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임 머신 - 수치심이 탄생시킨 혐오 시대, 그 이면의 거대 산업 생태계
캐시 오닐 지음, 김선영 옮김 / 흐름출판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예 기사를 볼 때마다 출산했지만 날씬한 몸매를 자랑하는 여자 연예인들에 대한 기사가 빠짐 없이 나옵니다. 연예인들의 인스타그램을 캡쳐하며 실린 기사들에서는 비슷한 문구를 볼 수 있습니다.

"자기 관리 끝판왕"

"아기 엄마 맞아?"

" 나이를 거꾸로 먹는 중견 탤런트 OOO "

이 문구들을 보면 코카콜라 병 몸매가 아닌 내 몸이 부끄러워집니다.

세월에 따라 얼굴에 자리잡은 주름이 부끄러워집니다. 자기 관리를 못 하는 나 자신을 책망합니다.

나도 달라질거야라고 말하며 다시 마음 먹지만 또 다시 실패할 때마다 나의 게으름을 탓합니다.

사이클처럼 반복되는 이 현상에서 우리는 아무런 의심 없이 정상적인 현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아름다운 몸, 탱탱한 피부 등은 추구되어야 한다고요.

과연 이 현상이 정상일까요? 이 현상 속에 숨은 근본적인 게 무엇인지 우리가 제대로 알아야 한다고 주목하는 학자가 있습니다.

바로 빅데이터와 알고리즘 연구자인 캐시 오닐의 저서 사회학 『셰임머신』 입니다.


 

수치심의 주요 목적은 순응하기를 강제하는 것이다.

약물 중독부터 빈곤 문제까지, 이들은 기본적으로 피해자가 실패를 초래했다고 전제한다.

 

저자는 말합니다.

다이어트, 약물, 성형수술, 빈곤 등 우리 사회에 퍼져 있는 이 사업의 기저에 깔려 있는 근본 원인을 우리가 제대로 모르고 있다고 말합니다.

그 밑바닥을 모르면 우리는 이 산업들에 끌려다닐 수 밖에 없게 된다고 강조합니다.

그렇다면 바로 이 밑바닥에 있는 핵심은 무엇일까요?

바로 "수치심" 즉 "셰임 (Shame)" 입니다.

타인보다 덜 날씬한 자기를 혐오하게 하고 부끄럽게 합니다. 남들보다 가난한 내 처지를 비난하게 됩니다. 약물 중독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나 자신을 비난하게 되고 사회로부터 단절의 길을 걷습니다.

나는 정상적인 사람이 아닌 실패자로 셀프 규정짓게 하는 것.

실패자로 규정함으로서 자기 혐오하게 하고 이 구세주처럼 나타난 산업에 매달리게 합니다.

 

빅데이터이자 알고리즘 연구자인 저자는 이 수치심을 대표적으로 먹고 사는 대표적인 네 가지 분야 (비만, 약물 중독, 빈곤, 외모) 등의 메커니즘이 수치심을 어떻게 자극하는지 알려줍니다.

책에 소개된 이 네 가지 분야 중 비만과 외모는 앞서 말했듯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약물 중독과 빈곤에 대해서는 고개를 갸웃거리게 됩니다.

약물 중독은 그야말로 인간의 선택이 저지른 죄가 아닌가?

빈곤을 수치심으로 여기는 건 너무 과도한 선택이 아닐까?

약물 중독에 대해서 저자는 돈 많은 유명 연예인들의 마약 중독에 대해서는 언급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저자가 주목하는 건 미국 빈곤층에서 약물 중독이 빈번하거나 의료 산업계와의 리베이트로 마약성 진통제로 길들여진 의료 산업의 밑바탕에 주목합니다.

왜 그들이 다른 계급에 비해서 약물에 쉽게 노출될 수 밖에 없었는지 그 밑을 바라봐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더욱 중요한 건 이들을 대했을 때 우리 사회가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강조합니다.

우리의 대응은 바로 "낙인" 입니다.

 


 

그들이 어떻게 마약에 노출되었는지 알기보다 비난을 택합니다. 범죄자라는 낙인을 쉽게 찍습니다.

교도소와 정신과 치료 뿐입니다. 낙인이 찍힌 이상 그들이 갈 곳은 없습니다.

갈 곳 없는 그들은 다시 음지로 걸어들어가 똑같은 길을 걷게 되는 악순환이 일어납니다.

저자는 미국의 형법과 재활 시스템이 바로 이들의 재활을 돕기 위한 것이 아닌 사회 구성원에서 배제하는 손쉬운 선택을 택함으로 이 악순환을 조장한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그 악순환 속에 중독자들의 수치심을 먹고 사는 재활 기관의 비즈니스가 활성화되고 있는 현실을 고발합니다.

빈곤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복지 증세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나오는 '복지 포플리즘'

일하지 않아 가난하다는 편견을 심어주며 가난한 자들이 부끄러움을 느끼게 합니다.

끊임없는 구직활동을 증빙하게 하고 그들을 더욱 수치스럽게 만듭니다.

왜 가난할 수 밖에 없는가라는 사회의 근본적인 원인은 옆에 제껴둔 채,

우리의 선택으로 가난을 못 벗어난다는 수치심만을 조장하여 복지 정책이 꾸려집니다.

당연히 결과는 똑같을 수 밖에 없습니다. 약물중독자처럼 가난한 사람은 게으르다는 낙인을 저버릴 수 없습니다.

우리 사회는 일하지 않는 빈곤층을 극빈한 상태로 몰아넣는다.

한마디로 실패한 사람이 대가를 치르고

현재의 불행을 받아들이게 한다.

 

『셰임 머신』 은 이 혐오가 어떻게 발생하고 퍼져나가는지 그리고 이 수치심을 대체할 다른 규범이 생겼을 때 어떻게 기존의 수치심을 이용하던 세력이 변모하게 되는지를 알려줍니다.

SNS으로 순식간에 비난 여론을 일으키는 공유와 좋아요 기능 등을 비롯해서 미국의 인종차별, 미투 운동 등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사례를 예로 들며 그 현상을 자세히 관찰하게 해 줍니다.

특히 미국의 백인층이 인종 차별의 부끄러운 역사를 남기지 않기 위해 역사를 조작하거나 말살하는 모습을 통해 일본의 '위안부'역사 부인과 '독도' 역사 조작등을 보게 되기도 하며 그들이 왜 그런 만행을 저지르는지 원인을 잘 알게 됩니다.

다양한 사회 현상과 더불어 수치심 머신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쉽게 잘 설명해 주어 가독성이 꽤 좋습니다. 다만 이 수치심 머신에 대한 해결책으로 우리 사회의 정의감을 하나로 예시하는데 초반의 상세한 문제 인식에 비해 해결책이 다소 아쉽다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처음 이 책 표지를 보았을 때, 빅데이터 학자이자 <그냥 하지 말라>의 저자인 송길영 님의 추천사에 주목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책을 읽고 난 이후 송길영님의 추천사가 정말 이 책의 백미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당신의 수치심이 그들의 돈과 권력이 된다.

<셰임 머신> 추천사

 

송길영님의 <그냥 하지 말라>처럼 우리 또한 그 밑바탕을 흐르는 수치심을 파악하고 그대로 하지 말것을 외치는 강력한 추천사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사회가 올바르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혐오를 위한 수치심이 아닌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받아들이기 위한 목적으로 수치심이 작동해야 함을 설명해주는 책입니다.

 

 

 

  •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았으나 읽고 개인적인 느낌을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