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리 아파트먼트 - 팬데믹을 추억하며
마시모 그라멜리니 지음, 이현경 옮김 / 시월이일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팬데믹은 전세계를 멈추었다. 영원할 것 같던 일상이 멈추고 원격 온라인 수업, 온라인 쇼핑몰등 비대면이 더욱 활성화되고 세계는 포스트 코로나 이후 어떤 변화가 있을 것인가를 말하기 시작했다. 모든 세계인을 패닉으로 몰아간 코로나 시대를 우리는 과연 어떻게 기억할까?

이탈리아 소설 『이태리 아파트먼트』는 코로나 시대를 지난 아홉 살 소년 마티아가 먼 훗날 2080년에 손주들에게 코로나 시대의 과거를 회상하며 이야기가 시작된다.

엄마, 로사나 누나와 함께 살고 있는 마티아의 생일. 평소라면 친구들을 초대하고 생일파티를 하겠지만 정부가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으로 생일파티는 기대할 수 없다. 위층에 있는 젬마 할머니 집에서 가족들만의 단촐한 생일파티를 하기로 한 마티아는 아빠가 생일 파티에 올 것을 기대하지 않는다. 로마에서 잘 나가는 여자친구와 사귀고 있는 아빠는 늘 남이나 다름없었으니까. 아니나다를까. 아빠는 생일파티에 일이 생겨 못 온다는 변명을 하며 미안해하지만 처음부터 기대하지 않았던 마티아에게 아빠의 부재는 중요하지 않다.

『이태리 아파트먼트』에서는 코로나로 모든 일상이 변한 일상의 모습을 세세하게 묘사해준다. 아시아인 배달원을 보고 코로나 원인제공자로 여기며 기피하는 마티아의 엄마 모습을 통해 아시아 혐오의 모습도 느낄 수 있고 (아시아인 배달원이 한국인이다) 학교 등교가 어려워지며 줌 수업으로 공부하는 아이들의 모습, 통행증이 있어야만 이동할 수 있어 반강제적으로 집에 머물러야 하는 모습들. 우리에게 낯익은 모습들이 생생하게 그려진다.


할머니, 모두가 모두에게 화가 나 있어요.


모든 게 멈춘 이 때, 우울함과 두려움이 아파트를 잠식해나가고 있는 아파트에 생기를 불어넣는 사람은 아이러니하게도 마티야가 악당처럼 여기는 아빠 안드레이였다. 친구 줄리오의 아버지 반니의 정체를 밝히기도 하고 이웃을 위해 편지와 선물을 전달하는 소소한 이벤트는 물론 힘이 체육 교사인 엄마의 빈 자리를 채워주기도 한다. 집에서 나가지 못하는 이 불가피한 상황은 누군가에게는 괴로움일 수 있지만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사이를 돈독하게 할 수 있는 기회임을 소설은 말해준다.

하지만 그럼에도 전염병은 가난한 자에게 더욱 가혹하다는 진실은 이 소설을 피해갈 수 없다. 자신의 안전에 급급해 이웃의 안부에 소홀해지기 쉽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외로운 사람을 더욱 외롭게 한다. 마티아의 아빠 안드레이가 이 가정에 산소 호흡기 같은 역할을 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로 생기는 외로움을 채우기는 역부족이다.



그럼에도 삶은 계속된다. 코로나 이후 포스트 코로나를 살아가고 새로운 '현재'안에서 삶은 진행중이다. 비록 그 삶이 항상 핑크빛은 아니고 또 다른 문제의 연속일 수 있지만 서로가 믿음을 놓지 않는다면 설사 잿빛 인생이라 하더라도 인생은 견딜 만하다.

먼 훗날, 코로나 시대를 우리는 어떻게 기억할까? 그 답은 우리가 만들어가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결코 유쾌하지 않은 상황이지만 행복하기로 결심하고 실행에 옮긴다면, 서로에게 따뜻한 빛이 되어준다면 우리는 먼 훗날 그래도 좋았었노라고 말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