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년째 농담 중인 고가티 할머니
레베카 하디먼 지음, 김지선 옮김 / 북로드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족의 중요함을 강조할 때 자주 쓰이는 레파토리가 있다. 결국 남는 건 가족밖에 없다고.

친구도 회사 동료도 아무 소용 없다고. 모두 떠나고 결국 가족만 남는다고. 그러니 가족에게 잘하라고 말한다.

하지만 그 가족이 골칫덩어리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평생 남는 가족의 뒤처리를 해주어야 하는데 쉽지 않다. 특히 자신 일만으로도 벅찬데 아무리 가족이라지만 쉽지 않은 일이다.

영미소설 『83년째 농담중인 고가티 할머니』가 바로 이 경우에 해당된다. 아들 케빈은 잡지사에서 해고되어 무직이고 쌍둥이 남매인 에이딘과 누알라는 보기만 하면 싸운다. 그 뿐이라면 다행이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홀로 계시는 이제 83세이신 어머니 밀리 고가티는 그야말로 수시로 연락해 와 피곤하게 한다. 텔레비젼이 안 나온다, 고장났다, 지금 좀 와봐라 등등... 이제는 하다못해 가게에서 도둑질이 발각되어 경찰서까지 가게 되었다. 연세도 드실 만큼 드신 어머니가 철이 이렇게 없다니.. 요양원으로 모시면 좋으련만 어머니는 끄덕도 하지 않으신다.

가지 많은 나무에 바람 잘 날 없다고 했듯 연세 많으신 어머니는 철딱서니가 없고 눈치 빠른 쌍둥이 동생 에이딘은 아빠가 자신을 먼 기숙학교에 입학시키려는 걸 눈치챘다. 구속을 면하기 위해 경찰서에서 요구하는 도우미를 들이고 말썽쟁이 딸 에이딘을 기숙학교에 보내지만 우리는 안다. 밀리 할머니와 에이딘이 결코 케빈의 뜻대로 조용히 있지 않을 것임을. 오죽하면 제목이 83년째 농담 중인 고가티 할머니겠는가.

소설 속에는 엉뚱발랄한 고가티 할머니의 통통 튀는 매력이 재미있게 그려진다. 그 매력은 손녀 에이딘과의 비밀 미국 여행으로 빛을 발한다. 모전여전이 아니라 조모전손녀전이라고나 할까? 고가티 할머니의 엉뚱한 면을 아들 케빈은 골칫덩어리로만 생각했다면 손녀 에이딘은 더 큰 엉뚱함으로 위기를 넘기는 재치를 보여준다. 이 둘의 조합은 미국에서도 새로운 모험으로 연결되며 끝까지 주변을 기절초풍하게 한다.

아무리 철이 안 드는 때론 치매가 아닌가 걱정스럽다해도 결국 가족이기에 더불어 살아가고 딸 에이딘 또한 종잡을 수 없는 아이지만 사랑하는 가족이기에 함께 살아간다. 가족이기에 자연스럽게 화해하며 다시 일상의 모습을 살아간다. 그래서 남는 건 가족 밖에 없다는 말은 결국 옳다.

『83년째 농담 중인 고가티 할머니』는 여전히 농담하며 어떤 일을 꾸미고 있을지 상상될 만큼 캐릭터가 생생하다. 작가가 기회가 된다면 고가티 할머니 모험 2편을 써 보는 건 어떨까 권하고 싶다. 할머니는 90세가 되어도 여전히 농담하며 가족을 기절초풍하게 해 줄 테니까. 한가한 오후, 시간을 순삭하게 해 줄 재미있는 책을 찾을 때 적극 추천하고 싶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