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 팜
조앤 라모스 지음, 김희용 옮김 / 창비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 『베이비팜』은 필리핀계 미국인인 저자 조앤 라모스의 데뷔작으로 '골든 오크스'라는 비밀 대리모 시설에서 일어나는 임신, 출산, 육아 스릴러다. 이 소설의 주된 배경은 '골든 오크스 농장' 은 돈이 많으나 여러 이유로 임신이 어렵거나 아이를 원하는 상류층 가정들이 돈을 주면 대리모를 고용하여 주는 비밀 시설이다. 일명 돈 있는 자들만이 이용할 수 있는 이 시설의 주된 호스트, 대리모들은 돈이 필요하거나 불법 체류자인 필리핀계 또는 아시아인들이 대부분이다. 만약 의뢰인들이 똑똑한 엘리트의 프리미엄 대리모들을 원할 경우 '골든 오크스 농장'은 고학력 여성의 대리모들을 섭외하여 의뢰인의 만족을 채워준다.

이 '골든 오크스'에는 사촌 아테의 소개로 딸 아말리에를 맡기고 들어온 제인, 미술학도이자 엘리트이지만 독립된 생활과 원하는 공부를 계속하기 위해 대리모가 되기로 한 레이건, 그리고 한 가정에 여러 차례 대리모가 되어 준 리사가 한 시설에 모이며 벌어지는 이야기이다. 그들은 합숙소에 머물며 '골든 오크스'의 관리를 받는다. 웰밴드를 차고 위치를 추적당하고 대리모들끼리 대화도 제한되어 있다. 의뢰인은 원하는 때에 자신의 아이를 임신한 대리모를 만날 수 있고 태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출산하는 장면을 찍을 수도 있다.

비록 자랑스러운 행위는 아니지만 대리모가 되기로 선택한 이들은 각자의 사정이 있다. 제인은 딸 아말리에를 키우기 위한 돈이 필요하고 레이건은 부모로부터 독립할 돈과 학비가 필요하다. 리사 또한 돈이 중요하다. 이들에게는 하루 빨리 돈을 벌어야만 할 명분이 있고 대리모가 되기로 선택했다. 하지만 이들이 선택한 결정이지만 '골든 오크스'의 매니저 미즈 유의 관리를 받게 되면서 이들은 자신의 선택이 자신의 의지가 아닌 알 수 없는 비밀에 둘러싸여 있음을 알게 된다.

이 소설을 읽다 보면 "돈을 벌기 위한 인간의 욕망은 어디까지인가" 라는 한 가지 질문이 내내 맴돌게 된다.

이 '골든 오크스' 농장을 소개해 준 사촌 아테부터 돈을 벌기 위해 대리모가 되기로 한 사람들, 이들을 이용하여 돈을 버는 미즈 유, 돈이 있어 임신까지 돈을 주고 사는 상류층 의뢰인들. 이들의 모습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을 '상품'으로 전락시킨 우리의 현실이었다. 돈만 있으면 모든 게 해결되며 아기까지 사는 이 사회의 모습이 소설 속에서는 '골든 오크스'를 통하여 인간의 욕심을 말해준다.

사촌 아테는 친척 제인을 '골든 오크스'에 소개시켜 준 것이 진정 제인을 위한 일이었다고 믿는다. 비록 한 살 된 어린 아말리에와 당분간 헤어져 있어야 하지만 이 모녀에게 중요한 건 돈이라고 생각한다. 소설 뒷부분에 나오는 제인 또한 미즈 유의 제안이 자신을 위한 선의라고 생각한다. 그런 제인을 보며 레이건은 말한다.

"그게 그녀에게 좋은 거래이기 때문이야. 너그러운 행동이 아니라고."

"둘 다야. 나는 고맙게 생각해.

돈과 성공 앞에 도덕이 불분명해진 도덕, 돈으로 모든 걸 할 수 있다고 자신하며 마음대로 침범하는 부유한 자들, 그들에게 기생하여 이민자 또는 돈이 필요한 자들을 이용하는 사람들, 선택지가 없어 내몰리는 사람들 의 차이를 보여준다. 심지어 같은 대리모지만 절대적으로 돈이 필요한 이민자 제인과 일시적인 학비를 벌기 위해 대리모를 택한 레이건과의 대조는 미국 내에서의 극명한 계급 차이를 알 수 있게 해 준다.

'개천에 용이 말랐다'는 말이 떠오른다. 신분상승할 수 있는 계급의 사다리가 끊기고 금수저, 은수저라는 신조어가 생겨났다. 한 고위 공무원이 사적인 자리에서 '국민은 개, 돼지'라고 당당하게 실언했던 사건이 떠오른다. 돈만 있으면 모든 게 허용되는 사회. 이 『베이비팜』의 '골든 오크스' 농장은 단지 미국이 아닌 바로 지금 여기 한국의 모습이기도 하다. 그래서 더욱 여운이 길게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