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원의 날 ㅣ 정해연의 날 3부작
정해연 지음 / 시공사 / 202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거대한 비극 앞에서 인간은 무기력해진다. 불행은 인간을 강하게도 하지만 쉽게 파괴하기도 한다. 특히 아이를 잃은, 사망이 아닌 실종의 경우 부부의 일상은 멈춘다. 멈춘 일상은 가정을 파괴시킨다. 만약 잃어버린 아이 외에 다른 자녀가 있다면 그 자녀를 위해서라도 버텨나가겠지만 단 하나뿐인 아이가 사라진다면 온전한 일상을 살아갈 수 없다.
정해연 작가의 장르소설 『구원의 날』은 불꽃놀이에서 아들 선우를 잃어버린 예원과 선준 부부의 이야기다. 그 후 3년이 지났지만 그들의 상처는 회복되지 못한다. 예원은 죄책감과 충격에 자살 시도를 하기도 하고 정신병원에 입원해 있다. 남편 선준은 힘겹게 직장생활을 하지만 아내를 보살피기도 너무 벅차기만 하다. 멈춰버린 일상. 그들에게는 하루 하루가 지옥이다.
예원은 병원에서 아들 선우와 똑같이 '올챙이송' 가사를 바꿔 부르는 아이 로운을 발견한다. 무의식중에 아이 로운을 데리고 집에 들어온 예원. 남편은 예원의 행동에 또 다시 자포자기한다. 그 순간 가족 사진을 보고 있던 로운이 선우를 가리키며 말한다.
"아. 저거……."
"선우다."
"이선우예요."
'울림기도원'에서 아들 선우를 만났다는 로운의 말에 부부는 또 다시 긴장한다. 과연 예원과 선준은 선우를 다시 찾을 수 있을까? 처음 본 아이 로운의 말을 믿을 수 있을까? 하지만 이들 부부는 아들을 찾기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 아들 선우를 찾아 따라나선다.
『구원의 날』은 부부가 아이 로운과 함께 아이를 찾아 나서며 서로의 숨겨진 상처가 드러난다. 예원과 선준 부부와 함께 로운의 엄마의 모습도 드러나며 상처입은 어른들의 모습이 각각 그려진다. 모두가 피해자이며 가엾은 존재라는 걸 이 소설은 말해준다. 작가의 영리함은 상처입은 어른들 모습 속에 감추어져 있는 아이들의 모습을 비춰줄 때 비로소 작가의 의도를 알게된다. 어른들은 표현할 수 있지만 제대로 표현하지도 못하고 숨죽여야만 했던 아이들의 모습. 사회가 아프면 어른들도 힘들지만 결국 가장 큰 피해자는 아이들이라는 사실을 말해준다.

어른들의 행복과 아이들의 행복은 반비례하지 않는다. 어른들이 불행하면 아이들도 불행하다. 나는 그 모습을 예원을 통해서 보았다. 그리고 내 모습을 통해 보았다. 이 책에서 선우의 실종 뒤에 숨겨진 뒷이야기가 밝혀지지만 독자들은 알 수 있다. 이 사건의 가해자는 없다고. 이 사건은 모두가 피해자라고. 사회는 모두를 가해자로 만들기도 하고 모두를 피해자로 만들기도 한다. 그 사실이 예원과 로운의 엄마에게 강하게 드리워져 같은 엄마로서 진한 여운을 남긴다.
『구원의 날』의 저자 정해연 작가는 이 소설이 저자의 다른 소설보다 집필이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 마음이 백분 이해된다. 저자가 아이를 잃어버린 부모의 마음을 매우 심도 있게 표현하였지만 실제 가족의 마음은 예원과 선준보다 더욱 고통스러우리라. 나는 이 책이 단지 아동 학대 또는 실종이라는 키워드로 보지 않기를 바란다. 그보다 사회가 만들어낸 아픔에 집중해서 읽는 소설이기 바란다. 사회의 아픔의 종착역은 결국 아이들의 아픔이니까.
정인이 사건과 이모부부에 의해 죽임당한 아이의 소식이 연달아 들려온다. 코로나로 친구를 빼앗긴 아이들의 외로움이 밀려온다. 아이들이 아프다. 이 시점 꼭 읽어보아야 할 소설이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