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작은 헌책방 - 내가 정말 하고 싶은 일을 하는 삶에 관하여
다나카 미호 지음, 김영배 옮김 / 허클베리북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네서점들이 사라지고 있다. 동네서점들도 힘든데 헌책방이라면 어떨까? 우리나라에서는 옛날의 정겨운 헌 책방들은 사라져가고 인터넷 서점의 중고서점들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중고서점마저도 이젠 대형서점들에 잠식당하는 사회이다. 개인이 하는 소규모의 헌책방으로 사람들은 잘 가려하지 않는다. 그만큼 헌책방들은 고군분투하고 있다. 『나의 작은 헌 책방』 은 일본에서 20년째 헌 책방 '벌레문고'를 운영하는다나카 미호씨의 글이다. 적성에 맞지 않는 회사 생활을 접고 하루 아침에 헌책방을 차리기로 한 21살의 다나카 미호씨가 책방을 세우고 지금까지 운영하면서 겪은 일들을 이야기한다.

앞서 말했듯 동네 서점도 힘든데 헌 책방은 더욱 힘겹다. 저자 또한 헌 책방을 시작할 때 수중에 가지고 있던 돈 단돈 100만 엔이었다. 부모로부터 도움을 기대할 수 없었기에 100만엔으로 모든 것을 헤쳐나간다. 다른 기관의 도움을 받지 않고 손님들이 가지고 오는 헌 책만으로 운영을 해야 했기에 책방에 헌 책을 확보하는 것 마저도 쉽지 않다.

특히 저자의 "벌레문고"는 관광지 변두리기에 관광객들이 잠시 들르거나 또는 화장실만 이용하고 가는 얌체 손님도 있다. 하나부터 열까지 자신의 힘으로 해야 했기에 녹록지 않은 헌 책방을 운영하기 쉽지 않지만 그럼에도 20년 가까이 운영할 수 있었던 것 역시 사람들이다.

비록 책을 사지는 않고 다른 자신의 애장품만 사가는 손님이지만 명절에 아내의 처가에 올 때마다 꼭 방문하여 인사를 주고 받는 명절용 손님 O 씨의 이야기와 헌책방 선배이자 동료로 아낌없는 조언을 해 주는 모리카와 씨, 벌레문고에서 라이브 공연을 해 주는 도모베 씨등 함께 하는 사람들이 다나카 미호씨의 원동력이다.


헌 책방이니 책에 관한 에피소드도 빠지지 않을 수 없다. 특히 헌 책은 읽은 이의 사연을 담고 있다.

저자가 좋아하는 가수 도모베 마사토에게 헌 책을 기증받았고 그 책 속에 자신의 또 하나의 인생책인 <미국의 송어 낚시>를 보며 결국 각자의 책의 주인은 결국 찾아오는 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잘 팔리지 않는 전집류와 백과사전을 들고 온 손님에게 매입을 거부할 때의 곤란함, 책값 책정의 어려움 등등 혼자 부딪쳐 가며 배우는 신참 헌책방 주인의 고군분투기 또한 따뜻하게 그려진다.



저자는 헌 책방 '벌레문고'를 운영하면서 이 일을 후회하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하지만 현실 또한 부정하지 않는다. 처음 이 책을 쓰게 된 계기가 헌 책방 창업을 고려하는 젊은이들에게 가이드가 되어 주기 위한 목적인만큼 저자 또한 현실을 숨기지 않는다.

생각해보면

헌 책방은 사회의 '메인 스트림'에서 한참 벗어난 장사입니다.


비주류의 비주류에 속하는 일. 좋아서 시작했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그럼에도 저자가 계속 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일에 대한 사랑이기 떄문이다. 함께 하는 사람들이 있고 곁에 있어주는 반려묘가 있고 그리고 책이 있는 곳.

그 마음이 처음부터 지금까지 지켜져 올 수 있었기에 벌레문고를 운영할 수 있었다.

느리지만 자신만의 속도로 운영하는 곳.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곳, '벌레문고'에서 저자는 하루를 살아가며 말한다.

"아, 역시 벌레문고에 앉아 있는 건 즐겁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