 경쟁'을 할 것이다.

김민섭 작가는 《우리는 조금 더 다정해도 됩니다》에서 '다정한 경쟁'에 대해 말한다.












자신의 능력이 나 혼자 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

자신의 현실에 누군가의 도움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라는 것을 아는 사람.

그걸 아는 사람은 겸손할 수 밖에 없고 패자에게도 잘난 체하지 않는다.

그런 다정한 태도를 가진 사람은 '다정한 경쟁'을 하게 된다.

나 역시 내가 뒤쳐지나에 관심있었고 내가 앞서나가는 것 같을 때만 만족해했다.

하지만 그런 사고방식은 나 홀로 포기하게 만든다는 것을 안다.

2025년도 함께 하는 사람들에게 다정한 경쟁자가 되고 싶다.

다른 무엇도 아닌 끝까지 응원꾼으로서 함께 하는 사람들의 페이스 메이커로 뛰고 싶다.

내가 누군가의 페이스 메이커가 되면 또 다른 누군가도 나에게 페이스 메이커가 되어 줄테니.

나 자신에게는 냉정한 경쟁자가 되고

타인에게는 다정한 경쟁자가 되어 길고 오래가는 사람이 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