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은 나를 그린다
도가미 히로마사 지음, 김현화 옮김 / ㈜소미미디어 / 2022년 3월
평점 :
절판



『선은 나를 그린다』의 주인공 아오야마는 어린 시절 부모님을 잃었다. 그 후 작은 아버지 가정에서 자랐지만 마음의 상처는 쉽게 치유되지 않는다. 혼자에 익숙한 아오야마. 그는 항상 마음 속에 두 가지 마음이 존재한다. 부모님에 대한 추억은 평온함으로, 사고의 이미지는 죽음과 절망으로 . 정반대의 두 감정이 아오야마를 더욱 고립되게 한다.

상처에서 벗어나지 못하던 그는 자의반 타의반으로 지금의 부속대학교에 입학하게 되었고 별난 친구 고마에를 만나지만 그와의 우정은 언제나 거리가 있다. 어느 누구도 아오야마의 세계에 침투할 수 없었다.

혼자만의 세계에 살던 아오야마가 '수묵화'의 세계에 발을 디디게 된 계기는 친구 고마에의 아르바이트 부탁때문이었다. 전시회 가벼운 소일거리만 도와준다고 했던 말과 달리 막노동꾼과 같은 작업량에 놀라 도망가버린 다른 사람들과 달리 아오야마는 홀로 묵묵히 아르바이트를 한다. 일을 겨우 마치고 홀로 전시회 그림을 보던 그에게 한 유쾌한 할아버지가 말을 걸며 아오야마에게 다가온다. 바로 수묵화의 거장 '시노마 고잔' 선생이었다.

소설은 짐작할 수 있듯 아오야마가 수묵화를 본격적으로 배워나가면서 자신의 상처를 치유해가는 과정이다. 하지만 그 과정이 수묵화의 가르침과 치유의 과정이 어울러져 아오야마가 숨기고 있던 상처를 직면하게 해 주는데 있다.

처음 고잔 선생이 시도한 가르침은 바로 그림을 그리며 즐기는 일이었다.

수묵의 본질은 이 즐거움일세.

도전과 실패를 반복해서 즐거움을 만들어내는 게

그림을 그리는 일이지.

오늘 강의는 이걸로 끝일세. 와줘서 고맙네.


그림을 그리며 즐거움을 찾는 것. 그것은 바로 안에만 갇혀 있던 아오야마를 밖으로 걸어나오게 만드는 행위다.

그림으로 표현하며 뭐든 시도해보게 하는 것. 그 첫걸음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그 다음 단계는 남에게 마음을 잘 표현하지 않던 아오야마에게 힘을 빼게 하고 가장 중요한 건 그림이란 바로 순간 순간마다의 마음이었다.


순간을 즐기는 것. 마음을 중시할 것. 그 과정 과정을 넘어 결국 본인의 마음을 들여다보게 만드는 부분까지 가르침을 받고서야 아오야마는 왜 고잔 선생님이 자신을 수묵화의 세계로 불러들였는지 깨닫게 된다.

이제까지 평온함과 불안함 양면된 마음 속에 괴로워하던 마음을 그저 바라만 보다가 정면으로 마주하고 극복하도록 하는 데 있었다.


이 소설에는 수묵화의 세계와 함께 선의의 경쟁을 하는 고잔 선생의 손녀 지아키와 아오야마의 우정 또한 빛을 발한다. 처음에는 불청객처럼 자신의 자리를 넘보는 아오야마의 존재에 적의를 드러내던 지아키가 아오야마를 동료로 받아들이며 함께 성장해간다. 그때서야 비로소 깨닫는다. 함께 할 때에 더욱 발전할 수 있음을. 서로의 존재가 서로를 성장시켜줄 것임을 그들은 알게 된다.

소설을 읽노라면 수묵화의 세계가 매우 궁금해진다. 이 책이 코믹스로 동시 발매도 되었다고 하는데 과연 그림으로 수묵화가 어떻게 펼쳐질지 매우 기대된다. 과연 책에서 표현된 거장 고잔 선생님과 스이잔 선생님의 수묵화, 수제자 니시하마와 사이토의 수묵화 등이 만화에서 어떻게 그려졌을까. 책에서 그려낸 설명등이 충실하게 반영되었을까도 기대된다. 이 책이 한 편의 영화 소재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 같다.

뭔가에 몰입하는 사람이 가정 멋있다는 말을 저절로 떠올리게 하는 소설이다. 그리고 뭔가를 몰입할 수 있다는 게 매우 부럽다. 수묵화의 본질과 함께 상처를 치유되는 과정이 잘 어울러져 빛이 나는 작품이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