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견자들 2 - 자연 발견자들 2
대니얼 J. 부어스틴 지음, 이경희 옮김 / EBS BOOKS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의 역사는 발견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새로운 진리를 만들어가고 전혀 알지 못했던 사실을 발견해간다.

때로는 기존의 진리처럼 믿고 있던 지식이 새로운 발견에 의해 거짓이 되어 세상을 발칵 뒤집는다. 때로는 목숨을 잃기도 한다. 인간의 끝없는 호기심, 미지의 세계를 향한 탐구심은 끝없는 발견을 만들어냈고 현재까지 새로운 발견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니얼 J. 부어스틴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역사학자이다. 대니얼 J. 부어스틴은 새로운 역사 연구를 제시한다. 바로 과학자들이 만들어낸 '발견자들' 의 역사이다. <시간, 지구와 바다>, <자연> 그리고 <사회> 세 가지 시리즈로 만들어낸 이 『발견자들』 시리즈를 통해 우리는 과학이 어떻게 이 세계를 변화시켜왔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세 가지 시리즈 중 내가 만난 시리즈는 바로 『발견자들』 자연 편이다.

자연, 천문학계에서 세상을 발칵 뒤집어놓은 발견이라면 뭐가 있을까? 뭐니뭐니해도 지동설이다.

코페르니쿠스 이전만 해도 지구가 중심이라고 굳게 믿었던 이 신념에서 처음으로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고 말했던 과학자.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은 천지개벽할만한 사건이었다. 그래서 이 책은 바로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로부터 시작된다

저자가 들려주는 코페르니쿠스의 프로필은 놀랍게도 단순하다. 특히 그가 교회의 든든한 지원을 받아 편안한 생애를 보냈다는 것은 처음 접하게 된다. 과학자가 아니였음에도 지구 지동설을 발견한 그는 그의 이론의 신념조차 희미했다. 오히려 주저했다. 그렇지만 친구들과 제자들에 의해 <천체 운동에 관한 가설으 개요>를 출판하게 된다.

가끔씩 우리는 어떤 사람을 두고 운수 나쁜 사람이라는 말을 한다. 반면 운을 타고 나는 사람이 있다. 이 두 가지중 코페르니쿠스를 예로 든다면 나는 운이 좋은 사람이라고 말하고 싶다.

"코페르니쿠스는 지구가 중심이 아니고 움직인다는 1가지만 수정하고 프톨레마이오스 이론의 많은 특징들은 그대로 두었다."

저자는 말한다.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은 지구가 움직인다는 한 가지밖에 없었음을. 더구나 그의 이론은 충분한 증거도 이론도 수립되지 못한 불완전한 것이였음을. 그럼에도 주변에서 그를 도와주는 사람이 있었다. 더구나 후에 그의 이론을 방해하려는 지인 안드레아스 오시안더라는 신학자의 방해에도 도와주는 사람이 있어 그의 명성은 쉽게 더럽혀지지 않았다. 지동설로 인해 불행한 말년을 맞은 갈릴레오보다 평안한 인생을 살았던 코페르니쿠스는 발견자들 중 행운아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지금이야 의학도의 필수 학과인 해부학의 역사 또한 흥미롭다. 그 당시 시체를 제대로 운반하기조차 어려워서 시신을 말꼬리에 연결되어 광장에서 의과대학까지 끌어오는 이야기는 운반도구가 미흡했던 시절 해부학이 얼마나 힘들었는지를 알 수 있게 해 준다. 그 험난한 과정 속에서 단 하나의 조그만 조각이라도 잡을고 애쓰는 베살리우스 해부학 이야기는 우리의 역사가 결코 쉽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는 걸 알 수 있게 해 준다.

똑같은 발견을 했음에도 누가 먼저 발표했느냐에 따라 명성을 빼앗기는 과학자들, 이론의 창시자, 발견자로서 이름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벌이는 논쟁, 뉴턴의 이야기 또한 과학계의 숨겨진 이야기를 알 수 있어 흥미롭다.

『발견자들』의 이야기는 과학자들의 이야기이다 보니 읽기에 결코 만만하지는 않다. 하지만 책 속에 우리가 알고 있던 그 뒷이야기들과 배경들이 자세하게 풀어놓아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더욱 자세히 알 수 있다.

세상의 수많은 발견들. 아이들에게도 좋은 과학역사책이 되어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