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의 미스터리 - 왜 자본주의는 서구에서만 성공하는가
에르난도 데 소토 지음, 윤영호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째서 자본주의는 역사학자 페르낭 브로델이 말한 것처럼

마치 종 모양의 단지 속에 갇힌 채 오직 서구에서만 번영하고 있는 것일까?



『자본의 미스터리』의 질문은 간단하다.

서구에서는 성공한 자본주의가 왜 서구에서만 번영하고 다른 나라에서는 실패하는 것일까?

왜 다른 나라에서는 자본주의가 통하지 않고 빈곤이 계속되는가를 파헤쳐간다.

저자 에르난도 데소토의 이력 또한 흥미롭다. 우선 저자 에르난도 데소토의 전공은 비공식 경제와 재산권이다.

그래서일까? 『자본의 미스터리』에서는 그 원인 역시 '비공식 경제'와 '재산권'에 연결된다. 또한 그의 국적이 미국이나 영국과 같은 서구 국적이 아닌 자본주의가 성공하지 못한 나라 중 하나인 페루 출신이다. 저자는 자국의 현실을 보면서 이 '자본의 미스터리'에 몰두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한다.

책에서는 거두절미하지 않고 먼저 이 미스터리의 원인을 말해준다.

왜 서구에서는 통하는 자본이 제3국에서는 통하지 않는가? 그것은 바로 자본으로 변화할 수 있는 전환과정이 없기 때문이다.


우선 저자가 말하는 제3국의 팩트는 우리가 알고 있는 잘못된 사실을 정정하는 데서부터 시작한다.

보통 우리는 인도, 또는 멕시코 등 가난한 나라들의 국민들이 자본이 없어서 빈곤을 벗어나지 못한다고 알고 있다.

저자는 그들이 '자본'이 없는 게 아니라고 말한다. 집이 있고 땅이 있다. 하지만 그 자본들이 인정받을 수 있는 과정이 없다. 그래서 그들의 자본은 인정받지 못한다. 즉 '죽은 자본'이다.

한국의 경우만 해도 집문서가 있다. 법적 보장을 받으며 집 한 채는 엄연한 자산으로 인정받는다. 그래서 한국에서는 누구나 건물주가 되기를 희망한다. 자본주의에 성공한 나라들은 이러한 명시화 과정이 있다. 하지만 제3국은 각국의 복잡한 절차, 부패에 따라 적법한 과정을 받기에 몇십년이 소요되는 법적 절차 시간이 걸린다. 그러기에 사람들은 법의 망을 피해간다. 명시화 과정이 없기에 그들의 재산은 인정받지 못하고 죽은 채로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저자의 주요 분야인 '비공식 경제'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3국의 현실에서 '재산권'이 인정받을 수 있는 제도가 없기 떄문에 그들의 소유는 '죽은 자본'일 수 밖에 없다.


자본에 생명을 불어넣으려면 자산이 지닌 경제적 잠재력을 이끌어내어

부가적인 생산을 일으킬 수 있는 형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유를 알았으면 답을 찾아야 한다. 『자본의 미스터리』에서는 그 답을 또 의외의 곳에서 찾는다.

바로 '미국의 역사'에 답이 있다고 말한다. 아메리카 역시 재산권이 제대로 성립하기 전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간다.

초창기 아메리카 시절 무단 점거자들로부터 사회계약을 세우고 선매권법을 제정하고 충돌하며 현재의 재산권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이 제3세게 무단점거자 집단의 현실과 다르지 않음을 말한다. 미국의 경제사 속에서 법 체계는 영국의 관습법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인정해나갔다. 그리고 그들은 현실에 기반을 두고 자신들의 상황에 맞는 새로운 체제를 만들어나갔다. 현실을 철저하게 인식하고 국민들의 생활 방식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우여곡절 끝에 지금의 법 체제를 바로잡아갔다. 이는 정부와 국민 그리고 법조계의 많은 노력이 필요했다.

『자본의 미스터리』는 실패한 법 체계 속에서 '죽은 자본'을 어떻게 '살아있는 자본'으로 바꿀 수 있게 하는가에 대해 고민한다. 그래서 단순한 돈 뿐만 아니라 비트 코인과 같은 가상 화폐 등도 어떻게 자본으로 변화시켜야 하는지 정부와 법조계에서 확실한 방법이 필요함을 주문한다.

이 책은 2003년에 출간되어 다소 현실과의 괴리가 있지만 출간된 때와 2022년도의 현실이 그다지 차이가 많이 나지 않다는 사실에 놀라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가상 화폐와 같이 대체 수단이 생겨나고 있는 이 때 확실한 조치가 있어야만 부와 자산이 일부에게 쏠리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는 걸 깨닫게 해 준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