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거절을 거절하는 방식 - 2021 한경신춘문예 당선작
허남훈 지음 / 은행나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거절을 거절하는 방식』은 참 독특하다. 자기계발서같은 제목에 웃는 것도 아니고 우는 것도 아닌 스마일 무늬 하나만 덩그라니 그려져 있는 표지 또한 심상치 않다. 하지만 이 책을 소개한다면 표지의 스마일이야말로 이 소설을 정확하게 표현해내는 소설이라 말할 수 있다. 웃지도 않고 울지도 않으며 어떤 감정을 알 수 없는 무덤덤한 스마일이 바로 이 소설에서 그려내는 우리들의 일상을 그려낸다.

소설은 하수영과 박용수 두 친구의 이야기에서 시작된다. 일간스포츠 <제일스포츠>를 퇴사하고 CFP 자격증을 위한 경험을 쌓기 위해 문턱이 낮은 보험 영업을 시작한 하수영. 그리고 몇 년 내내 9급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지만 미역국을 먹는 박용수가 생계를 위해 일용직 노동을 시작하며 이 둘의 고군분투기가 소설 내내 펼쳐진다.

하수영이 보험설계사를 시작하면서 고객을 유치하기 위한 짠내 나는 소설이지만 작가는 설계사만의 이야기를 다루지 않는다. <제일스포츠> 기자로 특종을 위해 발에 불이 나도록 뛰었던 그의 경험과 보험 설계사로 잠재 고객을 만나기 위해 개척영업을 뛰는 설계사로서의 애환을 동등한 비중으로 그려낸다.

왜 작가는 주인공 하수영이 보험설계사로 시작하는 장면으로 포문을 열면서 그의 전직인 기자로서의 분투기 또한 비중있게 다뤘을까 의아했다. 하지만 소설을 읽어나가면서 한 마디가 튀어나온다.

"기자도 별 수 없구나...."

"먹고 사는 일이 다 힘들구나...."

그렇다. 이 소설은 하루 하루 버티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청춘들의 모습을 너무 담담하게 그려낸다.

기자에서 보험설계사로 이직한 하수영에게 동기가 묻는다.

"그런데 왜 그 좋은 직장을 관둔 건가요?"

우리는 보통 기자를 떠올릴 때 기자정신 또는 정의로운 펜데를 휘두르는 기자를 연상한다. 아니면 적어도 우리보다 높은 계급일거라 생각한다. 이 질문을 한 입사 동기 또한 그런 생각에 주인공에게 왜 관둔 거냐고 묻지만 작가는 결국 어떤 직종이든 생계를 위해서 하루살이로 버티고 있다는 사실을 하수영과 박용수를 통해 설명해준다.

기자는 특종을 찾아 헤매고 보험설계사는 고객을 찾아 헤매는 먹이감만 다를 뿐 사는 모습은 모두 아둥바둥 살고 있는 모습을 보며 오늘 하루도 간신히 버텨나가는 우리들의 모습을 떠올리며 공감을 자아낸다.

주인공들의 짠내나는 직장 생존기를 읽다보면 이들에게도 한 방이 있을까라는 생각에 머무르게 된다. 하지만 저자는 현실을 그저 처음부터 끝까지 무덤덤하게 현실적으로 그려낸다. 마냥 불쌍하게도 슬프게도 그려내지 않고 딱 공감대를 자아낼 만큼의 적정선을 유지한다.

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살아가는지, 치열한 경쟁 사회에서 어떻게 먹이를 빼앗는지 사실적으로 보여주며 이 먹이사슬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는 사실이 씁쓸하게 다가온다. 이렇게 우리가 힘들게 살아가는구나라는 공감과 함께 이 소설의 주인공과 함께 나 자신을 토닥토닥 달래주고 싶게 한다. 오늘 하루도 힘들게 버텨나가는 우리 모두들에게 주눅들지 말자고 오늘도 화이팅하자고 말해주고 싶은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