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버지의 해방일지
정지아 지음 / 창비 / 2022년 9월
평점 :

아버지가 죽었다. 전봇대에 머리를 박고.
평생을 정색하고 살아온 아버지가 전봇대에 머리를 박고
진지 일색의 삶을 마감한 것이다.
정지아 작가의 소설 『아버지의 해방일지』는 아버지의 사망으로부터 시작된다. 평생 사회주의 신념에 따라 사셨고 빨치산에 활동했던 낙인 때문에 시골 구례에서 감시받는 삶을 살아 왔던 아버지. 딸이 보는 아버지의 모습은 시대에 뒤떨어진 사상을 안고 살아가 자신과 가족을 힘들게 한 패잔병이나 다름없었다. 시대가 변했고 사회주의는 이미 패배한 사상임에도 신념을 버리지 못하는 아버지가 한심했다. 그리고 이 빨치산이라는 족쇄를 채운 아버지를 원망했다.
갑작스런 아버지의 죽음으로 상주가 된 나. 장례식장을 정하며 정신없이 와중에 생전 아버지와 함께 했던 지인들의 도움으로 아버지의 빈소가 차려진다. 아버지의 부고를 알게 된 지인들이 하나 둘 모여든다. 사회주의자인 아버지와 정반대의 사상을 가진 사상의 적이지만 아버지의 가장 막역한 사이인 박선생부터 아버지의 정치적 동료인 박동식, 아버지의 빨치산 시절을 함께 했던 전우 그리고 베트남 혼혈아인 소녀까지도... 외동딸인 나도 알지 못했던 사람들이 하나 둘 모여들며 아버지의 삶 속의 퍼즐이 하나 둘 맞춰진다.
지지리 궁상 같은 삶임에도 자신이 믿고 있는 신념에 따라 사람들을 대하고자 했던 아버지. 아버지만의 방식으로 삶 속에서 사회주의를 실천하고자 했던 아버지. 조문객들이 들려주는 얽히고 설킨 사연들마다 아버지의 신념이 있었고 사랑이 있었다. 그리고 그건 각자의 사람들에게 위로가 되었고 힘이 되어주었음을 아버지의 영정 앞에서 비로소 알게 된다.
누군가 그런 말을 했다. 죽음 후에 삶의 흔적이 가장 잘 드러난다고. 『아버지의 해방 일지』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아버지를 잘 안다고 생각했는데 그건 반쪽뿐인 아버지의 모습이었다. 큰 퍼즐 속에 퍼즐조각을 끼워 맞추듯 장례식장에 찾아오는 사람들의 기억 속에 아버지의 삶이라는 큰 퍼즐이 완성된다.
살아서의 아버지는 뜨문뜨문, 클럽의 명멸하는 조명 속에
순간 모습을 드러냈다 사라지는 사람 같았다.
그런데 죽은 아버지가 뚜렷해지기 시작했다.
살아서의 모든 순간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다
자신의 부고를 듣고는 헤쳐 모여를 하듯
모여들어 거대하고도 뚜렷한 존재를 드러내는 것이었다.
그 퍼즐을 보며 비로소 아버지를 이해하게 되며 아버지가 겉으로는 패배한 사상가일지 모르나 정작 자신의 삶에서는 자신의 신념을 굳게 지키며 삶을 살아간 진정한 혁명가였음을 알게 된다. 인민 해방이라는 기치를 삶 속에서 이루어냈고 죽음을 통해 비로소 해방을 맞이한다. 그리고 아버지가 준 족쇄 앞에서 원망했던 나도 비로소 해방되어 아버지의 마지막을 아버지의 방식으로 떠나보내게 된다.
지지리 궁상 같은 삶 속에서도 사회주의를 잊지 않고자 했던 아버지. 아버지가 살아온 세월이 전혀 지지리 궁상 같이 느껴지지 않는 이유는 바로 사람에 대한 온기와 따뜻함이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가난과 빨치산 딸이라는 굴레에 갇혀 잘 보이지 않았던 그 온기와 따뜻함이 아버지의 죽음 앞에 선명히 드러나며 아버지의 존재를 더욱 강하게 느끼게 한다.
정지아 작가는 인터뷰에서 말한다. 이 소설을 쓰면서 자신 또한 해방되어 갔다고. 한반도의 슬픈 현대사를 통과한 아버지의 삶. 그 삶은 결코 실패한 게 아니었음을. 아버지의 잘못이 아니였음을 알게 되며 저자 자신도 그 굴레에서 비로소 자유를 누린다. 그 여정이 너무 따뜻하고 아련하기까지하다. 읽고 난 후 부모님이 유난히 그리워진다. 내 곁에 계시는 아버지에게 유난히 사랑한다고 말하고 싶은 밤이 지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