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 - 그들은 왜 칼 대신 책을 들었나 서가명강 시리즈 14
박훈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의 메이지유신은 일본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막부시대가 종결되고 천황을 중심으로 한 왕정복고가 일어나며 지금의 정치 형태의 근간이 된 의회 정치의 형태가 시작되는 변혁기로 현 일본의 모태가 성립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과연 메이지유신이 시작되기까지 어떤 일들이 일어났을까. 이 과정 속의 다이나믹한 역사가 서울대 동양사학과 박훈 교수의 서가명강 시리즈로 출간되었다.

『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의 이름대로 메이지유신은 사무라이의 최후를 의미한다. 아이러니한 건 메이지유신의 기폭제가 된 건 사무라이들이라는 사실이다. 사무라이들이 왜 메이지유신의 설계자들이 되었는지 이 책의 부제 <그들은 왜 칼 대신 책을 들었나>를 통해 저자 박훈 교수는 자세하게 설명해준다.

역사에서 우리는 이 사건이 일어난 배경을 알지 않고 메이지유신을 이해할 수 없다.

먼저 일본은 지금의 천황 중심이 아닌 도쿠가와 막부 치하로 그 당시 이미 상업과 화폐경제가 발달한 부자나라였다.

저자는 우리가 흔히 잘못 생각하는 일본사 중 일본이 미국 또는 열강으로부터 문물을 받아들이므로 강대해졌다고 알고 있지만 실제로 그 오래전부터 일본은 강국이였음을 알려준다. 하지만 어느 나라든 빈부격차는 피할 수 없다. 상인과 농민들이 부유해진 반면 하급 사무라이들과 농촌의 빈농, 도시의 빈민들은 궁핍한 생활을 해 나가는 등 빈부격차가 심했다. 그리고 이들이 후에 메이지유신을 설계해 나가는 주요 세력들이 된다.

청나라와 영국의 아편전쟁이 발발하고 청나라가 영국에 패한 현실을 보며 일본은 급변하는 국제 정세를 파악하며 위기의식을 느낀다. 미국의 페리가 일본에 정박하며 개항 요구를 강요하는 등 막부의 지배력이 흔들리고 여론이 분열되며 역사의 시계추는 메이지유신을 향해 달려간다.

일본의 지리를 이해하기에는 '번'을 이해해야 한다. 지금의 '현'으로 바뀌기 전 봉건국가 형태로 '번'이라는 지방자치형태로 생각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 어느 곳에서나 그렇듯 막부에 우호적인 번이 있고 대항하는 세력들이 번들이 있다. 아래 지도의 굵은 보라의 번들이 막부에 대항했던 비우호세력, 대명세력이라고 한다. 도시마다 크기의 규모가 있듯 메이지유신을 이끄는 두 주춧돌이 되는 조슈번과 사쓰마번이 이 개혁의 주춧돌이 된다.



앞에서 말했듯, 메이지 유신을 알기 위해서 왜 사무라이들이 검 대신 책을 펴게 되었느냐에 주목해야한다.

이 책에서는 시대별로 요시다 쇼인, 사키모토 료마, 사이고 다카모리와 오쿠보 도시미치의 이야기를 통해 그 이유를 알려준다.

이 시대는 사무라이들도 유학을 하며 공부하던 시기였다고 말한다. 무술만이 아닌 유학을 하며 학문을 쌓는 사무라이들은 미국 페리가 일본에 입항하며 즉각적인 위기를 느끼며 해당 방면에 대해 공부를 해 나간다.

한국을 떠올려보면 쇄국 정책의 영향이 커서인지 사태의 심각성을 재빨리 대처하지 못했다. 하지만 일본의 경우 자신의 현실을 빠르게 파악해나간다. 증기선의 발달로 일본이 언제든지 침략받을 수 있는 현실로 바뀌며 일본의 세력들은 해군의 중요성을 깨닫는다. 해군이 없이는 나라를 지킬 수 없다는 걸 깨닫고 칼만 들던 그들은 해군 부대를 만들기 시작한다. 저자는 이들이 해군의 필요성을 깨닫고 실천해 나가는 게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음을 강조한다. 우리가 십 년 넘은 습관을 바꿀 수 없듯 칼만 들고 육지에서 싸우던 사무라이들이 현실을 깨닫는다해도 해군 양성을 주장하기란 결코 쉽지 않기 때문이다.



요시다 쇼인의 뒤를 이어 사카모토 료마와 사이고 다카모리, 오쿠보 도시미치는 함께 협력했던 관계로 이야기의 역사가 서로 긴밀한 연결관계를 갖고 있다. 요시다 쇼인이 메이지유신을 이끈 주요인물들을 배출해냈다면 사카모토 료마와 사이고 다카모리는 막부시대를 끝내고 왕정복고를 실현하기 위한 실행에 돌입한다. 특히 이 메이지유신의 주요 세력인 조슈번과 사쓰마번의 앙숙 관계를 끝내고 동맹 관계를 결성하기 위해 '삿초맹약'을 성립시킨 사카모토 료마의 중재는 메이지유신으로 가는 데 큰 성과가 아닐 수 없다.

오랜 친구이면서 협력자였던 사이고 다카모리와 오쿠보 도시미치는 결국 막판에 서로 갈라져야만 했다. 현실적인 오쿠보 도시미치는 철혈재상이 되는 자리에 올랐지만 사이고는 정한론 및 평민 부대등 뜻을 달리한 사람들에 의해 자리에서 물러나야 했고 끝내 반란군이 되어 죽음을 맞는 비운의 운명이 되었다.

일본사에서 메이지유신의 마지막 사무라이들은 막부와도 적대해야 했고 한편으로는 같은 번들끼리 앙숙 관계가 되어야 했다. 하지만 이들이 생각을 같이 했던 건 국제 정세가 다르다는 것을 파악하고 끊임없이 여행하고 공부하며 근대일본을 까는 초석이 되었다. 열강의 개항 요청 위기 속에 변화를 선택한 그들이 없었다면 지금의 일본은 어떤 모습일까 궁금해진다.

저자 박훈 교수는 일본사이니만큼 지금의 일본인들을 이해하기 위한 여러 문화와 한국문화의 차이점 또한 재미있게 설명해준다. 일본의 가업을 잇는 전통, 다수의 성을 가질 수 있는 일본제도등이 소개되어 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