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채색 아저씨, 행복의 도구를 찾다 - 잘하려 애쓰는 대신 즐기는 마음으로, 취미생활 1년의 기록
이경주 지음 / 아날로그(글담) / 2022년 4월
평점 :

어른이 되며 가정을 이루면 가장 하기 어려운 건 바로 취미생활이다. 미혼 시절은 여러 동호회 활동이 가능하지만 결혼 후 특히 아이가 있으면 취미 생활은 엄두도 내기 어렵다. 나를 위한 취미는 커녕 가족 뒤치닥거리와 직장만을 번갈아가며 하기 바쁘다. 아이가 있으면 그제서야 알게 된다. 나를 위한 활동이 얼마나 소중한지. 그 활동이 얼마나 내게 활력소를 주는지.
《무채색 아저씨, 행복의 도구를 찾다》 의 저자 이경주 씨 또한 '서울신문' 기자로 번아웃되던 삶을 살다 이대로는 안 될것만 같다는 생각에 자신만의 취미를 갖기로 결심한다. 그 시작이 바로 아들이 다니던 화실에서의 그림 그리기였다. 취미를 가지기 전에는 무채색 같던 삶이 그림을 그린 후 여러 가지 색으로 채워져가는 과정을 그렸다.
처음에는 단순히 선만을 그리지만 하나씩 그림의 범위를 넓혀나간다.자화상을 그리고 아내의 모습을 그린다. 나와 타인의 사진을 보고 그리는 과저에서 선생님은 말한다.
"그대로 그리기만 하는 거라면 사진이 낫죠. 표정과 분위기를 잡아내셔야 해요."
항상 무심하게 대했던 아내의 모습이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며 아내의 표정을 유심히 살펴본다. 이 때 당시에 아내의 기분이 어떠했는지, 어떤 분위기일 때 아내가 이런 표정을 짓는지 곰곰히 생각한다. 그림을 그리기 전에는 깊이 생각하지 않았던 아내를 그려나가면서 조금씩 더 알아간다. 자신의 부부 생활 또한 되돌아본다.
이 글을 보면서 김춘수의 유명한 시 '꽃'의 한 구절이 생각난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부르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타인을 그린다는 건 어쩌면 김춘수의 시처럼 그림의 피사체, 그 사람의 이름을 불러주는 것이 아닐까?
자신의 감정에 따라 각각 다른 그림의 종류를 그린다. 번아웃이 된 자신의 모습을 떠올리며 맥주를 마시며 쉬고 있는 자신의모습을 그리고 어떤 때는 추상화를 그리며 저자의 최애 화가 '데이비드 호크니'의 그림을 모사한다. 그림을 그리기 전에는 일상에 쫓기던 무채색이었던 삶에 하나씩 색이 덧입혀진다.
취미는 산책처럼 마음 가는 대로 즐기는 것이 가장 좋다.
내게도 그림은 하고 싶은 때 하고 싶은 만큼만 하면 되는
'일상으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한다.
게으름이 허용되고, 그리다 중도에 포기해도 상관없다.
'하면 된다'의 영역이 아니라 '되면 한다'의 영역인 것이다.
저자는 취미를 '자기만의 방'이라고 말했다. 그 표현에 전적으로 공감하는 건 바로 나 역시 독서라는 나만을 위한 행위를 하면서 삶에 활력이 생겼기 때문이다. 저자가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며 주변에 대해 생각하게 되며 표현하는 법을 배우는 행위는 자기만의 방을 만들어가는 행위였듯 나도 읽고 쓰는 행위가 빡빡한 삶에서의 자유였다. 그 자유는 오로지 하는 사람만 느낄 수 있다.
《무채색 아저씨, 행복의 도구를 찾다》를 읽으면 저자의 그림과 함께 깊어진 사유를 느낄 수 있다. 저자가 그림을 그리며 생각하는 시간이 많아졌다고 말하듯, 그림을 그려 나가며 자신의 일상을 돌아보고 그림으로 표현해내며 깊어진 사유를 알게 된다. 그 사유는 일상에서 벗어나 자기만의 취미를 가짐으로서 가능해진 것이다.
인생이 힘들다고 느껴질 때, 이대로 인생이 끝나는 것만 같아 두려워질 때 우리에게 필요한 건 바로 나 자신만을 위한 작은 행동을 하는 것이다. 처음부터 찾기는 어렵다. 하지만 여러 가지 시도해가며 자신에게 맞는 일을 찾아간다. 워킹맘인 내게는 책이 그랬고 저자에게는 그림이였다. 그 취미가 빡빡한 일상에 힘이 되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