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를 만나다 사계절 1318 문고 132
이경주 지음 / 사계절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잠에서 깨어난 나는 도서관에 있다. 이상하다. 나의 모든 기억이 없다. 내 이름도, 내가 누구인지 생각나지 않는다.

나는 왜 이 곳에 있는가.

도서관의 사람들에게 묻지만 대답 없는 사람들.

책을 펴 보지만 아무런 글자도 보이지 않는 책들...

나갈 출구도 없이 두리번거리고 있던 때 여학생을 만난다. 나에게 유일하게 반응하는 여학생.

그리고 그 둘에게 도서관 사서가 다가온다. 영문을 묻는 이에게 사서는 책을 건네며 대답한다.

 

여긴, 도서관이다.

도서관은 책을 읽으러 오는 곳이고,

이 도서관은 책을 빌려주지 않는다.

이 곳에서만 읽을 수 있지. 답을 빨리 찾고 싶다면 책을 읽어라.

 

서로 다른 책을 받아든 나와 여학생. 나는 게임을 좋아하는 동호 이야기가 담긴 책을 받고 여학생은 그림 동호회에서 제로라는 닉네임으로 그림을 그리는 아이의 이야기를 읽게 된다.

과연 이 둘의 이야기에 어떤 사연이 있는 것일까. 그리고 이 둘은 어떻게 이 곳에 오게 된 것일까.

 

『우리를 만나다』는 읽는 이가 짐작할 수 있듯, 동호가 바로 주인공 나임을, 그리고 여학생이 제로이며 그 둘이 서로 자신의 이야기를 읽어나가며 기억을 회복하는 과정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서로 전혀 모르는 사이인데 이 둘은 어떻게 한 날 같은 공간에서 만나게 되었을까. 접점이 없을 것 같은 이 둘의 이야기는 후반부에 이르러 그들의 가장 아끼고 사랑했던 친구 이수와 밴쿠버의 공통점을 찾게 된다.

 

풋풋한 십대의 시절로만 회상되던 초반에 비해 중반부를 넘어 동호의 친구 이수와 제로의 친구 밴쿠버의 비밀이 밝혀지며 이야기는 안타까움으로 급반전된다.

아직은 어리고 모든 게 미숙했던 그 때, 어른들의 개입 속에 상처받아야만 했던 동호와 이수 그리고 제로.

이수의 비밀이 밝혀지며 점점 궁지에 내몰리는 이수의 사연과 이수의 비밀을 받아들이기엔 너무 어렸던 동호와 제로의 행동은 주변의 상황에 더욱 극한으로 치닫는다.

 

이 현실에 눈감고 싶어서 잊어버리고 싶어서 선택한 이들이 마주한 진실.

아픈 기억 속에서 그들의 친구 이수와 밴쿠버의 모습은 어떻게 해야 할 지 알려준다. 그리고 그들이 미처 하지 못했던 작별을 하게 된다.

 

강이수는 도서관에 자주 와서 책을 읽고 또 읽는다.

 

이해받기에 힘들었던 이수의 삶.

이수를 받아들이기에 미숙했던 동호와 제로.

소중했던 이를 작별도 못하고 보내버린 이들. 그럼에도 살아갈 것을 다짐하는 이들의 모습은 다시는 이런 실수를 하지 않겠다는 약속처럼 들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