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왜 진정성에 집착하는가 - 진짜와 허상에 관하여
에밀리 부틀 지음, 이진 옮김 / 푸른숲 / 2024년 11월
평점 :
진정성은 '자신을 소유하는 것, 자기 소유를 달성하는 것'을 뜻하는 하나의 이상이었다.
퍼스널 브랜딩이 유행하고 인플루언서들이 각광을 받으면서 '진정성'은 중요한 의미를 띄게 되었다.
특히 자본주의 시대에 유튜브, 틱톡, 블로그 등 여러 소셜미디어 세계에서 인플루언서들이 연예인들 못지 않은 힘을 얻으면서 그들이 갖는 메세지와 진정성은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가령 올해 그린피스 홍보대사이자 기후위기를 알리는데 앞장 선 연예인 류준열의 환승 연애 사건은 그의 바른 이미지에 환호하던 팬들을 실망시켰다. 또한 환경 보호론자인 류준열씨가 환경을 파괴하는 스포츠 골프를 좋아한다는 사실에 사람들은 그의 진정성을 의심하게 되었다. 왜 그럴까. 그가 보여주었던 이미지와 취미가 맞지 않는다는 것 때문이었다. 그가 보여주는 것이 취미와 생활 모두에 일치되길 원하는 사람들의 특성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사람들이 생각하는 진정성은 대중에게 보여지는 것과 사적에서 보여지는 모든 것이 일치되는 것을 진정성으로 여긴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저자가 찰스 귀논의 저서 <진정성에 대하여>에서 말한 진정성의 개념 '자신을 소유하는 것'이라는 표현은 정확해 보인다.
진정성을 가장 많이 요구받는 직업은 무엇일까? 자본주의 시대에는 바로 자본주의의 최고의 산물, '셀럽'이다.
『우리는 왜 진정성에 집착하는가』의 저자 에밀리 부틀은 셀럽들이 어떻게 진정성을 얻으려고 하는지 주요 예시를 들어준다.
킴 카다시아의 <카다시안 따라잡기>, 테일러 스위프트, 비욘세 등 그들이 각자 자아와 페르소나를 어떻게 펼치는 지 보여주는데 초연결 시대에 빈번하게 쓰이는 도구는 바로 '소셜 미디어'와 '리얼리티 쇼'였다.
그 중에서 리얼리티 쇼는 현실(리얼리즘)을 강조하지만 실상 리얼처럼 보이게 하는 조작의 힘이라는 사실을 밝힌다.
이 리얼리티 쇼를 보면서 우리는 예전에 <우리 결혼했어요> 또는 <산장미팅> 또는 김종국과 윤은혜의 '당연하지' 게임을 통해 연인 관계로 의심받게 하는 여러 쇼들을 보며 설레이고 오해했던 경험들을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각종 리얼리티가 난무하는 시대, 진정성이 진정한 셀럽이 갖추어야 할 시대정신이라고 생각하지만 의외로 진정성을 남발하며 조작하는 시대임을 보여준다.
진정성이 '자신을 소유하는 것'이라고 했다면 결국 '정체성'을 빼 놓을 수 없다. 결국 자신의 특징, 살아온 환경에 의해 생겨진 정체성에 맞게 살아가기 떄문이다. 진정성을 지키기 위한 명목으로 정체성의 경계를 짓는 우리들의 모습은 페미니즘, 또는 젠더,인종갈등 사이에서 두드러진다. 자신에 맞게 살 것을 강요하려는 명목에서 저자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순수한 진정성을 추구하려면
어느 정도 특권이 필요하다.
자아의 진정성에 대한
산발적이고도 포괄적인 탐구는
해당 개인에게 선택의 자유가 주어진 경우에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결국 진정성은 불가능한 정신인 것일까?
자본주의에 의해 '진정성'이 가장 요구되면서도 훼손되는 이 시대에 어떻게 진정성에 가 닿을 수 있을까?
이 부분에서 저자는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게 표현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하지만 다소 기본적인 해결책 같아 아쉬움을 느끼게 한다. 그럼에도 가장 기본적인 이 점이 잘 안 되어 있고 자신을 꾸미기 바쁜 현대 시대이기에 우리는 다시 첫 걸음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왜 진정성에 집착하는가』 에서는 진정성을 위해 셀럽, 예술, 제품, 정체성 등 다양한 부분에서 진정성을 고찰한다. 하지만 저자가 영국인이므로 모든 예시가 한국인과 동떨어진 타 문화권의 셀럽들의 예시가 대부분이어서 책 속에 제시된 예시들을 결합하여 이해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많이 아쉽다. 만약 한국 문화에서 설명이 되었다면 이 책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더 다가갈 수 있지 않았을까.
-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