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제국, 실크로드의 개척자들 - 장군, 상인, 지식인
미할 비란.요나탄 브락.프란체스카 피아셰티 엮음, 이재황 옮김, 이주엽 감수 / 책과함께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게 몽골은 미지의 세계이다. 광활한 대륙과 칭기스칸과 그 후예들,그리고 실크로드... 그 뿐이었다.

그 몽골 사람들에 대해 어떤 이야기가 있는지조차 알지 못했다. 과연 몽골 제국은 어떤 사람들이 활동했을까?

『몽골제국, 실크로드의 개척자들』은 저자 미할 비란, 요나탄 브락과 프란체스카 피아셰티가 여러 문헌을 참고하여 몽골제국에서 활약했던 장군과 상인 그리고 지식인들을 다룬다.

이 책에는 15명의 인물들의 생애와 업적이 기록되어 있다. 장군 부터 상인들 그리고 지식인들을 보여 주며 그 당시의 몽골 사회와 그들이 남긴 업적이 어떤 의미인지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나의 경우 매우 광범위한 역사를 다루고 있어 이해하기가 다소 쉽지 않았다. 내가 몽골 제국의 인물들을 읽어가면서 가장 주목한 부분은 단연 여성들이었다. 놀랍게도 몽골 제국은 여성의 정치 참여와 사회 참여도가 높은 지역이라고 한다. 그래서일까. 장군들과 상인들 그리고 지식인들 각 다양한 부문에 여성들의 이름이 나란히 소개된다.

몽골의 공주이자 전사이기도 한 쿠툴룬은 당당히 몽골 장군으로 기록되는 여성이다. 몽골 국가를 세운 카이두를 아버지로 둔 쿠툴룬은 남성 장군들보다 무예 실력이 더욱 출중했다고 하며 넷플릭스 시리즈 <마르코 폴로>의 여주인공이 되기도 했다고 하니 그 명성이 꽤 대단했음을 짐작케 한다.

배우자를 구하는 조건으로 자신과 맞서 싸워 이겨야 하지만 공주에게 패배할 시 말 백 마리 이상을 공주에게 바치는 조건이었다고 한다. 많은 구혼자가 도전했으나 패배하여 그 백 마리의 말들로 재산을 불렸다고 하니 참 놀랍다.

몽골은 기독교와 이슬람교 그리고 불교 등 혼합된 종교로서 각 종교를 후원하는 것도 모두 정치의 일종이었던 듯 하다. 금장 칸국의 황후 타이둘라는 전략적으로 기독교 상인을 후원하며 정치적 경제적 이득을 얻었지만 정작 중요한 타이둘라 황후가 어떤 종교인지는 밝혀지지 않다고 하니 참 아이러니하다.

『몽골제국, 실크로드의 개척자들』은 세 명의 저자들이 몽골 제국에 대한 사회상을 깊게 파고든다. 이슬람의 학문 발달 및 이주민에 불과한 인물 이사가 통상교역이 활발해지면서 중대한 위치까지 올라갈 수 있었던 배경 등 흥미로운 이야기등을 많이 알려준다. 다만 아쉬운게 있다면 각 인물 소개가 끝난 후 참고 문헌을 소개하는 페이지가 분량을 꽤 차지한다. 참고 문헌을 모두 뒷 부분에 수록했다면 더 집중하지 않았을까 하는 편집상의 아쉬움이 남는다.

몽골제국. 이 책은 몽골 제국에 대한 시발점이 될 수 있을 듯하다. 몽골이 여성에게 더 다양한 기회를 주었다는 점도 놀랍고 그들의 천문과학 발전에 있어서도 놀라움을 금치 않을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