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경제 - 양자적 관점으로 해석하는 인공지능, 팬데믹, 기후위기 이후의 세상
앤더스 인셋 지음, 배명자 옮김 / 흐름출판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시대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곧 누군가가 와서 (또는 새로운 기술이) 우리를 구원할 거라는 믿음이다.



『양자경제』는 독특한 책이다. 비즈니스 철학자인 앤더스 인셋은 현재의 이론만으로 이 세계를 구할 수 없다는 확신에서부터 이 책은 시작한다.

빠르다못해 로켓 행진하는 기후 위기, 인간의 일자리를 위협하는 AI의 진화..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이 두 가지 문제를 멈출 대안은 없다. 물질만능주의에 쪄든 자본주의는 더욱 부채질할 뿐이다. 코로나 이후에도 또 다른 팬데믹의 위협하고 있다. 지금의 경제학으로는 멸망을 피할 수 없다. 우리에게는 새로운 관점이 필요하다. 현재의 이론을 대안할 수 있는 이론으로 저자는 <양자경제>를 제안한다.

양자경제는 모든 이론이 함께 연결되어 있다는 양자론에 근거한 양자경제학이다. 책에 설명하듯, 물질에 근거한 이론이 아닌 모든 것을 상호 의존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저자가 초반 현대 사회의 위기의 문제점을 강조하며 위기감을 불러오지만 저자가 설명하는 '양자경제학'의 관점은 다소 모호한 측면이 있다. 양자경제학이 단지 경제 또는 기후 위기, 인공 지능등 모든 분야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모든 걸 상호 연결해야 한다는 저자의 이론에 맞추어 각 분야에서 어떻게 상호연결을 할 수 있는지 방법을 주로 설명해나간다. 가령 과학이 단순히 과학 지식만으로 작동되지 않고 인문학이 결합된 과학을 제시해야 한다. 지금처럼 맹목적인 인공 지능 기술의 발달만을 추구할 것이 아닌 윤리적 관점에서의 발달을 함께 도모해야 한다. 기술의 발달은 피할 수 없다. 하지만 방향은 정할 수 있다.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 그 방향에 '양자경제학' 관점에서 시작해야 한다.

양자경제는 기존까지 작동해왔던 일방적인 사고 방식을 부인한다. 구매 또는 소유가 아닌 통합 서비스형으로의 돌입이며 소비자와 제조업자 모두 동일한 의무를 소유하게 된다. 일방적인 갑,을 관계가 아닌 새로운 관계가 정립하게 된다.

양자물리학에 근거하여 새로운 미래를 제시하는 사회학 책이지만 양자이론에 익숙하지 않아서인지 이해하기가 다소 쉽지는 않다. 양자역학으로 보는 우리의 시선이 또한 익숙하지 않아서이기도 할 것이다. 양자이론에 대한 조그마한 지식을 먼저 공부한 후 이 책을 읽는다면 도움이 될 것 같다.

분명한 건 저자의 주장대로 현재의 시스템만으로는 결코 우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우리에게는 새로운 대안이 시급하다. 이 <양자경졔>가 대안이 될 수 있으려면 다소 시간이 걸리겠지만 열린 생각을 가지고 우리 사회에 도입할 가능성 또한 찾아봐야 할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쓴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