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흔, 체력이 능력 - 마음, 태도, 관계가 단단한 내가 되기 위해
최수희 지음 / 빌리버튼 / 2022년 3월
평점 :

에세이 『마흔, 체력이 능력』 의 저자 최수희씨 또한 두 아이를 키우는 워킹맘이다. 시간에 쫓기고 월화수목금금금 퇴근이 없는 삶. 지친 몸을 지인들과 가벼운 맥주 한잔으로 피로를 풀고 다음날 7시에 출근 시간에 맞추어서 힘들게 하루는 시작하는 삶. 야행성이었던 저자는 어떻게 새벽형 인간으로 바뀌며 두 번이나 바디 프로필을 찍는 운동 매니아로 바뀌었을까?
발단은 가족 여행 사진이었다. 초췌한 자신의 모습. 그 모습을 보편서 저자는 생각한다. 이 모습으로 계속 살 수는 없어. 회사와 가정 두 가지 일을 번갈아 가며 열심히 살고 있지만 자신을 잃으면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사실 나 또한 거울을 잘 보지 않는다. 아마 소수의 여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엄마들이 그렇지 않을까? 출산 후 급격히 불어난 몸무게, 아이를 돌보느라 초췌해진 자신의 몸을 편안한 모습으로 볼 수 있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다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푸념에 그친다면 (나의 경우 이에 해당한다) 저자는 과감히 결단하고 바로 실행에 옮긴다.
저자가 선택한 운동은 바로 수영이었다. 저녁에는 퇴근 후 아이들 육아에 시간이 없기에 아무도 깨지 않은 새벽에 하는 수영 강습을 들으며 아침을 깨워나간다. 야행성 인간이 새벽형 인간이 되기 위해 저녁 모임을 취소하고 휴대폰을 멀리하며 취침 시간을 맞춰놓는다. 그렇게 하나씩 조정되며 새벽 4시 30분이면 어김없이 새벽에 잠을 깬다.

『마흔, 체력이 능력』 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점은 바로 남편과의 바디 프로필 촬영기였다. 나 역시 바디프로필에 도전하고 있기에 이 과정이 얼마나 힘든지 알고 있다. 그런데 하물며 남편과 함께라니. 저자 역시 남편이 자신의 제안에 선뜻 응하자 어떻게 그런 결심을 하게 되었느냐고 묻는데 남편의 대답이 인상적이다.
당신이 아침에 일찍 일어나 열심히 자기관리 하는 모습이
보기 좋기도 했고
당신 말 잘 들어서 좋게 바뀐 게 많더라고.
그래서 오케이 했지.
이 대답을 들으며 최근에 들었던 <50대에 도전해서 부자 되는 법>의 저자 '꿈꾸는 서여사 서미숙' 님의 강의가 생각났다. 그 강의에서 한 여성이 질문했다.
"뭘 시도하려고 하면 남편에게 말해야 할까요?"
"남편하고 함께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 질문에 서미숙 저자의 대답은 간단했다.
자기 자신이 바뀌면 남편은 바뀔 수 밖에 없어요.
자신이 좋은 성과를 거두면
자연스레 따라오게 되어 있어요.
먼저 자신을 바꾸세요.
『마흔, 체력이 능력』 의 저자 최수희씨도 운동으로 체력이 변화되고 아이들 육아와 회사에서 집중력을 가지게 되며 자신의 삶의 능동적으로 살아간다. 전에는 끌려가는 삶이였다면 이제는 자신이 일어나 운동하고 책을 읽고 자신의 공간을 만들어가며 이렇게 한 권의 저자로 거듭나게 되었다.
저자 또한 '목표'보다 더 중요한 건 바로 하나라도 '실행'하는 행동력이라고 말한다. 우리가 대단한 부자가 아닌 한 사람이 처한 환경은 비슷하다. 하지만 한 끗 차이가 변화를 만든다. 그 한 끗 차이는 바로 '실행력'이다. 더 늦기 전에 하나라도 시작하는 것. 그것에서부터 변화가 시작된다. 행동한다면 기적은 바로 우리 옆에 있다. '말을 물가로 데려갈 수 있어도 물을 억지로 먹일 수는 없다'. 결국 변화할 것인가는 개개인의 몫이다. 하지만 뭔가 변화를 원한다면 이 책을 읽는 것보다 당장 조금씩 몸을 움직여 보는 건 어떨까?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